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j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유자청을 첨가한 발아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ed)

  • 이영숙;김애정;노정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4-500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SBRD) manufactured with various addition levels of honey and Yujacheong(Yuja syrup and Yuja sarcocarp)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Dasik(a kind of cookie).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lor value, physical tests,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evaluation of SBRD to which Yujacheong was added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SBRD to which Yujacheong had been added, the moisture contents and crude fat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 groups, and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s of Yuja syrup and Yuja sarcocarp. The pH(p<0.001) and sweetness(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mple D1 than in samples D2 and D4. The L color value was highest in D2, the a value was highest in D3, and the b value was highest in sample D2. The texture property analysis showed that the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SBRD to which Yujacheong was added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sample D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volatile analysis, the D1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evidenced different flavors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the appearance of the D1 sample was superior to the other samples. Howeve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r in the samples to which Yuja syrup and Yuja sarcocarp were add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BRD to which Yujacheong was added, and particularly those to which Yuja syrup was added, is superior to Dasik prepared with honey in terms of flavor and taste, and this method will improve the flavor and preparation time, due to its lower pH.

유자(Citrus junos)씨와 유자씨 유지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T-29 대장암 세포 생장 억제 효과 및 유효 성분 분석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Citrus junos seeds and seed oils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major bioactive compounds)

  • 김경은;조현노;정하나;이희재;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2-25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씨와 유자씨 유지로부터 HT-29 암세포 생장 억제효과를 확인하고 주요 원인 물질을 확인하는 것이다. 유자씨, 헥산 추출 유자씨 유지, 냉압착 유자씨 유지로부터 60%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각각 ES, EHO, ECO)을 얻었다. 추출물의 성분은 HPLC-M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ES, EHO, ECO를 HT-29 세포에 처리하여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EHO와 ECO가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p<0.05). 반면, ES와 리모닌, 노밀린은 24시간과 48시간 처리 후에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없었다(p>0.05). 유자씨 유지 추출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효과에 주요 역할을 하는 성분을 탐색하기 위해 제조용 LC로 EHO와 ECO를 분획하여 이 분획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와 조성을 확인하였다. 분획물 중에서 EHO의 3개 분획물과 ECO의 2개 분획물이 유의적인 HT-29 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다(p<0.05). 이 5개 분획물의 HPLC-MS 분석 결과,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주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을 HT-29 세포에 처리한 결과, 이찬젠신이 유의적인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고(p<0.05), 아이소핌피넬린과 버갑텐은 약간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p>0.05). 따라서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유자씨 유지 내의 주요 암세포 생장 억제 물질이며, 이 중에서 이찬젠신이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물질인 것으로 추정한다.

추출 방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와 한지에의 적용 (Microcapsulations of Aromatic Essential Oils and Their Application to Korean Traditional Hanji(paper))

