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m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토양조건별 초본식물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Plants by Soil Condition to Revitalize the Urban Agriculture)

  • 박원제;한경환;권순효;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nd the most optimal soil-plant combination in the urban agriculture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oil base material which is being used in the urban agriculture with the growth of plants. 4 types of easily purchased soil (bed soil(A), animal vermicast soil(B), earth worm soil(C) and matured compost(D)) verified in aspects of effect and safety of soil in terms of growth of crop is selected as experimental soil and B, C, D type soils are mixed with granite soil at the ratio of 7 : 3. And granite soil(E) is set as a controlled soil and is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mixed soil. Herbaceous plants are classified into the fruit vegetabl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Capsicum annuum L.), leafy vegetables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Lactuca sativa L.), medicinal vegetable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different soil types showed that fruit vegetables and leafy vegetables in general had excellent growth in D type soil mixture and A type soil in general and had the poorest growth in E type (controlled) soi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had the excellent growth in D type, B type, C type mixed soil and A type soil and E type (controlled) soil are followed in order. In the case of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difference in growth by each soil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Therefore, the soil applied in the urban agriculture varies depending on each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but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cultivate herbaceous plant which is economical and productive by using D type mixed soil which can be recycled and inexpensiv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soils in the urban agriculture.

붕어에 기생하는 철사충 Philometroides carassii의 생활사와 치료에 관하여 (LIFE CYCLE AND CHEMOTHERAPEUTIC CONTROL OF A FILARIAN WORM, PHILOMETROIDES CARASSII PARASITIC IN CARASSIUS AURATUS)

  • 옥대한;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12-122
    • /
    • 1973
  • 붕어와 금붕어에 기생하는 사상충, Philometroides carassii (Ishii, 1931)를 구제할 목적으로 1971년 4월부터 1972년 12월까지 당년어 붕어 200마리와 금붕어 150마리에 이 충의 유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감염시켜, 생활사를 규명하고 약물치료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충은 Cyclops sp.가 중간숙주이며 이것의 복강에 침입한 유충은 3시간 이후에 감염력을 가졌다. 2. Cyclops sp.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먹힌 유충은 어체내에서 24시간내 장에서 소화되거나 배설되었다. 3. 중간숙주를 경유하여 어체의 장에 기생한 유충은 $1\~10$일후 복강속으로 침입하고, 여기서 성장하여 미성숙성충이 되었다. 붕어 복강속에서 기생하는 미성숙 성충은 $18\~20$개월 후 꼬리지느러미로 나와 성충이 되었다. 금붕어 복강속에 기생하는 미성숙 성충은 $7\~8$개월 후 꼬리지느러미로 나와 성충이 되었다. 4. 어체 복강속에 기생하는 미성숙 성중에서 본 종의 수컷을 최초로 발견했으며 암컷보다 대형이었다. 5. 성충에 대한 약물 치료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고 성충에서 방출되는 유충에 대해 약욕 치료실험한 결과 dipterex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4ppm으로 5일만에 대부분 폐사되었다.

  • PDF

간(肝)디스토마 자성생식세포(雌性生殖細胞) 분화과정(分化過程)의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n Electron Microscopy of Oogenesis and Fertilization in Clonorchis sinensis)

