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extract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5초

Screening of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Using Recombinant Yeast Carrying Human Lanosterol Synthase

  • Sung, Chung-Ki;Kim, Eun-A;Chu, Yun-Ho;Shibuya, Masaaki;Ebizuka, Yutak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99-303
    • /
    • 2003
  • For the screening of inhibitors of sterol biosynthesis from natural products, a simple and rapid assay method was developed using recombinant yeast carrying human lanosterol synthase, main target of this assay method. Sterol bio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was monitored only by the inhibition of growth of the recombinant yeast. By changing the substrate, this assay method can figure out which step is inhibited in the sterol biosynthesis by the test material. With this assay method total 102 plant sample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of sterol biosynthesis. Among plant water extracts screened, 11 plant samples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sterol biosynthesis in ergosterol (-) medium. For selection of the specific inhibitory materials, 11 plant samples were reassayed in ergosterol (+) medium. After all 5 plant samples, Abutilon avicennae Gaertn. (stem), Alnus japonica Steud. (stem), Amaranthus mangostanus L. (aerial part), Philadelphus schrenckii Pupr. (leaf) and Pimpinelia brachycarpa Nakai (aerial part), showed specific inhibitory activity.

Estroge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Pomegranate(Punica grantum L.)

  • Lee, Eun-Mi;Kwak, In-Seob;Kim, Hyun-Jong;Park, Yong-Kon;Chung, Bong-W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368-372
    • /
    • 2005
  • Phytoestrogens are non-steroidal compounds found in a variety of plants, which exert estrogenic effects in animals. In this study, the useful compounds of pomegranate as preliminarily research for the developing of natural estrogen supplement were determin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phytoestrogens in the pomegranate was estimated by using the Yeast Estrogen Receptor and E-screen assay. Estrogenic activity of all pomegranate extracts in the Yest Estrogen Receptor assa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concentration. Whereas peel extracts of Iranian and domestic red pomegranate a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E-screen assay. When various pomegranate extracts enzyme and acid hydrolyzed, three aglycones of phytoestrogen, kaempferol, quercetin and catechin were detected. Peel extract of domestic red pomegranste contained more than kaempferol(87.0 mg%), quercetin(172.8 mg%)) and catechin(956.8 mg%) than other extracts. Thes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s of key phytoestrogens among various extract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differences in estrogenic activities. Among these three compound, kaempferol showed the highest MCF-7 cell enhancing efface.

  • PDF

Pharmacological Studies of Various Extracts and the Major Constituent, Lupeol, obtained from Hexane Extract of Teclea nobilis in Rodents

  • Al-Rehaily, Adnan J.;El-Tahir, Kamal E.H.;Mossa, Jaber S.;Rafatullah, Syed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76-82
    • /
    • 2001
  •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acetonitrile (MeCN), hexane extracts and isolated pure terpenoidal compound Lupeol from the leaves of Teclea nobilis, Delile (TN), on inflammation induced by carrageenan an implantation of cotton pellets in rats; the nociceptive response using writhing and tail flick tests and the antipyretic activity in yeast-induced fever were examined in mice. Oral administration of TN extracts at doses of 150 and 300 mg/ks and lupeol 5 and 10 mg/kg showed a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ts. The extracts of TN and lupe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contractions and stretchings induced by acetic acid and heat-induced pain in mice. The antipyretic effect of extracts and lupeol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 behavioral observation of animals showed that the hexane extract and lupeol caused CNS depressant activity and did not produce any toxic or lethal effects in animals at various dose leve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clea nobilis extracts and lupeol possesses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 PDF

자기소화 시간에 따른 호모 Extract의 성분과 풍미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lavor of Yeast Extracts during the Autolysis of Baker's Yeast)

