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based pane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Development of Ply-Lam Composed of Japanese Cypress Laminae and Korean Larch Plywood

  • FUJIMOTO, Yoshiyasu;TANAKA, Hiroshi;MORITA, Hideki;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7-66
    • /
    • 2021
  • In recent years, the use of cross laminated timber (CLT) has been evolving. In addition, CLT manufactured with various species such as Japanese cedar has been developed to utilize the local resources in each country. However most factories in Japan produce CLT by bonding the laminae in width direction for orthogonal layers, where grain of element is perpendicular to the grain of outer layer, and this proces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factors that reduce productivity. A new wood based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y-lam) using wooden panel such as plywood for the orthogonal layer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in CLT manufacturing and improve quality. Japanese cypress lamina was used for the parallel layer, where grain of element is parallel to the grain of outer layer, of CLT and Korean larch plywood was used for the orthogonal layer, in order to effectively use Korean larch and expand the utilization of Japanese cypress. The cross-sectional construction of the Ply-lam was 5-layers 5-plies, and the dimensions were 1000 mm (width) × 150 mm (depth) × 4000 mm (length). As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anufactured Ply-lam, strength tests such as out-of-plane bending, in-plane bending, out-of-plane shearing and in-plane shearing tests were carried ou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Ply-lam composed of Japanese cypress lamina panels and Korean larch plywood showed very higher out-of-plane bending strength compared to the standard strength of CLT. And the result obtained in other tests seems to show a sufficiently high value.

탄화 중밀도섬유판을 이용한 목재흡음판 개발 (Developing of Sound Absorption Composite Boards Using Carbonized Medium Density Fiberboard)

  • 이민;박상범;변희섭;김종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14-722
    • /
    • 2014
  •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목질 보드류를 열분해하여 다공질 탄화보드 제조에 성공하였고, 높은 난연성, 전자파차폐성, 원적외선방사, 폼알데하이드 흡착성, 흡음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과 흡음성이 뛰어난 탄화 중밀도 섬유판(MDF)을 선택하여 보다 높은 흡음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흡음재료에도 사용 중인 샌딩처리와 타공기법을 시도하였다. 또한 개선된 흡음성능을 바탕으로 실제 음향판을 제작하여 그 음향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탄화 MDF를 십자모양(타공 5개), 직사각형모양(타공 9개), 일자모양(타공 5개)으로 타공 처리한 후, 흡음률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 탄화 MDF의 흡음률은 14% 정도를 나타내었고, 직사각형모양 타공 시편이 16.01%로 흡음률이 가장 높았고 십자모양 타공 시편이 15.68%, 일자 타공 시편은 14.25%의 흡음률을 나타내어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반면에, 탄화 MDF의 표면을 각 1, 2, 3 mm로 표면샌딩 처리후 흡음률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 시편(13%)에 비해 65% 증가한 21.7% (1 mm 샌딩), 21.83% (2 mm 샌딩), 19.37% (3 mm 샌딩)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대형 탄화보드 복합 음향판을 제작하였으며 잔향실법으로 흡음시험한 결과 감음계수 0.45로 높은 흡음성능을 발휘하여 상업화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VOC Analyzer를 이용한 목재용 도료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간이측정 (Test Method Using VOC Analyzer to Measure VOC Emission of Paints for Wood-based Panel)

  • 엄영근;김기욱;안재윤;김현중;문석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65-72
    • /
    • 2007
  • VOC Analyzer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VOC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styrene 등 4가지 방향족 탄화수소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장비이다. 검출기에는 고감도 반도체 가스센서를 사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방식으로써 캐리어 가스로서는 봄베공기를 사용한다. 또한,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가스성분을 농축하지 않고 VOC를 분리 검출하여 농도를 편리하면서도 자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자재, 페이트, 도료, 접착제 등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VOC Analyzer를 이용하여 목재에 주로 사용되는 도료로부터 VOC 방사거동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시편을 밀봉하여 실험개시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48시간까지 측정하였다. 수용성 페인트와 enamel 페인트의 VOC 방산량은 lacquer와 urethane vanish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4개의 샘플 중에서 lacquer의 VOC 방산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VOC Analyzer를 이용한 측정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VOC 측정방법 중 가장 빠르고 경제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앞으로 널리 사용된 것이라 기대된다.

