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extract elicito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캘러스에서 elicitor와 전구체에 의한 Salidroside 생산성의 변화 (Production of Salidroside in Rhodiloa sachalinensis A. Bor Callus by the Elicitation and Precursor)

  • 이재승;김민영;김재헌;남종현;이현용;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8-272
    • /
    • 2008
  • 참돌꽃 캘러스로부터 elicitor와 전구체가 salidr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Elicitor로서 효모추출물, 연자성 세라믹, methyl jasmonate, jasmonic acid, ascorbic acid, 및 중금속 ($CuCl_2$/$CdCl_2$)을 캘러스 배양에 처리하였다. 효모추출물 $0.2g/\ell$농도로 처리한 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보다 3.45배 증가시켰다. 사용된 elicitor 중 효모추출물이 가장 높은 salidroside 생산을 보여 가장 적합한 elicitor로 사료된다. 전구체로서 L-phenylalanine과 L-tyrosine을 배지에 첨가하여 4일 간 배양 처리하였다. Salidroside 함량분석 결과 캘러스로부터 전구체들은 유용물질 생합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캘러스 배양에 첨가 처리된 L-tyrosine의 모든 농도의 경우에는 캘러스 생장뿐만 아니라 salidroside 생산을 감소시켰다.

Elicitor-induced Phenylalanine-Ammonia Lyase, Cinnamic Acid 4-Hydroxylase and $rho-Coumaroyl$ transferase Activity in Ephedra Distachya Cultures

  • Song, Kyung-Sik;Yutaka Ebizuk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19-222
    • /
    • 1996
  • Ephedra olistachya cultures have been known to accumulate $rho-coumaroylamino$ acids by elicitor treatment. Based on their chemical structures, the biosynthetic pathway of$rho-coumaroylamino$acids was postulated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cinnamic acid 4-hydroxylase (4-CH) and p-coumaroyl CoA: D-Ala p-coumaroyltransferase ($rho-CT$) were supposed to be involved in the pathway. The time course inductions of these enzymes were investigated after treatment of yeast extract, yeast-derived mannan glycopeptide and D-Ala. They were detectable at only 4 hours and reached to their maximum level at 9 hours after onset of elicitor treatment. The activities of PAL and 4-CH were almost disappeared within 24 hours, however, that of $rho-CT$was remained up to 48 hours irrespective of the kind of elicitors. $rho-CT$ showed substrate specificity to D-Ala at crude enzyme extract level.

  • PDF

Elicitation and In Situ Recovery of Alkaloids in Suspension Cultures of California Poppy

  • Byun, Sang-Yo;Pedersen, Henr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220-226
    • /
    • 1991
  • Large and rapid increases in benzophenanthridine alkaloid production occured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cells treated with elicitors. Response to different biotic elicitors showed that elicitors prepared from yeast extract, Collectotrichum lindemuthianum and Verticillium dahliae induced alkaloid formation. Highest alkaloid accumulation was obtained with $60\;\mu\textrm{g}$ of yeast extract elicitor per gram of fresh cell weight. In time course performance after elicitor addition, more than 40 hours were required to obtain saturated alkaloid accumulation. Compounded silicone fluid, an ideal accumulation phase for two-phase culture of E. californica,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alkaloids produced in a specific manner. Elicitation in two-phase culture clearly increased net alkaloid production as well as their concentrations in the accumulation phase.

