• 제목/요약/키워드: zooplankton sampling method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담수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동물플랑크톤 정량 조사법의 비교와 활용 (Quantitative Zooplankton Collection Methods for Various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 오혜지;장광현;정현기;고순미;나긍환;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31-244
    • /
    • 2019
  •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 및 기타 소형 미생물을 섭식하고, 고차 생물군집에 포식되어 일차생산과 상위 영양단계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연결고리 역할자로 수생태계내 물질 및 에너지 순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동물플랑크톤은 분류군에 따라 상이한 크기와 유영능력, 그에 따른 다양한 서식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다소 복잡한 채집 및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정확한 동물플랑크톤 정량화를 위해서는 종특이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정하고 적합한 도구(채수기, 플랑크톤 네트 등)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동정 및 계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정법과 부차시료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동물플랑크톤 정량채집방법 및 시료처리방법의 장 단점을 소개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류에 의한 혼합이 활발한 연안역에서의 동물 플랑크톤 채집량의 주야 차이 (Day-Night Differences in Zooplankton Catches in the Coastal Area of Active Tidal Mixing)

  • 박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1-159
    • /
    • 1990
  • 조류에 의한 해수의 혼합이 활발한 연안역에서 동물 플랑크톤이 주야 수직 이동의 능력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채집량의 주야 차이를 살펴 보았다. 상대적으로 크 기가 큰 요각류, Mysid, 모약류, 이매폐 유생 등은 야간에 표층에서 많이 채집되어 주 야 수직이동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와 과거의 방법 등을 통 하여 한국 서해 연안역에서 적절한 채집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 PDF

한국연안에서의 해양생물 생태 조사방법 표준화 (Suggest on Standardization of Ecological Survey Methods in the Korean Watershed)

  • 이재학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4
  • Ecological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report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damage effect of fishery in the Korean watershed. Survey items in marine ecological field were included: phytoplankton, zooplankton, benthic animal, algae, adult fish, egg and juvenile of fish. A standardization of survey method in the field of community ecology was suggeste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Sequency in Use of device, accuracy of data collected from that. It is necessary that spatial data should be sufficiently acquired toy statistical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spatial comparison. Quantitative sampling method must be inevitably adopted based nature of biota and geographical type of the survey area. The same sampling method can make the data compared spatially but can't be applicable in all area. Standardizing survey method should be by no means under certain restriction of study and would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survey environments. The first thing is minutely understanding about ecological character of biota inhabiting in certain area, and then determining survey method.

정수생태계 동물플랑크톤 채집 시 네트 인양 유형 및 수심에 따른 군집 정보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Based on Towing Type and Depth in the Lake Ecosystems)

  • 오혜지;채연지;구도영;김유진;왕정현;최보형;지창우;곽인실;박영석;남귀숙;김용재;장광현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65-373
    • /
    • 2020
  • 호소 생태계에 대한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지침은 동물플랑크톤 조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현 종 수와 개체군 밀도, 군집 지수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수심 5m 이하의 얕은 호소-수변부에서 사선끌기, 수심 20 m 이상 호소-전수심 수직끌기, 그 이상의 깊은 호소-20 m까지의 수심을 대상으로 한 수직끌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침에서 제시하는 방법 중 사선끌기법과 20 m 수직 끌기법을 각각 전수심을 대상으로 한 조사 방법과 비교하여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차이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군집 지수의 경우 수심이 얕은 호수에서의 사선끌기법/수직끌기법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심이 깊은 호소에서는 끌기 수심을 20 m로 제한할 경우보다 전수심 수직끌기를 적용했을 때 다양도 및 풍부도 지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선끌기 및 20 m 수직끌기를 통해 채집한 동물플랑크톤 시료로부터 표면~저층 상층부까지의 전수심을 채집 대상으로 설정한 경우보다 약 3배 정도 높은 개체군 밀도가 계산되어, 동물플랑크톤 총 개체 밀도가 크게 과대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동물플랑크톤 수직 분포 특성상 발생하는 수층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밀도 차이 및 여과된 원수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호소를 대변하여 수체 간 또는 수체 내 변동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호 내 2차 생산과 관련한 기능적 정량 지표로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활용을 고려할 경우, 수심에 따른 개체군 밀도 분포와 전체 개체수 환산 시 수층별 기여율을 고려한 전수심 수직끌기 방법의 적용이 보다 적절할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