  • 조중연;신준섭;민춘기;류운형;이선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33권2호
    • /
    • pp.74-80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ufacture microcapsules from natural aromatic essential oils by polymeric emulsification and to evaluate their properties using microscopical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techniques. It was shown that aromatic essential oils (yuja, lavender, and peppermint) could be microcapsulated and their emulsion has a good stabi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 PDF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on the Sujeonggwa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 오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1-11
    • /
    • 2015
  • 조선시대 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수정과류의 종류에는 수정과(水正果), 건시수정과, 생리수정과(生梨水正果), 왜감자수정과(倭柑子水正果), 가련수정과(假蓮水正果), 유자수정과(柚子水正果), 잡과수정과(雜果水正果), 두충수정과(杜沖水正果), 육월도수정과(六月桃水正果), 복분자수정과(覆盆子水正果), 앵도수정과(櫻桃水正果), 산사수정과(山査水正果)가 소개되었다. 수정과류 가운데 건시수정과 20%, 생리수정과 15%, 수정과 10%, 왜감자수정과 10%, 가련수정과10%, 그 외 수정과는 각각 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과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표면 세척 시스템에 의한 유자의 미생물 및 잔류농약의 제거효과 (Removal Efficiency of Microorganism and Pesticide Residues by a Using Surface Washing System on Yuj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성정민;권기현;김종훈;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27-635
    • /
    • 2011
  • 본 연구는 표면 세척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자의 미생물과 잔류농약 제거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로 오징어 먹물을 제거 효과를 보기 위해 스프레이 회전 속도 0.11, 0.42, 0.73 m/s, 수압 0.6, 0.9, 1.2 MPa과 컨베이어 속도 0.046, 0.092, 0.138 m/s 으로 세척 조건을 달리하였다. 오징어 먹물 제거 실험 결과 먹물 제거 효율은 컨베이어 속도와 분사 노즐 회전수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수압의 조건에서는 반응표면 분석 결과 0.9 MPa에서 가장 제거율이 높게 분석되었다. 이에 미생물과 잔류농약 제거률 실험의 위해 세척 조건으로 수압을 0.9 MPa로 고정하였으며 스프레이 회전 속도(0.11, 0.42, 0.73 m/s)와 컨베이어 속도(0.046, 0.092, 0.138 m/s)를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미생물은 컨베이어 속도 2.76 m/min 일 때 스프레이 회전속도 0.43과 0.73 m/s에서 각각 2.20, 2.05 log CFU/g 수준 감소하여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스프레이 회전속도 0.11 m/s와 컨베이어 속도 0.138 m/min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의 미생물 제거효과는 수도수 처리보다 높았다. 잔류농약 실험 결과 컨베이어 속도가 느릴수록, 분사노즐 회전수가 많을수록 제거효과가 높았으나 spirodichlofen, deltamethrin, benomyl, thiophanate-methyl과 acequinocyl 의 경우 컨베이어 속도 0.046 m/s에서 분사노즐 0.42 m/s이상에서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enomyl과 thiophanate-methyl 의 잔류 농약은 컨베이어 속도 0.092 m/s 이하의 조건에서 90% 이상 제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면 세척 시스템의 조건을 컨베이어 속도 0.092 m/min 이하, 노즐 회전수 0.043 m/s 이상에서 세척 시 유자의 미생물과 잔류농약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자 재배방법에 따른 부위별 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epending on cultivation methods and various parts of yuza)

  • 이종은;김경미;김진숙;김기창;최송이;김상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02-812
    • /
    • 2017
  • 유자 종류 및 부위에 따라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비타민C, hesperidin 및 naringin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총 3종(fructose, glucose, sucrose)이 검출되었는데 과피 중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 glucose > sucrose 순이었으며, 과육 중 유리당 함량은 sucrose > fructose > glucose 순이었다. 유자 씨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은 sucrose 뿐이었다. 유기산은 총 5종(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이 검출되었는데 과피와 과육에서는 citr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씨에서는 fumar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esperidin은 무농약 과피가 13.23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naringin은 세 부위 중 과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중 일반 과피(4.62 mg/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Vitamin C를 분석한 결과 다른 부위에 비하여 과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종류 및 부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기농 과피는 770.02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vitamin C 함량을 나타내었고 씨부분에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일반 과피가 0.85 mg/g의 값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무농약 과피와 유기농 과피는 각각 0.76 mg/g, 0.68 mg/g으로 일반 과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무농약 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89 mg/g 으로 유자 시료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씨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유기농 및 무농약 과피와 과육 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DPPH 라디컬 소거능에서는 세 부위 중 과피에서 비교적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는데 그 중 무농약 과피가 101.07%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과피 다음으로 소거활성이 높은 부분은 씨로 32.78-33.48%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과육은 10.23-12.14%를 나타내었다(p<0.05). 유기농 과피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은 84.47%로 시료 중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p<0.05), 일반 과피는 84.04%로 유기농 과피(84.47%)와 일반 과육(83.30%)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씨의 경우 13.53-14.62%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자는 주로 과피 만을 이용한 유자차 형태로 많이 소비되고 있어 과피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폐기되어 왔으나, 본 실험 결과 유자 과피 외에 과육과 씨에도 많은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유자 생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한 다양한 식품소재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여대생들의 전통음료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권순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7-57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in 273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28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145 non-majo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who had an average age of 20 years. Two-hundred and nineteen students (80.2%) lived with their parents. Regarding the type of beverages subjects often drink, coffee was the most preferred (51.3%) overall, and non-majors (4.1%) were shown to drink traditional beverages more often. Regarding preference for traditional beverages, most subjects (72.5%) responded that they liked their own traditional beverage. However, for frequency of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s, 48.7% answered they do not drink any traditional beverages. The reasons why subjects like traditional beverages were taste (71.7%) and health (26.3%), and the type of traditional beverages they often drink were Yulmu tea (35.9%), Sik hae (30.8%), and Yuja tea (10.6%), in order. Regardless of major, ginseng tea, jujube tea, mulberry-leaf tea, Chinese matrimony vine tea, ssanghwa tea, ginger tea, and omija tea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traditional beverages. Therefore, due to the low intake frequency,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raditional beverages, new traditional beverages that can meet the standards of female students should be immediately developed.