국산목질판상재료(國産木質板狀材料)의 물리적(物理的) 및 기술적성질(機械的性質)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ies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omestic Wood-Based Panels)

  • 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67-78
    • /
    • 199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omestic wood based materials; plywood, particleboard, medium density fiberboard. Main items of tested properties were panel size, moisture content, water absorption, linear expansion and thickness swelling, glue bond shear strength, bending properties(stress at proportional limit, modulus of rupture. modulus of elasticity), tensile strength, screw holding strength, and internal bond as neccessary. the results were discussed mainly with Korean Standards. The obtain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Length and width of 3mm thin plywood(3-ply) and 12mm thick plywood(7-ply) were satished with KS-standard, but thicknesses of these panels were not- passed tolerance limit except one of eight makers. 2. Length and width of particleboard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were greater than the tolerance limit value of KS standard, but the thicknesses of these panels were passed this value. 3. Moisture contents of 12mm thick and 3mm thin plywood were satisfied with KS-standard except one mill made 3mm thin plywood. 4. Moisture absortion of plywood was not passed tolerance limit of KS-standard but particleboard was satisfied with this standard value. 5. Dry and wet shear strengths in glue bond of 3mm thin plywood were not reached to KS-standard, but those of 12mm thick plywood were sufficiently satisfied with KS standrad. 6. Modulus of ruptures, parallel to grain and perpendicular to grain of plywood, and particleboard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were satisfied with KS-standard. 7. Tensile strengths, parallel to grain and perpendicular to grain of plywood were satisfied with allowance stress of US product standard PS 1-74. 8. Screw holding strength of particleboard was not reached to KS standard, but internal bond was satisfied with KS standard.

  • PDF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저감 효과 (Formaldehyde Emiss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Effect of Carbonized Board on Their Reduction)

  • 장재혁;이민;이상민;박상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27-3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이들의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챔버법으로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약 12일간 소형 챔버 내에서의 폼알데하이드 저감 성능은 탄화보드(90%), 죽탄보드(84%), 규조토판넬(82%), 알로펜타일(78%), 소나무판재(58%), MDF (54%), 석고보드(4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티클보드(PB)로 채워진 $1.9m^3$ 크기의 챔버 내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68일간 조사한 결과, 탄화보드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챔버의 크기 및 PB 면적 대비 탄화보드를 각각 약 10% 및 30% 투입하면 폼알데하이드를 약 40% 및 75%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LT의 rolling shear 향상을 위한 hybrid cross laminated timber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Hybrid Cross-Laminated Timber (CLT) to Enhance the Rolling Shear Strength of CLT)

  • YANG, Seung Min;LEE, Hwa Hyung;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6-359
    • /
    • 2021
  • 본 연구는 고층 목조건축에 사용되는 대형 목재 패널인 CLT의 낮은 rolling shear strength를 개선하기 위해 hybrid CLT의 연구 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CLT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방향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고, 낮은 rolling shear strength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활엽수 층재 사용, 층재 배열 각도 변화, 구조용 목질복합체의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활엽수 층재는 침엽수 보다 rolling shear strength와 shear modulus 모두 2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므로 활엽수 층재 사용 및 미이용 수종의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층재 배열 각도 변화에 따라 rolling shear stength 1.5배, shear modulus 8.3배, bending stiffness 4.1배 향상되어 층재 배열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CLT 강도 향상을 확인하였다. 구조용 목질재료는 기존에 강도성능이 확보된 재료로 층재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 MOR 1.35배, MOE 1.5배, rolling shear strength 2배 향상되었고, 층재 간의 접착강도 또한 집성재 블록전단강도 기준인 7.0 N/mm2을 확보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MOE 7.0 GPa, MOR 40.0 MPa 이상의 휨 특성을 가진 구조용 목질재료를 사용하였을 때 강도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구조용 목질재료 층재 강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rolling shear strength 개선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기존 규격에 의한 강도값을 가진 구조용 목질재료의 적용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나, 구조용 목질재료의 섬유 배열에 따른 CLT 층재 배열 방향, 층재 간 접착 강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an epoxy panel reinforced by date palm petiole particle

