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rkforce education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해양플랜트 인력양성을 위한 직무능력향상 매트릭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해기사의 직업전환을 중심- (A Study on Development of Gap Competency Matrix for Offshore Workforce -Focusing on the Job Transportation for Seafarers-)

  • 이진우;이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407-416
    • /
    • 2016
  • The offshore plant industry has basically functioned with a rigid teamwork culture and many operations are managed by ship's crew, shifts and affiliates together. The marine sector of offshore plant has much similarity with ship's environment. So a person who had experienced on board will have advantages to work for offshore industry. But in spite of all that, only a few korean seafarers are able to join in the offshore industry due to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offshore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 the employee's wage structure, nature of employment contract, requirements of job qualif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will assist for seafarers to set up how to get their work and also suggest to develop relevant offshore training courses by researching the gap competency matrix.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AHP 분석 (An Analysis of the AHP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ix Classification Scheme)

  • 한상훈;박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95-1005
    • /
    • 2015
  • 본 연구는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기초문해교육', '직업능력교육',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 '문화예술교육' 순으로 나타났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문자해득, 기초생활기술, 현직직무역량, 시민참여활동, 시민리더역량, 초등학력보완, 문화예술향상, 생활문화예술, 자격인증역량, 중등학력보완 프로그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평생교육 실천현장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현실감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Informat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U Experience

  • Puyo, Olga;Yemchyk, Oleksandra;Klevaka, Lesya;Voloshyn, Svitlana;Dulibskyy, Andri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96-702
    • /
    • 2021
  • Informat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U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use of ICT as a means of sharing experiences, practice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reschool children, communication, both at the national level and locally -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means of document management, search, data processing and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lanning activities for these institution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informat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U countries. Results. The countries of the EU have different levels of workload on the staff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is caused by different numbers of preschoolers and workforce. The greatest load on the staff in France due to a large number of preschoolers, which, despite the reduction, remained the highest among all the countries. By comparison, Poland's significant workload is mitigated by the size of its workforce. With almost equal numbers of staff in Poland and Germany, the countries differ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preschoolers. The countries also have different funding mechanis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determines the potential for digitalization. In France, total spend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grown the least (by 11 % between 2012 and 2018), in Poland by 51 %, in the Czech Republic by 44 %, and in Germany by 49%. In France, 100 % is funded by the government, in Poland 78 % is funded by the government, in the Czech Republic and Germany 87 % and 85 % respectively is funded by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training in the use of ICTs and the level of specialists' readiness to use them in their studies indicate a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using technology. At the same time, given the high lev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teachers in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a low level of practice of ICT use in teaching preschool children was revealed. Teachers requir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CT skills.

농업 경영인이 인식한 외국인 근로자 및 농업인 고용주 교육 요구 분석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Migrant Farm Workers and Employers Perceived by Farmers in Korea)

  • 조홍용;정진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4호
    • /
    • pp.203-22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migrant farm workers and farmers in Korea. For developing survey instruments, content analysis of migrant workers & employer training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ith farmers and expert reviews had been conducted. Therefore, eight parts and twenty nine educational contents for migrant workers, five parts and twenty educational contents for farmers have been constructed. For data analysis,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hir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migrant workers' educational priorities were 'basic korean for farming, working attitude in farming, safety guidelines and first aid skills for rural life, safe use of pesticides and protective equipment, driving skills, safe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ion & maintenance of agricultural machinery, pest control by crop', and for the farmers' were 'communication with migrant workers, trouble controls with employment, farming guidance, industrial accident cases and countermeasures, preventing disease and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grant workers'.

