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y table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2초

디지털 심혈관조영장치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선량 감소 (Reduction of Radiation Dose according to Geometric Parameters from Digital Coronary Angiography)

  • 강영한;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77-284
    • /
    • 2013
  • 심혈관 촬영 시 선량감소를 위해 실무자가 조절 가능한 기하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 특성에 따른 유효선량을 비교해 보았다. 인체 모형 팬텀을 이용하여 투시촬영과 영화촬영을 시행하였고, 선량의 측정은 심혈관 장치의 DAP meter를 이용하여 DAP 값을 유효선량으로 환산하였다. 먼저 영화촬영은 투시촬영에 비해 기하학적 특성 전반에 걸쳐서 선량이 약 6-7배 높았다. FPS mode에 따른 선량은 FPS를 낮게 설정할수록 선량이 70%까지 감소하였다. 선관 각도에 따른 선량은 LAO $45^{\circ}$+Caudal $30^{\circ}$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조사야 조절장치를 많이 적용할수록 선량은 감소하였다. X-선관과 영상증배관의 거리가 10 cm 멀어질수록 투시촬영과 영화촬영에서 각각 선량이 25-35%까지 증가하였다. FOV가 확대될수록 선량이 1.21-2배 증가하였고, 테이블과 영상증배관 거리가 10cm 멀어질수록 선량은 1.11-1.25배 까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험한 기하학적 특성인 FPS mode, 선관 각도, 조준기, 선관과 영상증배관 거리, 테이블과과 영상증배관 거리, FOV 영상 확대 등은 중재적 시술 시 실무자가 수시로 조절 가능한 인자이며, 각 특성에 따라 선량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방사선치료계획의 임상적용을 위한 3차원 볼륨렌더링영상 체적변화의 모형연구 (A Phantom study of Displacement of Three Dimensional Volume Rendering for Clinical Application in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 구은회;이재승;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80-288
    • /
    • 2009
  • 본 연구는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의 체적변화를 위한 정밀한 모형을 고안, 제작하고 방사선치료계획 시스템의 재구성 과정에서 모형의 길이, 면적, 부피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형을 이용한 표준화된 전산화치료조준계획을 절편두께 1.25, 2.5, 5, 10mm로 시행한 후 3차원 재구성 영상을 절편두께와 모형의 형태에 따라 스캔방향(X), 두께(Y), 테이블 이동거리(Z), 면적(A), 부피(V)에 대한 변화와 분석자간 측정편차 및 최소값과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모형의 횡단면을 재구성한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에서 절편두께가 1.25mm와 2.5mm에서 모형의 형태에 따라 X, Y, Z축 방향으로 최대 0.13cm(p<0.05)의 감소를 보였고 길이, 면적, 부피에 대하여 0.1cm, $0.8cm^2$, $3.99cm^3$(p<0.05) 정도의 감소를 보여 모형과 매우 근접한 영상을 획득하였다. 그러나 절편두께 5mm, 10mm에서 절편두께와 스캔 단면적이 증가하고 원형의 모형일수록 X, Y, Z축 방향으로 최대 0.58cm(p<0.05)의 감소를 보였고 길이, 면적, 부피에 대하여 최대 0.45cm, $8.21cm^2$, $11.03cm^3$(p<0.05)의 감소를 보였다. 모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계획의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의 절편두께와 모형의 형태에 따라 체적의 변화가 다양하게 발생하였으며 전산화치료조준계획을 시행할 경우 절편두께가 3mm 이하일 때 임상적으로 적절한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재(木材)에 있어서 못의 정적인발저항(靜的引拔低抗)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atic Withdrawal Resistance on Nail in Wood)

  • 김수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8-11
    • /
    • 1979
  • 못의 보지력(保持力)인 정적인발저항(靜的引拔抵抗)에 관(關)하여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재(材)와 Larix leptolepis Gord.재(材)의 두 수종(樹種)에 대하여 못 박은 후(後) 시간별(時間別) 차이(差異), 재(材)의 함수율별(含水率別) 및 Radial, Tangential, Longitudinal, 등(等)의 재(材)의 방향별(方向別)에 대해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못을 박은 후(后) 인발저항(引拔抵抗)은 Larix leptolepis Gord. 재(材)에서는 Tangential이 최대(最大)였다.(Fig 3.)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재(材)는 Tangential이나 Radial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은 차이(差異)가 없다.(Fig 2) 2) Longitudinal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은 두 수종(樹種) 모두 최소(最小)이다. (Fig 2, 3.) 3) 일정(一定)한 시간후(時間后)에는 Radial 및 Tangential는 두 수종(樹種)이 모두 감소(減少)한다. 4) 재(材)의 함수율(含水率)이 증가함에 따라 두 수종(樹種)이 인발저항(引拔抵抗)은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한다. (Fig 4, 5) 5. Larix leptoleis Gord. 재(材)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의 감소상태(減少狀態)은 섬유포화점(纖維飽和点) 부근(附近)에서 변곡점으로 나타났다. (Fig 5)