  • 백경기;김명원;최춘근
    • Applied Microscopy
    • /
    • 제2권1호
    • /
    • pp.7-15
    • /
    • 1972
  • 난소상피에서 발생한 난원세포는 성장발육하여 제 1차 난모세포를 형성하며, 배란되어 난형성강 개구부에서 제2차 난모세포는 정자의 침입을 받은 후 2회의 감수분열을 하여 두개의 극체를 형성하고 난전핵과 정전핵이 적합하여 난할을 시작한다. 세포질의 변화 : 난원세포에서는 크기가 서로 비슷하던 미토콘드리아가 난모세포로 성장되어 감에 따라 자기증식을하여 제1차 난모세포에서는 크기가 서로 다르고 훨씬 많은 미토콘드리아가 나타난다. 편평낭상이던 소포체는 난모세포로 성장하여 세포질대사가 활발하여 짐에 따라 포상낭의 소포체로 변하며 배란후 난모세포에서는 세포질내 일부위에 층판상을 이룬다. 골지 장치는 성숙된 난모세포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며 망상의 사구체형성을 하고 그 내에 몇 개의 골지소포를 만들고 있다. 표층과립은 수정전 제1차 난모세포에서 매우 증가되어 있으나 수정후는 점차파괴되어 소실된다. 염색질은 난원세포에서 밀도가 높고 강공을 이루고 있는 이질염색질과 밀도가 낮은 소량의 진정염색질로 되어 있으며 배란전 난모세포에서는 이질염색질이 감퇴하고 진정염색질이 많아진다. 배란후 난모세포에서는 풍부한 진정염색질을 다시 가진다. 인은 난원세포에서 전자밀도가 높은 타원형이며 배란전 난모세포에서는 소실되었다가 배란후 난모세포에서는 다시 타원형의 인이 관찰된다.

  • PDF

참가재(Cambaroides similis)에 피낭한 가시큰고환흡충 (Marroorchis spinulosus Ando, 1918)의 재기록 (Redescription of Mocroorchis spinulosus Ando, 1918 (Digenea: Nanophyetidae) encysted in the fresh water crayfish, Cambcroides similis)

  • 채종일;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1-6
    • /
    • 1996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에 서식하는 참가재(Cambaroines simiLis)의 근육에서 Marroorchis spinulosus Ando. 1918(Digenea: Nanophyetidae)의 피낭유충을 검출하고 마우스 흰쥐 및 고양이에 실험감염시켜 성충을 얻은 다음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 들의 소장으로부터 감염 5-21일에 총 117마리의 충체를 회수하였으며. 평균 충체회수율은 31-37%로서 동물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피낭유충은 등글고. 평균 직경 0.18 mm이며. 2개의 두꺼운 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Y-자형의 배걸낭을 가지고 있었다. 성충은 대부분 난형이며 길이 0.66-0 71 mm. 폭 0.36-0.41 mm이었다. 구흡반에는 침(stylets) 1개가 있고. 난소가 체중앙부 근처에서 다양하게 위치하며. 저정낭이 이낭형(bilobed)이고 두 고환이 약간 전측방에 위치하는 점 등의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험 감염에서 얻은 성충들을 M. spinulosus로 동정할 수 있었으나 그 형태가 최초 기록과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어 앞으로 이 흡충의 원환한 진단을 위왜 충체의 형태를 수정하여 재기록하였다 이 장흡충푸 국내에는 미 기록종이며 포유동물을 종숙주로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인체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충체의 우리발 이름을 가시큰고환흡충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 PDF

토용분(土龍粉) 첨가급식(添加給食)이 흰쥐의 성장(成長) 및 혈액성분(血液成分)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on Growth and Blood Components of Rats)

  • 백정희;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6-142
    • /
    • 1984
  • 토용분(士龍粉)의 영양효과(營養效果)를 알아보고자 평군 체중 (male)72.3${\pm}$1.7g, (female)71.8${\pm}$1.4g인 흰쥐를 암수 구별하여 대조군(對照群), 2% 토용분(土龍粉)을 3일(日)마다 첨가급식군(添加給食群), 2% 토용분(土龍粉)을 매일첨가급식군(每日添加給食群)으로 나누어 6주간(週間) 사육하면서 사료섭취량, 체중증가(體重增加), 식이효율(食餌效率),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 장기중량(臟器重量) 등과 혈액중(血液中)의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albumin, A/G ratio, glucose, total cholesterol 함량(含量)등의 변화를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사료섭취량은 암쥐의 매일토용분(每日土龍粉) 첨가급식군(添加給食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p<0.05) 경향을 보였다. 2. 체중증가량(體重培加量)은 숫쥐의 매일토용분(每日土龍粉) 첨가급식군(添加給貪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았다(p<0.05). 3. 식이효율(食餌效率),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은 암수 모두 2% 토용분(土龍粉) 첨가급식(添加絡食)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숫쥐에서 매일토용분첨가급식군(每日土龍粉添加緖食群)의 심장(心臟)과 폐(肺)의 중량(重量)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p<0.05) 경향을 보였으나 간(肝), 신장(腎臟), 비장(脚臟)은 대조군(對照群)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5. Hematocrit 치(値)는 암쥐에서 실험군(實驗群)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 (p<0.05) 경향을 보였고, 숫쥐에서는 대조군(對照群)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6. 혈액중(血液中) hemoglobin과 혈청중(血淸中) total protein, albumin, A/G ratio, total cholesterol, glucose 등은 대조군(對照群)과 실험군(實驗群)들이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 PDF

