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wool boar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소나무 집성판의 표면화장 재료별 외관품질 및 접착성 평가 (Evaluation on the Appearance and Gluing Characteristics of Pine Laminated Boards according to Overlaying Materials)

  • 소원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27-35
    • /
    • 2007
  • 적절한 화장재료를 표면에 오버레이하는 방법으로 집성판을 2차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국산 소나무 소경 간벌목을 제재하여 집성판을 제조하고 표면화장 재료로서 화장단판, 종이류, 포류를 집성판의 표면에 오버레이 접착가공을 설시하였다. 제조된 화장집성판의 외관품질과 접착성을 조사하고 국산재의 집성이용 및 화장효과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티크 슬라이스드 단판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단판 부풀음, 균열 및 접합틈새가 발생하였고 종이 및 직물류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재면 및 겉모양 품질은 양호하였으며 KS규격의 1급에 해당하였다. 화장집성판의 박리율을 비교했을 때 단판이 종이 빛 직물류 오버레이보다 내수접착성이 불량하였다.

Bauhinia variegata Linn. (Mountain Ebony): a review on ethnobotan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 Mali, Ravindra G;Dhake, Avinash S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3호
    • /
    • pp.207-216
    • /
    • 2009
  • Bauhinia variegata Linn (Mountain Ebony) is a medium-sized, deciduous tree, found throughout India, ascending to an altitude of 1,300 m in the Himalayas. The plant is widely used by the tribals throughout India and popular in various indigenous systems of medicine like Ayurveda, Unani and Homoeopathy. Following the various traditional claims on utility of this plant in curing number of diseases,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by researchers to verify its utility through pharmacological screenings. The notable biological activities reported are anthelmintic, antiulcer, antitumour,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goitrogenic, hepatoprotective and haemagglutination. Industrially, the plant is widely used for the manufacture of wood wool board, production of tannin, oil, gum and fibre. The plant is also utilized for afforestation to conserve the nature. In this article, a comprehensive account of the cultivation, microscopy, phytochemical investigation, traditional and biologically evaluated medicinal uses of B variegata is presented.

선박소음에 관한 연구 -방음실에 의한 소음제어효과실험- (THE STUDY ON THE NOISE IN THE VESSEL -Effect of the Noise Control by the Noise Arresting Rooms-)

  • 박중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1
    • /
    • 1976
  • 1976년 6월 10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 본학 해양과학 연구소 하층 실험실에서 실험하였고 1975년 6월 7일에서 동년 8월 11일까지 약 2개월 동안에 풍양호, 척양호, 관악산호 등의 선박소음을 녹음한 테프로서 재생방음한 것을 음원으로 이용하였다. 이때 소음제어의 효과를 찾기 위해 A,B,C,D형의 실험용 직육면체인 방음실을 제작하여 실험실내에 배치하고 기관실소음과 발진기에 스피커를 연결해서 방음된 음압이 각방음제어실에 투과되는 음압 100분률과 또 각 방음제어실내에서 같은 조건으로 방음되는 경우에 자재와 형상이 다른 방음실내부 구조물에 따른 흡음효과를 조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음투과율은 실험실 외부음압이 60dB 일때 A형은 $69.7\%$였고 계속 10dB 증가함에 따라 $3.3\%$씩 증가하였고 D형에서는 $53.9\%$인 것이 10dB 증가함에 따라 $4.5\%$씩 증가했다. 2. 실험실인 외부음압이 100dB일 때 A,B,C,D형의 음압투과율은 81.6, 78.9, 75.3, $71.0\%$의 순으로 D형의 투과율이 낮아서 방음실로서는 D형이 가장 좋았다. 3. 대화에 지장이 없는 소음압은 75dB 이하이므로 A,B형을 제외하고 C,D형은 선박소음 제어실로서 유효했다. 4. 방음제어실내부 구조에 따른 흡음효과를 A,D형에서 비교하면 A형은 발진음일 때 거리 20cm에서 82dB로 가장 높고 80cm에서 76dB로 가장 낮았으며 100cm에서 77dB였고 140cm에서 78dB 정도 다시 증가해 반사음 현상이 일어났다. D형은 발진음일 때 거리 20cm에서 A와 같이 82dB였는데 80cm에서 72.5dB, 100cm에서 73dB, 140cm서에는 67dB로 A보다 12dB가 낮았다. 선박소음도 거리 20cm에서 A형은 77.5dB, D형은 77dB였는데 140cm에서는 A형이 74dB, D형이 63dB로 11dB의 차이로 D형이 낮아 역시 흡음효과가 A형 보다 D형이 좋았고 완벽한 무향실로서 반사음의 영향은 찾아 볼 수 없었다. 5. 매우 낮은 발진음일 때 흡음관계를 1000Hz를 기준삼아 보면 거리 20cm에서 C형은 44.7dB, D형은 45.4dB로 C형이 0.3dB로 악간 낮았으나 140cm에서 C,D형 모두가 44.3dB로서 같았다. 값싼 자재로서도 C형이 가장 흡음효과가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