  • PDF

임목(林木)((해송(海松)) 적지선정(適地選定)에 관한 연구(硏究) (The Selection of the Suitable Site for Forest Tree(Pinus thunbergii))

  • 정영관;박남창;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420-430
    • /
    • 1993
  •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주요 수종(樹種)인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하리라 예상되는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과 환경인자(環境因子)중 18개 인자(因子)를 218개 표준지(標準地)에서 측정(測定)하여 설명변수로 하고, 해송(海松)의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 즉 임분(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를 반응변수로 하여 상관분석, 편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해송(海松)의 적지선정(適地選定), 생장량(生長量) 추정 및 비배관리 등에 대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이 연구(硏究)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토양(土壤) 및 환경인자(環境因子)간의 상관에 있어서, 지위지수(地位指數)와 유효토심간의 상관계수 r=0.6498로 약간 높게 나타났고(p<0.01), 다음으로 경사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순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2. 각종 인자간의 내부상관을 배제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 영향인자간의 편상관에 있어서는 유효토심(r=0.6270), 경사도(r=-0.5423), 염기포화도(r=0.3278) 순으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단계적회귀분석 결과,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군(因子群)은 유효토심, 경사도, 유기물함량, 염기포화도, 토양산도, 미사함량 및 치환성 $Ca^{{+}{+}}$ 군(群)으로 나타났다. 4. 토양(土壤) 및 환경인자(環境因子)에 의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 추정식은 $Y=13.2691+0.0242\;X_2-1.2244\;X_4+0.6142\;X_5-0.3472\;X_{11}+0.0355\;X_{13}+0.1552\;X_{15}-0.1002\;X_{17}$으로 도출되었고, 추정식에 대한 적합도는 77%로 나타났다. 5.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하는 인자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eigenvalue 1.0 이상의 주성분은 6개였으며, 이들의 누적기여율(累積奇與率)은 71.1%였다. 6. 요인분석(要因分析)에 의하여 산출된 6개의 요인점수(要因點數)와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의 관계를 단계적회귀분석한 결과, 5개의 요인점수(要因點數)를 갖는 추정모델이 도출되었다. 이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 추정모델에 대한 $R^2=0.8481$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회귀계수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해송(海松)의 수고생장(樹高生長)에 관여하는 인자(因子)를 선정하는 방법은 요인분석(要因分析)에 의한 회귀분석(回歸分析)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송임분(海松林分)의 경영은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임목생장(林木生長)에 관여하는 인자(因子)를 고려하여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합판(合板)의 내화처리(耐火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I.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처리합판(處理合板)의 내화도(耐火度) (Studies on Plywood Treated Fire-Retardant - III. The Fire-Retardant Degree of Monoammonium Phosphate Treated Plywood)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21-28
    • /
    • 1986
  • Plywood used for construction as a decorative inner material is inflammable and can fire accident, causing destru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his study, 3.5mm Kapur plywoods were soaked in the 23% monoammonium phosphate solutions by cold soaking method 3, 6, 9hrs and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and redrying was carried out by press-drying at the platen temperature of 110, 130, 160, 180$^{\circ}C$, and then fire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length, fr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old soaking method for 3, 6, 9hrs. retentions of monoammonium phosphate were 0.377, 0.448, 0.498kg/(30cm)$^3$ respectively, and in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the retention was 1.331kg(30cm)$^3$ that exceeded the minimum retention 1.124kg/(30cm)$^3$. 2.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 were shown in table 2. From the table,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were clos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reatment and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flame exhausted time and weight loss, 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eating time and back side carbonized area, bu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ten temperature and burning point. 3. From table 3,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 side carhonized area, weight loss between treatments. And in 2-way interactions, there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weight loss between time x treatment. 4. It was observed that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time,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ere the best effect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ater treated plywood and nontreated plywood. In conclusion, I can estimate that absorbed chemical contents by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have a lot of effects on fire-retardant factors such as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but platen temperatures have a little effects on the fire factors.