폐 폴리우레탄과 분변토 미생물담체가 충전된 Biofilter에서의 $NH_3$ 가스의 제거 (Removal of $NH_3$ Gas by a Biofilter Packed with Bio-Carrier Composed of Waste Polyurethane and Wormcast)

  • 임정수;이은영
    • 청정기술
    • /
    • 제13권2호
    • /
    • pp.122-126
    • /
    • 2007
  • Polyurethane, PVA(polyvinyl alcohol)와 지렁이 분변토를 혼합하여 제작한 bio-carrier를 충전한 바이오필터(biofilter)를 이용하여 $NH_3$ 악취를 제거하였다. SV(Space velocity)가 50 $h^{-1}$인 조건에서 $NH_3$ 농도를 $4\;{\sim}\;454\;ppmv$로 증가시켰을 때 출구로부터 $NH_3$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NH_3$ 가스의 조건을 $50{\sim}400\;h^{-1}$로 설정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NH_3$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NH_3$ 가스의 제거효율을 알아보았다. 악취가 공급되는 조건 중 SV $50\;h^{-1}$에서 $NH_3$의 최대 유입부하량은 $11.38\;g-NH_3{\cdot}m^{-3}{\cdot}h^{-1}$로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SV $100\;h^{-1}$에서는 $34.42\;g-NH_3{\cdot}m^{-3}{\cdot}h^{-1}$에서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SV 300 $h^{-1}$에서 $NH_3$ 최대 부하량은 $71.28\;g-NH_3{\cdot}m^{-3}{\cdot}h^{-1}$이었으며, 제거효율은 99.85%로 나타났다.

  • PDF

배추흰나비 과립병바이러스의 정제 및 병원성 (Pur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the Granulosis Viruses of Common Cabbage Worm, Pieris rapae and Pieris brassicae)

  • 류강선;김근영;강석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7-195
    • /
    • 1991
  •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의 정제조건, 형태 및 P. rapae 유충을 숙주로한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바이러스봉입체 자당밀도구배원심법(52,000g, 2시간)으로 정제하여 순도 높은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었다. 봉입체의 크기는 P. rapae GV의 경우 396$\pm$38$\times$238$\pm$25nm, P. brassicae GV의 375$\pm$40$\times$255$\pm$28nm였으며, 바이러스 입자는 P. rapae GV가 250-275$\times$63-73 nm이며, P. brassicae GV가 243-250$\times$63-75 nm였다. 한편 nucleocapsid는 P. rapae GV가 225$\times$31 nm, P. brassicae GV가 225$\times$29 nm로 관찰되었다. P. rapae를 숙주로 하여 P. rapae GV와 P. brassicae GV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 rapae GV의 {TEX}$LC_{50}${/TEX}(-log)식은 5.5673, P. brassicae GV의 경우는 5.8104로 P. brassicae GV의 병원성이 약간 간하게 나타났으며, {TEX}$LT_{50}${/TEX}(바이러스농도 {TEX}$10^{-6}${/TEX})의 경우는 P. rapae GV는 8.17일 P.brassicae GV에서는 7.16일로 P. brassicae GV에서 약간 짧았다.

