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윷놀이와 확률 (A study on probability of the Korean board game Yut)

  • 오창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719-727
    • /
    • 2010
  • 오랜 역사를 가지는 전통 놀이인 윷놀이에서 윷의 정의를 살펴보고 윷의 형태에 대한 고찰을 한다. 윷의 확률에 관한 선행연구에서의 성과와 개선점을 살펴본다. 좋은 윷에 대한 개념의 설정을 위해 사위의 확률순서를 정의하며, 윷의 등의 확률에 따른 사위의 순서를 구한다. 윷의 분포에 대하여 변형된 이항분포로써의 윷이항분포를 정의하며 평균과 분산을 구한다. 윷놀이에서 한 사람의 차례에서 말이 가는 기대거리를 구하고 특성을 살펴본다. 좋은 윷을 위한 두 개의 지표를 제안하며, 사위의 확률순서를 함께 고려하여, 좋은 윷을 위한 등의 확률을 찾아본다. 이때, 네 개의 윷의 등의 확률이 모두 같아야 한다는 조건을 배제한다. 또한 윷의 표준화를 위한 제안을 한다.

출발순서에 따른 윷말의 코스 경유 확률 (Course Probability of Yut according to Starting Order)

  • 조대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443-455
    • /
    • 201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명절놀이 중 윷놀이는 가족이나 친구들이 모여 남녀노소 구별 없이 즐기는 놀이다. 윷놀이는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대로 4개의 윷말을 행마하여 출발지로 돌아 나오는 게임이다. 윷놀이에서 상대를 이기기 위해서는 상대에 따라 다양한 행마 전략이 있을 수 있다. 행마전략의 핵심은 가능하면 짧은 코스를 돌아 나오는 것이다. 하나의 윷가락의 앞면이 나올 확률 p에 따른 도 개 걸 윷 혹은 모가 나올 확률을 이용하여 실제 윷놀이에서 4개의 윷말이 출발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코스를 경유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코스경유확률은 윷놀이에서 행마의 전략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게임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횐깨엿강정 만드는 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 for Whiteseed Sesame Yut Kang Jung)

  • 조재홍;조신호;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8-81
    • /
    • 1993
  • "Yut Kang Jung"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cook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kinds of syrups and cooking methods of Yut Kang Jung. The quality of Yut Kang Jung was evaluated by sensory and Instron machine test.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Recipe of the best Yut Kang Jung is this: White sesame 120g, sugar syrup 40g, and crude maltose watery 50g are used. Mixing sugar syrup crude maltose watery boiling for 4 min, in temperature $105^{\circ}C$. The sugar density after boiling was 86%. 2. Yut Kang Jung made by sugar syrup and crude watery maltose got the best result in sensory best. 3. Yut Kang Jung made by crude watery maltose got the best result in mechanical test. 4. The comparison between the sensory test & mechanical test were as follow; The hardness in the mechanical test was comparable with hardness & fracturability in the sensory test, and the chewiness in the mechanical test was comparable with flavor, adhesiveness, fractur ability in sensory test.

  • PDF

윷말의 코스 경유 확률 (Course Probability in the Game of Yut)

  • 조대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3호
    • /
    • pp.407-417
    • /
    • 2014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명절놀이 중 윷놀이는 가족이나 친구들이 모여 남녀노소 구별 없이 즐기는 놀이다. 하나의 윷가락의 앞면이 나올 확률 p에 따른 도 개 걸 윷 혹은 모가 나올 확률을 이용하여 윷놀이에서 윷말이 경유하는 4가지 코스에 대해 각각의 코스를 경유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윷의 확률 추정에 대하여 (On estimation of the probability of Yut)

  • 박진경;박승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9권2호
    • /
    • pp.83-94
    • /
    • 1996
  • 윷의 확률에 대한 기하학적 접근의 선행연구가 있었고, 이 논문은 그 선행연구를 보완,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윷의 확률이 '논리적'으로 계산되기 어려운 상황과 그 이유를 설명하고, 통계학적인 추정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여러가지 종류의 윷을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인 회귀선을 유도하였고, 이와 같이 추정된 확률을 통하여 도, 개, 걸, 윷, 모의 출현빈도순서 및 예상확률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통계학적인 접근의 결과는 기초확률시간이나 기초통계학 시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윷놀이에서 말이 가는 거리의 분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of Mal movement in Yut board game)

  • 김도형;오창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281-1288
    • /
    • 2010
  • 한 조로 사용 되는 네 개의 윷가지의 크기와 모양이 같아서 각 윷가지의 등이 나올 확률이 같은 윷놀이를 생각한다. 윷놀이에서는 모나 윷이 나오면 한 번 더 던지는 규칙이 있으므로, 한 사람의 차례에서 윷을 던져 말이 가는 거리 X에 관심이 있게 된다. 따라서, 거리 X에 대한 확률질량함수를 구하고, 각 윷가락의 등이 나올 확률의 몇 개의 값에 대하여 확률을 표로 나타낸다. 또한, 거리 X의 기댓값, 분산, 왜도, 첨도를 구하며, 주어진 윷의 등의 확률의 몇 개 값에 대하여 값을 구하여 표로 나타낸다.