  • PDF

방사선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어린이 흉부 엑스선 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st X-ray Using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

  • 이도병;이소미;최현우;김종기;이종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8-54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 for X-ray of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Chest X-rays of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f age were performed by Supine method at the position of Table detector, Short -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SID). Existing Supine and Short -SID imaging methods cause many problems, such as errors in image reading and excessive radiation exposure dose to patients, but the use of an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ADCR) solves these problems. A total of 160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Upright group using ADCR and Supine group without ADCR. The chest X-ray image was visually evaluated by two radiologists with reference to the European Commission's List of Quality Criteria for Diagnostic Radiographic Images in Pediatrics. The total score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5.15% higher in the chest upright method using ADCR than in the chest supine method without ADCR, and the chest upright method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st supine method in items 1 to 7. whether infants have deep inspiration or not, 4.87% higher for item 1, whether infants rotate or not and the degree of tilting, 0% higher for the item 2, the reproduction of image from just above apices of lungs to T12/L1, 0% for the item 3, reproduction of the vascular pattern in central 2/3 of the lungs, 6.92% higher for the item 4, reproduction of the trachea and the proximal bronchi, 12.9% higher for the item 5, visually sharp reproduction of the diaphragm and costo-phrenic angles, 10% higher for the item 6, reproduction of the spine and paraspinal structures and visualisation of the retrocardiac lung and the mediastinum, and 3.65% higher for the item 7. Items 2 and 3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 > 0.05), and items 1, 4, 5, 6, and 7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 < 0.05). In conclusion, Upright method using ADCR in pediatric chest X-ray is considered as a good alternative to existing Supine method.

병원 등급에 따른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의 면적 및 중심점 오차 비교 (Comparison of Center Error or X-ray Field and Light Field Size of Diagnostic Digital X-ray Unit according to the Hospital Grade)

  • 이원정;송규리;신현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5-2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병원 등급에 따른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의 면적 차이와 중심점 오차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피폭을 낮추고 화질 향상을 위해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00광역시에 소재한 10개 병원의 디지털 일반촬영장치 12대를 대상으로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의 중심점을 측정하였다. 병원 등급별로는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 3대, 종합병원(general hospital) 3대, 병원(hospital) 4대, 의원(clinic)에서 2대를 실시하였다. 표준화된 모눈종이 위에 투명 플라스틱판을 붙인 후 철사(0.8mm)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넓이로 팬텀을 제작하였고, 팬텀 중앙에 철사로 중심을 표시하였다. 디지털 일반촬영장치 테이블 위에 팬텀을 위치시킨 후 수직으로 각 조사야 별로 노출 시킨 후 영상을 얻었다. 모든 영상은 SSD 100cm에서 동일한 노출 조건으로 획득하였고,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조사야 및 오차 길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낸 후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원이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에 면적차이가 가장 적었고, 그다음 대학병원, 병원, 종합병원이 가장 컸다. 중심점 오차가 가장 적은 대학병원을 기준으로 의원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중심점 오차 차이를 보였다(p=0.024). 중심점 오차는 36개월 미만 그룹이 36개월 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오차를 보였다(0.26 vs. 0.88, p=0.036).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에 면적 차이는 의원이 가장 적었고, 중심점 오차는 대학병원이 가장 적었다. 또한, 정도관리 후 사용기간이 짧은 병원이 중심점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정도관리 항목에 따른 수시정도관리 도입이 필요하였다.

두경부암 방사선 치료 시 Set-Up 조정 Head Holder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Adjustable Head holder Couch in H&N Cancer Radiation Therapy)