유자즙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Yuza Juice)

  • 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8-205
    • /
    • 2008
  • The influence of the yuza juice addition on quality of the doenjang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ir chemical properties. The 80 days pre-fermented(PFD) and non-fermented(NFD) doenjang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mixed with yuza juice designed at different ratio (0, 1, 3, 5% (w/w)), These doenjangs were fermented for 60 days and then analyzed chemical properties,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yuza juice added groups than control group. But Ash,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control than yuza juice added groups. The pH and formol-N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NFD groups however, acidity was reversed. Among the free sugars, glucose contents was the highest. And, free sugars contents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PFD groups than control group. Five kinds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nd succin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The organic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proportion to adding volume of yuza juice, in all groups.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PFD groups and among these, 1% yuza juice added PFD group(3970.0 mg%) was the highest. Hunter L value was lower by yuza juice added volume and higher in PFD groups. Hunter a and b values were non-significantly difference in PFD and NFD, respectively.

대학생들의 건강관련 요인이 커피와 전통음료의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Beverages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 신선영;정라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0-433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ealth related factors on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intake of coffee and traditional beverages among 280 university students (128 males and 152 females) who were residing in Incheon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le students of over weight and obese were more than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of under weight were more than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and had an experience in weight control more than male students. 2. The group who was much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preferred green tea, yuja tea and dunggulre tea. The group who was much interested in health when drink beverages preferred green tea, ginseng tea, dunggulre tea, vinegar drinks and water but didn’t prefer coffee. 3. The frequency of intake of green tea is high in the group who had an experience in weight control. And the frequency of intake of honey tea was high in the group who drank alcohol almost every day. Coffee intake was the highest among beverages in smokers and water intake was the highest among beverages in nonsmok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s an interest in health is higher,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intake of coffee was low whereas those who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s was high in general.

특용과수의 병해충 및 기상재해 방지를 위한 통합관리 플랫폼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Platform for Prevention of Disease and Insect-Pest of Fruit Tree)

  • 김홍근;이명배;김유빈;조용윤;박장우;신창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47-352
    • /
    • 2016
  • 최근 IoT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각종 환경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각 산업분야 중 농산업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농산업 분야에서 생장환경의 조성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병해충 및 기상재해 정보는 우리나라 평균 기상환경에 맞추어 방제 매뉴얼을 작성하여 제공됨으로 인해 실제 지역별 환경에 매우 힘든 실정이다. 특히, 특용과수는 전남지역에 생산량이 매우 높은편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정보에 대한 수집에서 전문가 정보 제공에 이르는 다양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기상 기후 수집 및 영상 정보를 통한 이미지 분석, 예찰 모형 등을 통해 병해충 및 기상 재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지원 플랫폼을 제안한다. 특용과수의 병해충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IoT 기술들을 활용하여 이를 통해 병해충에 대한 방제시기를 적절하게 알려주고, 생장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특용과수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