  • Bendada, A.;Boutchicha, D.;Khatir, S.;Magagnini, E.;Capozucca, R.;Wahab, M. Abdel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5권5호
    • /
    • pp.627-634
    • /
    • 2020
  • The past years were marked by an increase in the use of wood waste in civil and mechanical constructions. Date palm waste remains also one of the most solicited renewable and recyclable natural resources in the composition of composite materials. In Algeria, a great amount of this type of plant wastes accumulates every year. In order to make use of this waste, a new wood-epoxy composite material based on date palm petiole particleboard is developed. It makes use of date palm petiole particleboard as reinforcement and epoxy resin as matrix. The size of the particles reinforcement are between 1~3 mm and proportion of reinforcement used is 37%. In this work,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are conducte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wood fibre-epoxy plates. Firstly, experimental modal analysis 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Young's modulus of the elaborated material. Then, in order to validate the results, compression test was conducted. Furthermor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hear modulus of this material is obtained by performing an experimental modal analysis to extract the first torsional mode. Moreover, a fini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using ANSYS software to simulate the vibration behaviour of the plates. The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modal analysis, which confirms the values of Young's modulus and shear modulus.

개방 및 밀폐상태에서의 누설 전류에 대한 열적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rmal Interrelation by Leakage Current in Open and Closed Statues)

  • 김두현;김성철;박종영;최승호;이종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12
    • /
    • 2010
  • 본 논문은 누전에 관한 것으로 누설전류에 의한 열적 상관관계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누전 모델은 개방 및 밀폐상태(분전반 내부)로 구분하고, 누전개소에 목 분진과 빗물, 목탄을 첨가하여 누전전류에 대한 열적 상관관계를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상태의 90mA에서 목 분진과 빗물은 $88.8^{\circ}C$, 목탄의 경우는 $105^{\circ}C$로 목탄시료가 목분진과 빗물보다 높은 열적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목탄에 누설전류 110mA를 흘렸을 때 $238.6^{\circ}C$로 주위의 전기설비(전기배선, 분전반)의 재질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밀페된 상태에서는 같은 90mA에서 목 분진과 빗물에서는 $90.8^{\circ}C$, 목탄의 경우 $250.6^{\circ}C$로 목분진과 빗물의 경우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목탄의 경우는 2배 이상의 높은 열적 특성을 보였다. 개방 및 밀폐상태에서 시료에 따른 열적특성 데이터는 전기화재 조사나 누전전류에 대한 열적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백합나무 판재의 VOCs 및 Aldehydes 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Emission from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 이민;박상범;이상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7-366
    • /
    • 2014
  • 백합나무 판재를 벽판재로 이용하기 위해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알데히드류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VOCs 및 formaldehyde를 포함한 aldehyde류의 방출량 측정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공시된 20 ${\ell}$ Chamber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의 생재 및 건조재에서는 30여 가지 이상의 VOCs가 검출되었다. 백합나무의 Total VOC 구성 비율 가운데 천연VOC (NVOC)의 비율은 11.1%로 다른 침엽수종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백합나무의 aldehyde류 분석 결과, 심재 및 변재에서 같은 3종(acetaldehyde, ketone, propionaldehyde)이 검출되었으며, formaldehyde의 방출량은 $4.01{\mu}g/m^3$ 이하로 나타났다. m-Tolualdehyde의 경우 백합나무 건조재의 심재에서만 $33.6{\mu}g/m^3$의 방출량을 보였으며, 심재와 변재 모두 ketone의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합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는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와 기타 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조한 백합나무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ketone의 방출량이 증가하였다.

석고보드와 결합된 강재 샛기둥 패널의 부분 합성거동 (Partial Composite Action of Gypsum-Sheathed Cold-Formed Steel Wall Stud Panels)

  • 이영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73-3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벽 패널의 부분 합성거동 해석에 대하여 거론한다. 기 발표된 목재 바닥 시스템으로부터 유도된 처짐공식을 소개하고, 이 공식을 적용하여 석고보드와 강재 샛기둥으로 결합된 합성벽 패널의 중앙지점 처짐값을 산정한다. 나사연결부의 불완전성(미끄럼), 국부좌굴, 샛기둥 복부의 개구부, 그리고 인접 석고보드간의 불연속으로 야기 될 수 있는 강성의 감소 등을 처짐공식에 적절히 반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적용된 처짐공식으로 산정된 처짐 기대치와 실험 관측치간의 비교에서는, 나사연결부의 상한 강성치를 사용한 처짐 기대치가 실험 관측치와 가장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