  • 심재구;송기원;김진만;박명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50
    • /
    • 2014
  • 두경부암 환자의 헤드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 모의 치료 시 환자는 테이블 위에 위치하지만,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헤드 홀더를 치료 테이블에 걸쳐서 사용하기 때문에 체중 및 여러 가지 요소로 인한 기하학적 불일치로 상, 하, 좌, 우 및 처짐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Set-Up의 재현성의 불일치를 개선하기 위해 두경부암 전용 헤드 홀더를 자체 고안하여 제작 및 개발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Alderson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전산화단층촬영장치(High Advantage, GE, U.S.A)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였고, 광자선 4MV 세기변조 방사선치료(IMRT) 방식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실시하였다. 선형가속기(21EX, Varian, U.S.A)를 이용하여 모의 치료와 동일한 상태에서 환자를 set-up한 후 에 치료기에 장착된 CBCT를 이용하여 각각의 무게(0,15,30Kg)의 차이를 통해 교정 전, 후 X, Y, Z축의 오차를 5회 반복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0Kg에서 $0.4{\pm}0.8mm$, $0.8{\pm}0.4mm$, 0mm으로 나타났고, 교정 후에는 $0.2{\pm}0.8mm$, $0.4{\pm}0.5mm$, 0으로 나타났다. 15Kg에서 교정 전,후 오차는 $0.2{\pm}0.8mm$, $1.2{\pm}0.4mm$, $2.2{\pm}0.4mm$$0.2{\pm}0.4mm$, $0.4{\pm}0.5mm$, $0.4{\pm}0.5mm$로 나타났다. 30Kg에서 교정 전,후 오차는 $0.8{\pm}0.4mm$, $2.4{\pm}0.5mm$, $4.4{\pm}0.8mm$$0.6{\pm}0.54mm$, $1{\pm}0mm$, $0.6{\pm}0.5mm$로 나타났다. 각각의 교정 전,후의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5Kg인 경우 Z축에서 p<0.034, 30Kg인 경우 Y, Z축에서 p<0.038, p<0.041 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두경부암 전용 방향 조절 장치 헤드 홀더가 환자의 set-up오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차를 줄여줌으로써 환자의 재현성이 향상되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방사선 치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리기다 소나무림(林)의 직경연년성장량(直徑連年成長量) 추정(推定) (A Estimation on the Annual Growth in Diameter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Stand)

  • 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1973
  • 본시험(本試驗)은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의 재적성장량(材積成長量)을 추정(推定)하기 위(爲)하여 예비적(豫備的)으로 직경성장량(直徑成長量)을 추정(推定)한 것이다. 표준목(標準木) 223본(本)중 기각목(棄却木)은 전체(全體) 본수(本數)의 약(約) 5%인 12본(本)으로 대체적으로 일률적(一律的)인 성장(成長)을 하고있으며 기각목(棄却木)은 병충해목(病蟲害木)이 이에 속(屬)하고 있으며 임상별(林相別)로 기(旣) 조사발표(調査發表)된 것과 비교(比較)할 때에 단일수종(單一樹種)인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의 성장(成長)이 가장 좋았다. 직경(x)과 직경성장량(y)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다음과 같다. y=0.1618+0.0298x 단(但) r=0.9886이다. 리기다소나무 16년생임분(年生林分)의 D.B.H와 평균연년(平均連年) 직경성장량(直徑成長量)의 최소(最少), 평균(平均) 및 최대치(最大値)는 다음과 같다.

  • PDF

한국인 신장의 최대발육연령으로 본 발육촉진현상의 추이연구 (A Study on Growth Acceleration in Korean by the Maximum Growth Age in Body Height From 1913 to 1990.)

  • 박순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0-84
    • /
    • 1994
  • On the basis of the study intended to research by cross-sectional study keeped pace with semi-longitudinal study the growth accelerating phenomena that MGA(Maximum Growth Age) in teenager's body height. The duration of study is from Oct. 1st. 1991 to September 30 1992 and the data are analysed through computer. The body height and MGA of Koreans who had been for during the period from 1898 to 1973 proved transition of the growth accelerating phenomena by research data reported between 1913 and 19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ximum Growth Age The MGA's in body height of male are respectively the age 15.024 in 1913, 14.28 in 1940, 13.65 in 1959, 13.86 in 1967, 12.52 in 1983, 11.39 in 1987, 12.36 in 1990, while those of female are the age of 12.0 in 1940, 12.36 in 1959, 10.45 in 1969, 11.15 in 1985, 10.27 in 1988, 10.23 in 1990 ; these data show that the MGA of the Korean has been getting younger. 2. The correlation of the MGA's in body height are as below ; Male ; r = -0.448(p<0.01) Female ; r = -0.404(p<0.05) 3. Th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of MGA's in body height are as below ; Male ; Y(MGA) = -0.0316X(the year)+75.297 Female ; Y(MGA) = -0.035X(the year)+79.986 4. The MGA's in body height are shown in Table 3. 5. From the transition of the growth accelerating phenomena, we can compute the fact that the MGA's has been getting younger by 0.3 year per 10 years. 6. The future growth accelerating phenomena in body height, the MGA's of male are respectively the age 12.25 in 1995, 12.09 in 2000, 11.94 in 2005, 11.78 in 2010, while those of female are the age of 10.16 in 1995, 9.98 in 2000, 9.81 in 2005, 9.64 in 2010, these data show that the MGA of female are more younger than that of 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