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ero-tension lysimet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의 층위별 토양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olution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 류성렬;손요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1-345
    • /
    • 1998
  • Soil solutions were collected by zero-tension lysimeters at Kwangju, Kyunggi Province to estimate differences in ion concentration among species and horizons. Zero-tension lysimeters were installed in O, A, and B horizons in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Soil solu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8 and analyzed for $K^+$, $NA^+$, $NH_4^+$, $Mg^{2+}$, $Ca^{2+}$, $Al^{3+}$, $Cl^-$, $SO_4^{2-}$, $NO_3^-$, and $PO_4^{3-}$. The experimental site had high nitrogen loading from the atmosphere, and $NO_3^-$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 and $Mg^{2+}$. However, $NO_3^-$ and $NH_4^+$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the O horizon of Q. mongolica stand. Mg^(2+) deficit in the soil was predicted owing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Mg^{2+}$ with $NO_3^-$. Concentrations of $K^+$ and $Ca^{2+}$in soil solution were estimated higher in L. leptolepis than in other stands because of high leaching from the plant. Concentration of $Al^{3+}$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solution pH. Mean soil solution pH of A and B horizons in P. koraiensis was lower than 4.7, however the $Al^{3+}$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e toxic level to plants.

  • PDF

리기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벌채수준(伐採水準) 및 시료(試料) 채취시기(採取時期)에 따른 토양수내(土壤水內) 이온농도(濃度) 변화(變化) (Change of Ion Concentrations in Soil Solution According to Different Cutting Intensities and Sampling Times in Pinus rigida Plantations)

  • 오광인;조희두;안기완;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38-445
    • /
    • 1999
  • 벌채수준 및 시료 채취시기에 따른 토양수내 이온농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곡성군에 위치한 성숙한 리기다소나무조림지를 대상으로 4개의 벌채처리구(무벌채구, $6m{\times}50m$, $10m{\times}50m$, $20m{\times}50m$ 대상개별처리구)를 설치하고 zero tension lysimeter를 이용하여 98년 6월 20일부터 8월 4일까지 6주동안 3차례 (7월 6일, 7월 30일, 8월 4일) 토양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토양수내 이온농도는 채취 시기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벌채수준이나 채취 깊이별(10cm, 30cm)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기간동안 토양수내 이온농도의 크기는 $NO{_3}^-$ > $Ca^{2+}$ > $Mg^{2+}$ > $NH{_4}^+$ 순이었으며 $NO{_3}^-$의 평균 농도는 3.60mg/L, $Ca^{2+}$ 1.7mg/L, $Mg^{2+}$ 0.5mg/L, $NH{_4}^+$ 0.04mg/L 였다. 토양수내 이온농도는 $NH{_4}^+$를 제외하고는 토양수량과 이온농도 사이에 부의 상관관계(r= -0.31~-0.41)가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조림지내 토양수 이온농도의 변화는 벌채처리보다는 강수유입 형태가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수 성질의 계절적 변이 (Seasonal Variations in Soil Solution Chemistry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 류성렬;손요환;주영특;진현오;오종민;정덕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79
    • /
    • 2000
  • 토양수 내 이온 농도의 계절적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에 위치한 26년생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의 O층, A층, B층에 zero-tension lysimeter를 설치하고 1996년 9월부터 1999년 6월까지 토양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10월과 11월에 토양수 내 $K^+$, $Mg^{2+}$, $Cl^-$, $NO_3\;^-$등의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을철 낙엽 및 낙지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3월과 4월에 $Na^-$, $Ca^{2+}$, $K^+$, $Mg^{2+}$ 등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황사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토양수 내 이온 가운데서 $K^+$의 농도가 연중 계절별로 가장 크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수 내 $Cl^-$ 농도는 $K^+$, $Mg^{2+}$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변량 시계열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토양수 pH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l^{3+}$$K^+$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이 지속될 경우 O층 토양수 내 $Al^{3+}$ 농도가 식물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최소농도 (0.018 meq/l)에 도달하려면 수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0-20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