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soil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34초

소비자의 성별 구매특성에 따른 내의류 제품전략에 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Research on Underwear Products Strategies According to Consumer's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Sex)

  • 최경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5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underwear consumer's underwear purchasing behavior through survey. 6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and Chonju and 618 with usable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and factor analyses, t-test etc. using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male consumers buy underwears at discount stores whereas most female consumers at chain store. Throughout all four seasons, more male and female consumers do not wear heat-retaining underwears. Most male and female consumers do not have function-fiber underwears nor functional-finishing and natural-dyeing-treated underwears. Most consum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se underwear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most male consumers to choose underwears are comfort levels while in action, the sense of touch, comfort levels while wearing them while not in action, pleasance levels; whereas for females are comfort levels while in action, and comfort levels while wearing them while not in action. Male consumers prefer a little bigger-than-their-bodies size, dry and soft fabrics, plain white color; whereas female consumers prefer a little tight size, dry and soft fabrics and plain beige color, Most consumers want to buy functional-fiber underwears made of yellow- soil-and-charcoal-dyeing fabrics which has jade.

  • PDF

제한통성 메탄올자화세균인 Methylovorus sp. Strain SS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Restricted Facultatively Methylotrophic Bacterium Methylovorus sp. Strain SS1)

  • 서성아;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9-183
    • /
    • 1993
  • A restricted facultatively methanol-oxidizing bacterium, Methylovorus sp. strain SS1, was isolate dfrom soil samples from Kuala Lumpur, Malaysia, through methanol-enrichment culture technique. The isolate was nonmotile Gram-negative rod and did not have complex internal membrane system. The colonies were small, pale-yellow, and raised convex with entire margin. The cell did not produce any spores and capsular materials. The cell was obligately aerobic and exhibited catalase, but no oxidase, activity. Plasmid, carotenoid pigment, and poly-.betha.-hydroxybutyric acid were not found. The guanine plus cytosine content of the DNA was 55%. The isolate was found to grow only on methanol methylamine, or glucose. Growth factors were not required. Cells growing on methanol was found to produc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containing glucose, lactose, and fructose. Growth was optimal (t$_{d}$= 1.7) with 0.5%(v/v) methanol at 40.deg.C and pH 6.5. No Growth was observed at over 60.deg.C. Cell-free extracts of the methanol grown cells exhibited the phenazine methosulfate-linked methanol dehydrogenase activity Methanol was found to be assimilate dthrough the ribulose monophosphate pathway.y.

  • PDF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연구(生成硏究) -제(第)5보(報) : 토양생성(土壤生成)과 분류(分類)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Terrace Soils in Yeongnam Area -V : Soil Genesis and Classification)

  • 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5-282
    • /
    • 1986
  •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식질(埴質)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生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영천(永川)(내륙(內陸))과 영일(迎日)(해안(海岸))지역(地域)에서 대표적(代表的)인 연접단구군(連接段丘群)을 각각(各各) 선정(選定)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고 기보(旣報)한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과 단면발달도(斷面發達度),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광물학적특성(鑛物學的特性),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 특징(特徵) 등(等)을 토태(土台)로 본보(本報)에서는 토양생성(土壤生成)을 밝히고 합리적(合理的)인 토양분류(土壤分類)를 시도(試圖)하였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의 기상조건(氣象條件)은 연평균기온(年平均氣溫)이 $12.3{\sim}13.2^{\circ}C$, 온량지수(溫量指數)는 101.8~107.1, 강수량(降水量)은 년(年) 1,029.6~1,084.2mm, T-E지수(指數) 67.0~71.5, P-E지수(指數) 73.5~77.8 등(等)으로서 내륙(內陸)보다 해안지역(海岸地域)이 약간 높았으며 양지역(兩地域) 공(共)히 "Mesic" 지온권(地溫圈)에 속하였고 Thornthwaite의 토양기후도(土壤氣候圖)에 의하면 "적색(赤色) 또는 황색토지대(黃色土地帶)"에 속하였다. 2. 식질(埴質)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들은 모두 Argillic B층(層)을 가진 성숙토(成熟土)이었으며 영일지역(迎日地域)의 우평통(牛坪統)은 II B층에도 "Argillans"이 생성(生成)되어 있는 "Paleo-argillic" 토층(土層) 함유토양(含有土壤)이었다. 3.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생성년대(生成年代)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Bisequum" 단면(斷面)인 영천지역(永川地域)의 반천통(盤泉統)과 영일지역(迎日地域)의 우평통(牛坪統) 기층(基層)을 조사(調査)하여 본 결과(結果), 이들은 중생대(中生代) 혈암잔적(頁岩殘積) 또는 제(第)3기층(紀層)이었으므로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은 제(第)4기고층(紀古層)인 홍적층(洪積層)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4. 현재(現在) 널리 쓰여지고 있는 미농무성(美農務省)은 신토양분류법(新土壤分類法)과 F. A. O법(法)에 미비(未備)된 답토양(畓土壤)의 분류기준(分類基準)을 보완(補完)코자 단면(斷面)의 적색도(赤色度)를 적용(適用)하여 인위적(人爲的) 관개(灌漑)에 따른 표층회색화(表層灰色化) 토양(土壤)인 덕평통(德坪統)과 화동통(華東統)을 Anthr-epiaquic Hapludalfs(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 Anthr-epigleyic Acrisols(F. A. O. 법(法))로 분류단위(分類單位)를 신설(新設)하여 자연적(自然的) 지하수(地下水)에 의하여 심토(心土)가 회색화(灰色化) 된 우평통(牛坪統)(Aquic Hapludalfs 및 Gleyic Acrisols)으로부터 세분(細分)하고, 관개(灌漑)와 지하수(地下水) 양자(兩者)에 의하여 단면(斷面)의 대부분(大部分)이 회색화(灰色化)된 극락통(極樂統)은 Anthr-aquic Ochraqualfs(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 및 Anthr-tyicgleyic Acrisols(F. A. O. 법(法))으로 한 단위(單位) 높은 수준(水準)에서부터 구분(區分)하여 인공숙답(人工熟畓)임을 명시(明示)해 줄 것을 제안(提案)하였다. 한편 회색(灰色) 반문(班紋)이 전혀없는 반천통(盤泉統)은 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의 Typlc Hapludalfs, F. A. O법(法)의 Orthic Acrisols 이었다.