육울탕(六鬱湯)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세포 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Yukul-tang against the Oxidative Stress)

  • 정선형;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30
    • /
    • 2009
  • Purpose: In this rapidly aging societ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protect the increas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 this study, we wanted to verify the effect of Yukul-tang (YUT) on neuro-degenerative disease model by assessing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Methods: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s of YUT, we carried out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and determined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YUT.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YUT, we performed the MTT and ROS assays and TH immunohistochemistry, NO and TNF-${\alpha}$ assays in SH-SY5Y or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damaged by 6-OHDA. Results: The treatment of YUT showed eliminating effects on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it showed deterring effects on ROS, NO and TNF-${\alpha}$ and protecting effects on TH-positive cell in SH-SY5Y cells or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treatment of YUT with 0.2ug/mL + 6-OHDA 10uM, the protective effect on dopaminergic neurons was most outstanding. Conclusion: In this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at YUT has an antioxidant effect an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degenerative disease model caused by neurotoxin such as 6-OHDA. The results of our present study suggest that YUT can be useful agent to prevent an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윷놀이를 활용한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W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Yut-nori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tudents)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79-585
    • /
    • 2022
  • 본 논문은 윷놀이를 활용한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도서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윷놀이를 활용한 SW융합교육 수업을 개발하여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보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윷놀이를 활용한 SW융합교육을 진행한 후 지식정보처리역량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지식정보처리역량 검사도구로는 초등학교 고학년 지식정보처리역량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윷놀이를 활용한 SW융합교육이 초등학생이 학습상황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식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평가, 선택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지식정보처리역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들깨 엿 강정의 품질 특성 및 저장 중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Snack, Yut-gang-jung with Perilla and Changes During Storage)

  • 김혜영;신현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53-757
    • /
    • 2003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snack Yut-gang-jung with Perilla, and the changes that occur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The water and protein content of a fresh sample were 9.67% and 10.83%,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in the sample stored at 20$^{\circ}C$ changed slightly, but that of the sample stored at 60$^{\circ}C$ showed larger changes from 9.33 % to 4.33%. The acidity of the sample stored for 8 days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hardness of the sample stored at 60$^{\circ}C$ for 4 day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e sample stored at 60$^{\circ}C$ had a significantly decreased roasted perilla flavor. The rancid flavor of the sample stored at 20$^{\circ}C$ increased slightly, while that of the sample stored at 60$^{\circ}C$ showed a drastic increase during storage. Therefore, a one week storage of the Yut-gang-jung with Perilla at room temperature is recommended for a product to have a shelf-life with simila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to fresh samples.

하품 곶감으로 제조한 곶감엿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yut(Korean Traditional Candy) Prepared from Low Quality Dried-Persimmon)

  • 김준한;강우원;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0
    • /
    • 2005
  • 감껍질과 하품 곶감을 활용한 곶감엿의 제조에 있어서 곶감의 첨가 비율 $5\%,\;10\%,\;15\%,\;20\%$$25\%$로 달리하여 곶감엿을 제조하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곶감엿의 당도는 $81.5-83.0\;\%$이었으며, 색도의 경우 L감과 b값은 곶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곶감엿의 물성에 중요한 요소인 견고성(hardness), 부숴짐성(fracturability), 뭉치는 성질(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은 곶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은 증가하였고, 부착성(adhesiveness)은 감소하였으며, 탄력성 (spring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곶감엿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20대에서 60대 소비자는 곶감엿의 색은 '보통이다' 에서 '좋다' 사이를 나타내었으며 단맛은 30대와 50대가 가장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가 가장 약하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떫은맛과 곶감향은 전반적으로 못느끼거나 약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도와 달라붙는 정도는 '보통이다' 에서 '다소 강하다' 라고 응답하였고 대체로 나이가 들수록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곶감엿 제품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60대, 50대, 40대, 30대 및 20대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