  • 이철호;박장열;정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87
    • /
    • 1981
  • 효모를 자기소화시켜 효모 extract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기소화 extract의 화학적 조성 및 관능검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자기소화가 진행될수록 조단백질, 아미노대 질소, 아미노산 등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2. 효모 extract에서 15가지 아미노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들 아미노산중 glutamic acid, alanine 및 lysine이 특히 많았으며 이 세가지 아미노산이 전 아미노산의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3. 복합 2점 비교시험에 의하면 효모 extract의 맛은 자기소화 시간 16시간까지 현저히 변하였으며 16시간과 48시간 사이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Profile method로서 호모 extract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냄새의 종류로 8가지 표현과 맛의 종류 6가지 표현을 얻었고 그 표현에 대한 강도와 폭을 자기 소화 시간별로 QDA method로 나타내었다. 자기소화가 경과됨에 따라 간장냄새 및 메주냄새등은 효모냄새, 맥아냄새 및 구수한 냄새로, 또한 간장맛 등에서 쇠고기 국맛과 감주맛 등으로 맛이 강하여졌다. 이러한 현상은 QDA chart의 형태와 면적의 변화로 표현될수 있었다. 자기소화가 진행될수록 냄새 (aroma)의 폭(amplitude)보다는 맛(taste)의 폭이 더 민감한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이것은 aroma grade index와 taste grade index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표시될 수 있었다.

  • PDF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과 Diacylglycerol Oi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Oils Produced Using Red Yeast-Rice Ethanol Extracts and Diacylglycerol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홍국쌀을 $35^{\circ}C$, 175 rpm에서 80% ethanol을 이용하여 0.5, 1, 2, 4, 8, 24시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에탄올 추출한 결과, 1시간(yield, 1.203%) 이후의 추출 시간 증가는 추출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시간 추출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600(A), 1200(B), 1800(C), 2280(D) ppm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유지의 색도는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a^*$ 값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유지의 monacolin K 및 총 페놀 함량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Rancimat$(98^{\cir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능성 유지의 induction time이 각각 control(4.3 hr), A(3.2 hr), B(2.6 hr), C(2.4 hr), D(2.2 hr)로 추출물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코에 의해 얻어진 각 시료의 센서의 감응도$({\Delta}R/R_0)$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및 MANOVA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기여율은 99.66%로 분석되었으며 함유된 추출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각각 차별적인 향 패턴(odor difference)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

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항염활성과 Nitric Oxide 생성 저해물질의 생산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Wild Yeasts,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 and Rhodotorula graminis YJ36-1,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in RAW 264.7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Cytotoxic Effects)

  • 배상민;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6-3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산과 섬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항염 효과가 우수했던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무세포 추출물들을 제조하여 대식세포 계열 RAW 264.7 세포에 대한 이들의 NO 생성 저해활성과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NO 생성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 M. guilliermondii YJ34-2와 R. graminis YJ36-1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 시 각각 51.6%와 81.4%를 보여 가장 높았고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도 1,000 mg/mL 처리시 각각 88.4% (${\pm}3.1$)와 77.1% (${\pm}0.3$)로 가장 높았다. 두 효모들의 무세포 추출물 처리에 따른 prostaglandin $E_2$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각각의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했을 때,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생성량이 59.2 (${\pm}43.1$), 73.2 (${\pm}38.1$)%로 감소하였고 prostaglandin $E_2$의 생성량도 52.8 (${\pm}1.9$), 71.2 (${\pm}3.7$)%로 감소하여 이 두 효모들의 항균활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두 효모들의 NO 생성 저해물질 최적 생산조건을 조사한 결과 M. guilliermondii YJ34-2를 yeast extract-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 추출물이 가장 높은 51.6 (${\pm}0.3$)%의 NO 생성 저해율을 보였고 R. graminis YJ36-1를 YPD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81.4 (${\pm}1.3$)%의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Effect of Fermented Sea Tangle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Cha, Jae-Young;Jeong, Jae-Jun;Yang, Hyun-Ju;Lee, Bae-Jin;Cho, Young-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8호
    • /
    • pp.791-795
    • /
    • 2011
  • Sea tangle, a kind of brown seaweed,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BJ-20. Th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fermented sea tangle (FST) was 5.56% (w/w) and GABA in total free amino acid of FST was 49.5%. The effect of FST on the enzyme activities and mRNA protein expression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involved in alcohol metabolism in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investigated. Yeast was cultured in YPD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ST powder [0, 0.4, 0.8, and 1.0% (w/v)] for 18 h. FST had no cytotoxic effect on the yeast growth. The highest activities and protein expressions of ADH and ALDH from the cell-free extracts of S. cerevisiae were evident with the 0.4% and 0.8% (w/v) FST-supplemented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GABA as well as minerals (Zn, Ca, and Mg) were found in the cell-free extracts of S. cerevisiae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0.4% (w/v) FST. The levels of GABA, Zn, Ca, and Mg in S. cerevisiae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nzyme activities of ADH and ALDH in ye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ST can enhance the enzyme activities and protein expression of ADH and ALDH in S. cerevisiae.