  • PDF

이원천 수질에 미치는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요인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and Soil-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Iwonch on Stream)

  • 방제용;양금철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83-190
    • /
    • 2009
  • 식생요인, 토양환경요인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1993~1997년의 자료를 토대로 2003~2007년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 식생요인과 하천수질, 토양요인과 하천수질의 상관성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형은 총 10개 type으로 구분되었으며 식생형별 수질과의 상관은 특히, 굴참나무군락에서 용존산소(DO)와 5% 수준(r=0.98)에서, 일본잎갈나무식재림과 T-P는 1% 수준(r=1)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삼림면적과 총인($Y_{T-P}$=-0.0017X+0.2215, r=0.16), COD는 $Y_{COD}$=-0.0395X+8.5051 (r=0.47)는 역의 상관을 BOD는 $Y_{BOD}$=0.0098X+3.0381 (r=0.19)로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토양형은 서쪽의 토양은 단순하지만 동쪽은 암쇄토를 비롯하여 적황색토, 퇴적토 등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pH는 5.4~6.0의 범위로 나타났는데 전국 토양 pH의 평균치인 5.4~6.9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TS는 75.8~80.2%, VS는 3.80~5.80%의 범위로 전국의 평균치보다 훨씬 높았다. 표토의 깊이와 유출량과는 $Y_{run-off}$=-1.0088X+35.378 (r=0.68)로 부(-)의 상관이 있는데 상류지역에서는 상관이 낮고, 하류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류지역의 경우 평균경사가 높아 표토의 깊이에 관계없이 유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상류지역보다는 하류지역의 표토 관리를 철저히 해야 유출량이 일정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양환경요인과 수질항목 간의 유의성은 토양 pH와 하천수질의 pH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lfalfa 품종별(品種別) 생육(生育) 및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대(對)한 석회(石灰) 및 근류균(根瘤菌) 접종효과(接種效果) (Effect of Lime and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Alfalfa Varieties)

  • 박훈;김무성;권항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1973
  • 세 Alfalfa 품종(品種)(Medicago sativa L. var. Moapoa, Washoe, Lahontan)의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석회(石灰)와 근류균접종효과(根瘤菌接種效果)를 적황색(赤黃色) 사양토(砂壤土)(여기(麗岐) 산토양 pH 4.9)를 사용(使用) Pot시험(試驗)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무석회구(無石灰區)에서는 발아율이 낮고 그후 생육(生育)이 되지 아니하였으며 Moapa가 가장 강하였다. 2. 무접종구(無接種區)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Moapa>Washoe>Lahontan의 순(順)이고 접종효과(接種效果)는 이와 반대였으며 근류균(根瘤菌) 착생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무접종구(無接種區)의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고 접종효과(接種效果)가 감소하였으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4. Moapa는 다른 두 품종(品種)에 비(比)하여 N, Ca, Mg의 농도(濃度)가 높은 반면 P, K의 농도(濃度)는 낮았다. 5. Washoe는 Lahontan에 비(比)하여 K가 높고 Ca가 낮으며, Lahontan은 Washoe에 비(比)하여 P가 높고 Mg가 낮다. 6. 접종(接種)에 의(依)해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P, K가 감소하였다. 7. Moapa의 다수성(多收性)은 N, Ca, Mg 흡수력(吸收力)이 강한 반면 P, K의 요구도가 적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소맥근권(小麥根圈)에서 분리(分離)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uorescent Pseudomoηas isolated from the wheat rhizosphere)