  • PDF

기포 생물반응기에서 페퍼민트 세포의 생육 및 정유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Oil Production of Peppermint Cells in an Air-bubble Bioreactor)

  • 송은범;이형주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95-503
    • /
    • 1993
  • 페퍼민트 세포의 회분배양에 의한 monoterpenoid 풍미성분의 생산 가능성과 세포의 생육 및 정유생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캘러스로부터 얻은 모배양액 을 기포반응기 형태의 생물반응기에 접종하여 배양 하였다. 회분배양 중 접종량, abiotic stress, yeast elicitor, 그리고 2단 배양 등의 배양조건이 세포생육 과 박하정유 생성 빛 조성에 마치는 영향을 조사하 였으며 배지의 sucrose 농도와 세포생육의 kinetics 를 분석하였다. 접종량을 탈리하여 배양한 결과 2.0 %(PCV)를 접종한 경우가 반응기에서 배양이 가장 적당하였는데 배양 10일 만에 5.8g/P 의 세포생육을 얻었으며 0.109g/P 의 박하정유가 생성되였다. Abi-otic stress의 영향을 보기 위해 16시간은 $27^{\circ}C$ 에서 명상태로,8시간은 암상태로 하고 10'C로 온도를 낮추어 배양한 결과 세포의 생육은 떨어졌으나 박하정유 생성량은 0.546g/P 로 높은 수율을 보여 주었다. 사용한 Lin-Staba 배 지 에 100mg/P 의 yeast extract를 elicitor로 첨가했을 때 세포의 생육과 정유 의 생성량이 높았으며 유일하게 menthol이 정유 중 22.5%의 높은 농도로 생성되었다. 배지의 당농도를 1/2로 줄이고 $27^{\circ}C$ , 명조건으로 6일간 배양한 후 1OOmg/P 의 yeast elicitor를 첨가하여 8시간을 암 상태와 lOoe로 저온처리를 실시하여 6일간 배양한 결과 8일 이후에는 세포의 생육이 감소하였고 정유 생성량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menthol도 생생되지 않았다. Dry cell yield는 O.38g dry cell/g sugar이 였으며 specific growth rate은 O.25day-1 이었다. 회분배양에 의해 박하정유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으 냐 menthol이 생성되지 않고 전구체인 pulegone과 p piperitone이 축적되였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yeast elicitor를 첨가한 경우 menthol이 22.5%로 생성되 었는데 이제까지 박하세포 배양에 의해 생성된 men­t thol 함량으로는 최대치를 보여주는 결과이였다.

  • PDF

Yeast Extract로 처리된 Eschscholtzia californica의 Metabolite와 Protein의 변화 (Profiling of Metabolites and Proteins from Eschscholtzia californica induced by Yeast Extract)

  • 조화영;박정진;윤성용;박종문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85-290
    • /
    • 2005
  • Sanguinarine은 천연 항균성 물질로 의약품, 생활용품 그리고 화장품 등 그 이용은 다양하나 가격이 비싸고 수율이 따르지 못하는 점을 식물세포배양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nguinarine의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인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cell selection방법과 유전적 접근인 protein의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였다. Yeast extract를 elicitor로 이용하였을 경우에 control에서는 관찰 할 수 없었던 sanguinarine에 해당하는 오렌지색의 형광을 볼 수 있었으며, 실제 metabolite의 분석에서도 sanguinarine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세포 내부에서는 sanguinarine이 약 8배의 증가를 보였으며 배지에서는 약 5배의 증가를 보였다. Protein 역시 2-D electrophoresis로 확인한 결과 intensity가 $5\%,\;88\%,\;6.4\%$의 증가, 일정, 감소를 보인 spot들이 elicitor 처리 후 세포에서는 $34\%,\;39.4\%\;26.5\%$로 intensity가 증가된 spot들이 더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anguinarine을 yeast extract를 이용해서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sanguinarine의 생산과 관련된 protein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예와 같은 실험 연구방법이 식물이차대사산물 생산성에 관련된 protein군을 규명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종의 Elicitor 및 Amino Acid가 배양세포내 Taxane 유도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Elicitors and Amino Acids on Production of Taxane Derivatives in Cultured Cells)

  • 임숙;신승원
    • 생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0-364
    • /
    • 1998
  • To develop new elicitors inducing the high productivity of taxane derivatives, plant growth inhibitors, namely, maleic acid hydrazide, N-phosphomethyl glycine and succinic acid 2.2-dimethyl hydrazide, coconut milk and yeast extract were administrated in the cell suspension culture system of Taxus cuspidata, and the production of baccatin III were analysed. The effects of amino acid related with the biosynthesis of baccatin III were also examined in these culture system. As the results, a remarkable enhancement of baccatin III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cultivation with coconut water and with maleic acid hydrazide.