  • PDF

담배나방의 유충의 촉각 및 구기 감각기의 구조 (Structure of sensilla on the Antenna and Mouthpart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Heliothis assulta Guenee) Larvae)

  • 박순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4-102
    • /
    • 1988
  • 주사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밝혀낸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 유충의 촉각 및 구기의 감각기 구조는 다음과 같다. 촉각은 세마디로 되어있지만 마지막 두마디에만 감각기가 분포하고, 기절은 단순히 촉각을 머리에 부착시킨다. 병절은 2개의 털 감각기와 3개의 방망이형 가각기를 가며, 편절은 3개의 방망이형 감각기와 2개의 2마디로된 방망이형 감각기를 갖는다. 큰 턱은 측면에 2개의 털 감각기를 가지며, 작은턱의 외엽에는 2개의 털, 3개의 방망이형 및 2 개의 종상형 감각기가 있다. 작은 턱 수염의 2마디중 첫째마디는 1개의 digitiform 감각기만을 갖는다. 그러나 둘째마디는 11개의 감각기를 갖는데. 1개의 digitiform 과 2개의 종상형 감각기는 측면에, 8개의 방망이형 감각기는 마디 끝에 위치한다. 윗입술은 외표면에 12개의 털, 내표면에 6개의 털, 2쌍의 함몰형과 1쌍의종상형 감각기를 갖는다. 퇴화된 아랫입술은 작은턱과 융합되어서, 하인두, spinneret, 수염을 지지하며, 이들중 아랫입술염에만 2개의 방망이형 감각기가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 감각기의 기능을 추정해보았으며 구기 전체 감각기의 70%를 차지하는 작은턱 감각기가 먹이 선택 행동에 중요한기능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담배나방의 각태별 발생소장과 난기생봉의 기생율에 관한 조사 (Studies on the Seasonal Occurences of the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H. (Lepidoptera: Noctuidae), and the Parasitism Ratio of Trichogramma spp. on the Eggs.)

  • 최궤문;조응행;소재선;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7-140
    • /
    • 1975
  • 담배나방의 각태별 발생소장을 조사하여 정확한 방제적기를 알고자 Black light-trap 및 실수조사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충은 연3회 발생하며 5월하순부터 월동용에서 우화하여 제일회는 6월하순-7월상, 중순, 제2회는 8월중, 하순, 제3회는 9월 중, 하순이었다. (2) 란은 7월초순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8월하순-9월초에 최감기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회수는 뚜렷치 않았다. (3) 유충은 3회발생으로 회수가 뚜렷치 않고 7월초부터 발견되며 7월하순-8월초순에 최감기를 보이고 10월중순까지도 계속 볼 수 있었다. (4) 란기생봉의 기생율은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으나 란의 밀도와 기생율과는 관계가 있으며 9월하순까지 평균 $51\%$의 기생율을 보였다. (5) 란 1위에 기생하는 기생봉수는 1-4마리이고 그 빈도는 1마리의 기생이 $45\%$, 2마리의 기생이$47\%$이었다.

  • PDF

노린재동충하초의 배양 최적화 및 NO 생성 저해 효과 (Optimization for Mycelial Growth and Inhibitory Effect on Nitric Oxide Production of Cordyceps nutans Pat.)

  • 이기만;이금선;남성희;임성실;강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7-314
    • /
    • 2011
  • 동충하초는 예로부터 아시아권에서 한방약재로 사용되어 온 곤충병원성진균이다. 이 중 노린재동충하초(Cordyceps nutans)는 자연 상태에서 비교적 많이 발견되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 nutans 균사체의 최적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 배양액 처치 시대식세포의 NO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 적정 온도는 $25^{\circ}C$이었으며 pH는 7.0~8.0 사이의 중성범위로 조사되었다. MCM (mushroom complete medium), V8A (V8 juice agar), YMD (yeast malt dextrose) 배지에서는 균사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MMM (mushroom minimal medium) 배지의 경우 균사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양원이 필수적이었다. 영양원 선발에 있어 탄소원은 dextrose와 sucrose가 적합하였고 질소원은 ammonium citrate가 균사 생장에 적합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C. nutans 배양액의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 한 세포의 NO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는 C. nutans 배양 시 다량의 균사체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공할 뿐 아니라 C. nutans의 항염 관련 우수한 생리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