요양보호사 교육의 고도화 방안에 관한 초점집단 인터뷰: 직무 및 치매교육을 중심으로 (Improving The Formal Long-Term Care Workforce Caring for the Elderly: A Focus Group Interview)

  • 김혜진;장숙랑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549-565
    • /
    • 2017
  •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궁극적으로 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와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요양보호사와 교육운영주체 및 행정주체로 구성된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현 요양보호사 직무교육, 치매전문교육 체제 및 운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 인식을 공유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인터뷰 내용 분석 결과, 의견을 크게 '직무교육', '치매전문교육', '교육운영체제', '인력관리' 4개의 대범주로 분류하여 각 범주별 합의된 의견과 개별 의견을 제시하였다. 현장 중심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강사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근무 여건 개선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육운영체제 측면에서는 교육 주체와 교육 운영의 법적 근거가 필요하며, 정부, 요양기관 및 협회 간 역할 정립이 우선 되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현장 인력관리 측면에서 인력 수급 및 처우 개선 문제가 시급하다는 호소가 많았고, 처우문제는 곧 직무교육 참여에의 동기부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해양수산 분야 인력양성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Human Resource Training and Development in the Korean Marine and Fisheries Sector : Current Status, Prospects, and Recommendations)

  • 박광서;김주현;김지혜;이정민;이선량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4
    • /
    • 2017
  • 최근 취업애로 계층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청년 고용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해양수산 분야도 예외가 아니어서 수요 측면에서는 우수한 인재 부족으로, 공급 측면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인력 수급 상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미스매치는 양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측면이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장과 미래 수요에 부응한 전문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실습장비 등과 같은 교육 인프라와 교원의 역량 강화,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나아가 학교교육에서 재교육까지 아우르는 인력양성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일반 국민의 해양수산에 대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업들이 추진되어야 한다.

정보보호 분야 직무체계 개발 (Development of Skills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Workforce)

  • 전효정;김태성;유진호;지상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43-152
    • /
    • 2009
  •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정의하고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보보호업무 전반을 체계화하여 표준화한 '직무체계'를 개발하고, 직무체계에 기반하여 인력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정하는 교육과정 및 직무분석이 필요하다. 정보보호 분야의 직무를 정의하고 표준화함으로써 인력의 직무능력을 표준화하고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정의가 가능해짐으로써 보다 실무 지향적인 전문인력의 양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무체계(Skills Framework)란 산업현장의 직무에 근거하여 직무분류 및 직무수준을 설정하고 직무수준별 수행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현장 수요에 기초한 교육훈련과정의 개발, 자격 및 인력수급 체계 등을 위한 인프라 정비의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산업의 발전을 이끌어갈 실수요에 기반한 체계적인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중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준화된 직무체계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정보보호 분야의 직무체계를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 순위 분석 (Analysis of the priority of roles performed by health educators in charg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 최승희;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1-13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s of workforce requir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orea. Methods: Survey was undertaken on 92 peopl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in order to obtain results regard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role required for health educators. Results: The analysis suggests that of all 5 categories, 'Assess needs for health education' and 'Eval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categories of role. Taking into account the weightings of the main 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order of importance follows, 'Use existing health-related statistical data', 'Collect health-related data', 'Survey method and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health statistics', 'Write an evaluation report', 'Understand and apply health education planning theories'. Conclusion: As a health promotion expert of community health center, a health educator is preferentially required to perform 1) the role to analyze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enable the planning for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2) the role to execute evaluation throughout a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disseminate evaluation findings and apply them in following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higher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roles.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 박창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1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육교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8월 한달간 총 190명의 어린이집 보조인력인 누리 일반 보조교사, 보육도우미, 대체교사, 부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분석을 위해 현 기관 취업경로 및 근무이유, 근로여건, 직무 및 교육실태, 애로사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보조인력은 본인의 형편에 맞는 시간대에 일할 수 있어 노동을 선택하였으며, 진입경로로는 보조교사, 대체교사는 주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구인광고를 통해, 보육도우미와 부담임은 지인소개 및 추천을 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여건에서는 일일 근무시간은 '4~8시간'인 경우가 73.7%, '51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57.9%였다. 하루 평균 휴게시간은 약 30분, 17%는 휴게시간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및 교육실태를 살펴보면, 보조인력은 '유아지도 및 상호작용', '청소 청결 관련 업무'를 가장 활발히 수행하였으며, '청소 청결 관련 업무'와 '아침 돌봄 야간 돌봄'에 대한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애로사항에서 보조 인력은 임금과 관련된 불만족과 고용불안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동의하는 이유는 고용 안정성 때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선결과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단축 및 노동조건 개선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책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어린이집 보조인력에 대해 주목하고,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입장에서 노동 실태에 응답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