  • 이명철;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2-159
    • /
    • 1990
  • 밀의 근권(根圈)에서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에 대해 길항성(拮抗性)이 높은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연작장해(連作障害)의 피해경감과 생물방제(生物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삼고자 그 균이 생성(生成)하는 siderophore에 의한 사상균(絲狀菌)의 생육(生育) 저해력(沮害力)을 조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의 근권(根圈)에서 형광성(螢光性) 세균(細菌)을 선별하여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가 큰 (10mm이상) 균주(菌株)를 P. fluerescens Biovar I(Ps-1, Ps-2, Ps-5)과 Biovar II(Ps-3)로 동정(同定)되었다. 2. 선발균주(選拔菌株)가 생성(生成)하는 색소(色素)는 green-yellow 로 410nm에서 최대의 흡광도(吸光度)를 나타내었다. 3. Siderophore는 $Fe^{+3}$의 첨가시 생성량(生成量)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Fe^{+2}$의 첨가시에는 생성량(生成量)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4. 선발균주(選拔菌株)중 Ps-5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의 생육(生育)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eSO_4$의 처리시 생육(生育)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균주(菌株) Ps-1, Ps-2, Ps-3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는 컷으며 $Fe^{+2}$의 첨가시 저해력(沮害力)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5. 암소재배법(暗所栽培法)을 이용한 오이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 오이를 파종하여 접종효과(接種效果)를 본 결과(結果) Ps-2>Ps-1>Ps-5>Ps-3의 순(順)으로 접종효과(接種效果)가 있었으며 Ps-1과 Ps-2는 captan 50ppm의 처리구 보다도 효과(效果)가 더 좋았다.

  • PDF

피에조 콘 시험과 실내시험을 이용한 점토지반의 투수특성 연구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using the Piezocone Test and a Laboratory Test)

  • 구남실;김영민;박재환;장지건
    • 지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49-359
    • /
    • 2011
  • 점성토의 압밀거동은 투수성과 변형성에 영향을 받으며 그 중 투수성은 흙의 종류 및 상태, 특히, 이방성에 영향을 받는다. 연약지반의 투수계수는 피에조 콘 소산시험 및 실내압밀시험 (Oedometer test)에 의해 구할 수 있으며, 피에조 콘 시험으로 과잉간극수압 소산측정이 가능하여 수평압밀계수와 수평투수계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의 해성 점성토층을 대상으로 피에조 콘 소산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불교란 시료에 대한 실내시험(Oedometer, Rowe cell)을 실시하고 각 이론해 별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Jamiolkowski(M적용) 등(1985)의 해로 추정한 kh/kv가 이 연구 대상지반의 투수특성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나 국내의 연약지반에서 피에조 콘 소산시험 및 실내시험 (Oedometer test)에 의하여 투수특성(kh/kv, kh)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이들 이론해의 적용을 추천한다.

Mg시비농도가 절화국 'Biarritz지 생육과 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g Concentration in Fertigation Solution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Cut Chrysanthemum 'Biarritz')

  • 김정만;최종명;정해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7
    • /
    • 2005
  • Mg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한 후 국화를 재배하면서 각 원소의 시비수준이 생육과 절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Mg 결핍증상은 노엽의 엽맥이 갈변한 후엽 전체로 갈변 현상이 확산되고, 최종적으로 노엽이 탈락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Mg 시비농도가 증가할 수록 정식 109일 후의 절화중이 무거워져 1.5mM 시비 구에서 8.84g이었다. 건물 중은 Mg 시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도 증가하였으나, 2.0mM 이상의 고농도 시비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0.5, 1.0 및 1.5mM 시비구에서의 건물중이 8.42, 8.75 및 8.84g이었고,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의 Mg함량이 각각 0.34, 0.53 및 $0.71\%$였다. 따라서 절화국 'Biarritz'의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최상위에서 $3\~4$번째 잎)의 건물중을 기준으로 $0.64\%$ 이상이 유지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던 1.5mM의 토양 용액내 농도를 고려할 때 $3.68mg{\cdot}L^{-1}$ 이상의 Mg 농도가 되도록 시비하여야 한다.