인삼과 당귀 재배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 (Isola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 in the Fields of Medicinal Plants, Ginseng and Korean Angelica)

  • 김지윤;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5-323
    • /
    • 2018
  • 약용식물 재배지 토양의 야생효모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야생효모들의 산업적 응용성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먼저 약용식물 집단 재배지인 충남 금산의 인삼과 당귀 재배지의 토양들을 2018년 3월에 50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시료들로부터 21종 43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되었고 인삼재배 논 토양에서는 Rhodotorula glutinis 균주가 6주, 당귀 재배 밭 토양에서는 Cyberlindnera saturnus 균주가 역시 6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이들 야생효모들을 이용하여 미백성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이들의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온성 야생효모인 Naganishia globosa G1-7가 28%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우수효모로 선발하였다.

효모성장 측정을 이용한 인삼추출물의 생물학적 검정 (A Bioassay of Ginseng Extract s Based on Yeast Growth Determination)

  • Jung, Noh-Pa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24-34
    • /
    • 1981
  • For bioassay of the various extracts of ginseng, the growth determination metho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was cultured with various doses of the extracts, was studied The water extract, Powder. and ethanol extract were more effective (about 45∼ 110% increase) than saponins or its fractions (about 20∼35% increase). The cold methanol residue showed a increase effect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bioassay curves for the water extract, ethanol extract, the butanol extracted saponins and the cold methanol- residue were made from the experimental data. From these curves it is possible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dose and effectiveness and the optimal doses of various ginseng extracts, and the amount of extract in a sample can be estimated The .angers of sample amount were 0.01% (100ppm) ∼0.32% (3200ppm) fo. the water extract, 0.025% (150ppm)∼0.1% (1000ppm) for the ethanol extract, and 0.008% (80ppm)∼0.016% (160ppm) for the saponins. It wa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range for the cold methanol- residue, The acceleration effects on the cell proliferation by a only 0.0008% (8ppm) of the diol- and triol-saponin were measurable in earlier Period (24 hour treatment).

  • PDF

게르마늄강화효모의 게르마늄결합 단백질의 분리 및 확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Identification and Purification of Germanium-fortified Yeast)

  • 이성희;이상광;이현주;이용섭;박은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55-59
    • /
    • 2006
  • 본 연구는 게르마늄 강화 효모의 제조 공정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고 제조된 게르마늄 강화 호모 내의 게르마늄 결합 상태 확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영양소별 최적조건은 글루코스 3.0%, 효모추출물 0.3%, 펩톤 0.5%이었으며, 이 때 생성된 균체량은 67.4 mg/ml이었다. 또한 균체와 게르마늄 용액 혼합 비율은 1 : 0.5(50%), pH는 6.5 및 온도는 $35^{\circ}C$로 배양하는 조건이 높은 함량의 게르마늄을 효모 균체 내로 흡수시켜 게르마늄 강화 효모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배양 과정을 통해 생산된 게르마늄 강화 효모는 배양 과정동안의 구조적 변화에 의해 효모 내에 흡수된 무기 형태인 $GeO_2$ 게르마늄과는 다른 구조를 나타내었다. 게르마늄 강화 효모는 효모 배양 과정을 통해 인체에 안전한 형태인 천연 유기 게르마늄을 형성하였다. 이는 각종 암,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 인체 면역력의 증진 등 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원료로의 활용이 기대되며, 이에 대한 안전성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