  • PDF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모상근의 Betalain 및 Phytolaccosides 생성에 미치는 배지 및 Elicitor 영향 (Effects of Media and Elicitor on Betalain and Phytolaccosides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s of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 양덕조;김용해;윤길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07-514
    • /
    • 1998
  • 자리공 엽절편에 Agrobacterium tumefaciens $A_4$T을 접종하여 암상태에서 초기 접종량의 139배로 분지능이 높고 성장률이 우수한 모상근 세포주인 PEH2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모상근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인 Phytolaccoside G 및 D2를 IR, Mass, NMR등으로 동정하였다. 모상근 PEH2의 성장은 SH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암상태 보다 광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40%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betalain의 생성은 white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배지별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MS배지에서 암상태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 및 . White 배지에서는 암상태보다 광상태에서 높은 생성을 나타내어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광에너지에 의하여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자리공 모상근에서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처리한 elicitor 을 처리하였던 바, 모상근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나, chitosan 및, yeast extract에 의하여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이 촉진되어 적절한 elicitor와 광의 조합처리는 자리공 모상근으로부터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licitation of Camptothecin Production in Cell Cultures of Camptotheca acuminata

  • Song, Seung-Hoon;Byun, Sang-Y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91-95
    • /
    • 1998
  • Camptothecin productoin was increased with elicitors, methyl jasmonate, jasmonic acid, yeast extract elicitor, and ferulic acid in suspension cultures of Camptotheca acuminata. Jasmonic aci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elicitor. Camptothecin production increased 11 times by using the optimum dosing concentration of jasmonic acid which was 50 ${\mu}$M. The kinetics of camptothecin accumulation in response to the treatment with jasmocin acid showed that the comptothecin accumulation reached the maximum value at 4 days after jasmonic acid dosing and then a rapid decrease in camptothecin accumulation was observed.

  • PDF

Elicitor-induced accumulation of stilbenes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ayratia trifolia (L.) Domin

  • Roat, Chetana;Ramawat, K.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2호
    • /
    • pp.135-138
    • /
    • 2009
  • Cell cultures of Cayratia trifolia (Vitaceae), a tropical lianas, were maintained in Murashige and Skoog's medium containing $0.25mg\;1^{-1}$ NAA, $0.2mg\;1^{-1}$ kinetin and casein hydrolysate $250mg\;1^{-1}$.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 trifolia accumulate stilbenes (piceid, resveratrol, viniferin, ampelopsin), which on elicitation by any of $500{\mu}M$ salicylic acid, $100{\mu}M$ methyl jasmonate, $500{\mu}M$ ethrel and $500mg\;1^{-1}$ yeast extract, added on the 7th day, were enhanced by 3- to 6-fold ($5-11mg\;1^{-1}$) by the 15th day.

Elicitor에 의한 baccatin III의 세포내 생합성 조절연구 (Elicitors for the Regulation of baccatin III Biosynthesis in Plant Cell Culture System)

  • 신승원;김유선;임숙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0-65
    • /
    • 2000
  • The yeast extract, coconut water, safflower seed oil, arachidonic acid, linolenic acid, jasmonic acid and methyl jasmonate were added to Gamborg's B$_{5}$ medium. The changes on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were estimated every 30 minu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selected high yielding cell culture system of Taxus cuspidata. In most cases, the peaks of baccatin III productivity occured at 90~120 min after addition of elicitors. Among the compound elicitors, safflower seed oil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Also arachidonic acid and linolenic acid increased the baccatin III pro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