왕흥사 목탑의 복원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 김경표;성상모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3호
    • /
    • pp.7-29
    • /
    • 2010
  • The form of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site is that of the traditional form of the wooden pagoda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ae Period. Likewise, it is an important ruin for conducting research on the form and type of the wooden pagoda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ae Period. In particular, the method us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entral pillar's cornerstone is a new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tore the ruin of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of the Baekjae Period that remains at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site. Until now, research conducted on the wooden pagoda took place mostly centered on the Hwangryongsa Temple's wooden pagoda. Meanwhile, the reality concerning Baekjae's wooden pagoda is one in which there were not many parallel cases pertain to the design for restoration. This research paper wants to conduct academic examination of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to organize the intention of design and design process in a simple manner. This research included review of the Baekjae Period's wooden pagoda related ruins and the review of the existing wooden pagoda ruin to analyze the wooden pagoda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era. Then, current status of the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site is identif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pagoda, and to set up the layout format and the measure to estimate the size of the wooden pagoda in order to design each part. Ultimately, techniques and formats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wooden pagoda were aligned with the wooden pagoda of the Baekjae Period. Basically, conditions that can be traced from the current status of the Wangheungsa Temple site excavation using the primary standards as the standard.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was designed into the wooden pagoda of the Baekjae's prosperity phase. The plane was formed into $3{\times}3$ compartments to design into three tier pagoda. The height was decided by factoring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ast-West corridors, size of the compartment in the middle, and the view that is visible from above the terrace when entering into the waterway. Basically, the origin of the wooden structure format is based on the Goguryeo style, but also the linkage with China's southern regional styles and Japan's ancient wooden pagoda methods was factored in. As for the format of the central pillar, it looks as if the column that was erected after digging the ground was used when setting up the columns in the beginning.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of the wooden pagoda, central pillar looks as if it was erected by setting up the cornerstone on the ground. The reason that the reclaimed part of pillar that use the underground central cornerstone as the support was not utilized, was because the Eccentric Load of the central pillar's cornerstone was factored in the state of the layers of soil piled up one layer at a time that is repeated with the yellow clay and sandy clay and the yellow clay that were formed separately with the $80cm{\times}80cm$ angle at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pillar's cornerstone was factored in as well. Thus, it was presumed that the central pillar was erected in the actual design using the ground style format.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cases in which the reclaimed part of pillar were used when constructed for the first time, but in which central pillar was installed later on, after the supplementary materials of the underground column is corroded. In this case, however, technique in which soil is piled up one layer at a time to lay down the foundation of a building structure cannot be the method used in that period, and the reclamation cannot fill up using the $80cm{\times}80cm$ angle. Thus, it was presumed that the layers of soil for building structure's foundation was solidified properly on top of the central pillar's cornerstone when the first wooden pagoda construction work was taking place, and that the ground style central pillar was erected on its upper part by placing the cornerstone once again.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is significant from the structure development aspect of the Korean wooden pagodas along with the Hwangryongsa Temple's wooden pagoda.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construction technique which was developed during the prosperity phase of the Baekjae Period is presumed to have served as a role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ksan Mireuksa Temple's wooden pagoda and Hwangryongsa Temple's wooden pagoda. With the plan to complement the work further by excavating more, the basic wooden pagoda model was set up for this research. Wangheungsa Temple's wooden pagoda was constructed as at the Baekjae Kingdom wide initiative, and it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onstruction of superb pagoda using state of the art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era during the Baekjae's prosperous years, amidst the utmost interest of all the Baekjae populace. Starting out from its inherent nature of enshrining Sakyamuni's ashes, it served as the model that represented the unity of all the Baekjae populace and the spirit of the Baekjae people. It interpreted these in the most mature manner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상토 및 트레이 종류에 따른 종실용 들깨의 육묘 특성 (Seeding Soils and Tray Types Medi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Perilla Seedlings)

  • 박진기;한원영;한길수;류종수;원옥재;정태욱;윤영호;배진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63-71
    • /
    • 2020
  • 본 연구는 기존 채소 정식기를 활용하여 기계화율이 낮은 종실용 들깨를 대상으로 육묘 기계정식 재배 시 적합한 상토, 트레이, 육묘일수를 설정하고자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의 지상부 생육은 수도용 경량인 R1 상토가 가장 좋았으며, 주요 성분비는 질석(Vermiculite) 41.0%, 코코피트(Cocopeat) 31.0%, 황토(Red-yellow soil) 20.0%, 피트모스(Peatmoss) 5.7%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묘를 직접 뽑아서 공급하는 반자동 정식기를 사용할 경우 128~220공 트레이와 수도용 경량 상토에서 23일 육묘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3. 128공 전용트레이를 사용하는 꽂아내기식 정식기는 매트형성과 초장을 고려하면 수도용 경량 상토에서 23일 정도 육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20공 전용트레이를 사용하는 밀어내기식 정식기는 줄기를 잡고 정식하기 때문에 초장이 15 cm 이상 되어야 가능하다. 220공에서 15 cm 이상으로 육묘하는 것이 어려워 기계정식에는 부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