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smok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양이온화 처리 한지의 천연염색성 (Improvement on Dyeability of Hanji with Natural Dyes Using a (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 유승일;오의명;민유리;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3호
    • /
    • pp.88-97
    • /
    • 2011
  • We carried out cationization of Dak pulp (paper mulberry bast fiber pulp) which is raw material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using a (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to improve dyeability during a dyeing of Hanji with Gardenia (Gardenia jasminoides) and smoke tree (Cotinus coggygria). Fiber specific charge densities were determined using polyelectrolyte titration method and K/S values of dyed Hanji was calculated by Kubelka-Munk equation. As the result, fiber specific charge density increased with degree of cationization. Colors of Hanji dyed with Gardenia did not vary significantly with degree of cationization, but cationized Hanji dyed with smoke tree showed a large increase of a* value and reddish yellow color. After-mordanting did not decrease K/S value of dyes with cationized Hanji. K/S values of dyed Hanji decreased with increasing dyeing temperature. For smoke tree, the cationization impair lightfastness of dyed Hanji without mordant. After-mordanting with copper acetate or iron chloride improved lightfastness of dyed Hanji.

UL 268 화원에 의한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for Smoke Particles of Fire Sources According to UL 268)

  • 지승욱;이종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9-13
    • /
    • 2014
  • 본 논문은 화재감지는 물론 화원까지 구별할 수 있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현재 광전식 연기감지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원과 센서를 사용하여 광학챔버를 제작하였으며, UL 268에서 연기감지기를 시험할 때 사용되는 세 가지 화원(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을 대상으로 각 화원별 광학적 특징을 구하였다. 그 결과 종이화원과 목재화원은 산란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인화성 액체화원은 소광의 원인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실리콘 화합물로 처리된 목재의 새로운 연기위험성 평가 (New Smoke Risk Assessment on Wood Treated with Silicone Compound)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6-27
    • /
    • 2019
  • 실리콘 화합물인 Sodium silicat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졸, 3-(2-aminoethylamino) propylmethyl-dimethoxysilane 졸, 3-(2-aminoethylamino) propyltrimethoxysilane 졸로 표면 처리한 편백목재 시편의 연기 및 연소가스 발생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실리콘 화합물 졸로 각각 편백목재 시험편에 붓으로 3회 칠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연기 및 연소가스를 분석하였고 연기는 새로운 연기위험성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실리콘 화합물로 처리한 목재시험편의 연기성능지수(SPI)는 편백목재보다 1.66~8.42배 증가하였고, 연기성장지수(SGI)는 11.8~88.2% 감소하였다. 연기강도(SI)는 편백목재보다 1.0~50.5% 감소되었고, 연기 및 화재 위험성이 낮아짐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리콘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세 번째 최대일산화탄소(COpeak)농도는 공시편보다 22.5~33.3% 감소되었다. 그러나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 허용기준(PEL)인 50 ppm보다 1.48~1.72배 높은 치명적인 독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편백목재 자체는 일산화탄소 생성 농도가 높았지만 실리콘 화합물은 일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장애경보 방지를 위한 연소 연기입자와 비연소 연기입자의 광 특성 분석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of Fire Smoke and Non-fire Smoke for Reduction of Nuisance Alarm)

  • 지승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49-55
    • /
    • 2014
  • This paper is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an advanced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that has high reliability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nuisance alarms. This paper was attempted to distinguish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fire smoke particle and non-fire smoke particle. According to UL 268 standards, three types of test fires (the paper, the wood and the flammable liquid) were used in this paper for measurement of the fire smoke particles, and the water vapor and the cigarette smoke that were known as the main cause of the nuisance alarms were also used for the non-fire smoke particles. A smoke detection chamber was created, which was equipped with one light source and several light sensors for enabling simultaneous detection of light extinction and scattering, respectively. This paper analyze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moke particle using this chamber.

Synergistic Effect of 3A Zeolite on The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Poplar Plywood Treated with APP

  • Wang, Mingzhi;Ji, Haiping;Li, L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258-264
    • /
    • 2015
  •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3A zeolite on the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poplar plywood. Ammonium polyphosphate (APP) and 3A zeolite were used as flame retardants to prepare plywood samples. The combustion properties, such as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mean CO and $CO_2$ yield, smoke production rate (SPR), and total smoke production (TSP), were characterized by a cone calorimeter. A synergistic effect was observed between 3A zeolite and APP on reducing the HRR and mean CO yield. The probable flame retardation mechanism was proposed.

In Vitro Studies on the Genotoxic Effects of Wood Smoke Flavors

  • Chung, Young-Shin;Ahn, Jun-Ho; Eum, Ki-Hwan;Choi, Seon-A;Oh, Se-Wook;Kim, Yun-Ji;Park, Sue-Nie;Yum, Young-Na;Kim, Joo-Hwan;Lee, Michae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21-328
    • /
    • 2008
  • Smoke flavors based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wood have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food products as an alternative for traditional smoking. Despite its increasing use, the available genotoxicity data on wood smoke flavors (WSF) are still controversial. Thus, potential genotoxic effects of WSF in four short-term in vitro genotoxicity assays were investigated, which included the Ames assay,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micronucleus test and the alkaline comet assay. WSF did not cause any mutation in the Ames assay using five tester strains at six concentrations of 0.16, 0.31, 0.63, 1.25, 2.5 and 5 ${\mu}l/plate$. To assess clastogenic effect, the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was performed using Chinese hamster lung cell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aphases with structural aberrations was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s of 1.25, 2.5, and 5 ${\mu}l/ml$. The in vitro comet assay and micronucleus test results obtained on L5178Y cells also revealed that WSF has no genotoxicity potential, although there was a marginal increase in micronuclei frequencies and DNA damage in the respective micronucleus and comet assays. Taken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four in vitro studies, it is concluded that WSF is not a mutagenic agent in bacterial cells and causes no chromosomal and DNA damage in mammalian cells in vitro.

화재 시 가연성 물질의 연기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Smoke Risk of Combustible Materials in Fire)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277-283
    • /
    • 2020
  •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의 연기 유해성평가에 대하여 연기성능지수-II (SPI-II), 연기성장지수-II (SGI-II)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삼나무, 가문비나무, 나왕, 적송을 사용하였다. 연기 특성은 시험편 목재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연기성능지수-II는 적송을 기준으로 1.31~2.15배 증가하였다. 연기성능지수-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 나왕, 삼나무, 적송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연기성장지수-II는 삼나무를 기준으로 1.18~2.55배 증가하였다. 연기성장지수-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삼나무, 가문비나무, 나왕, 적송의 순서로 높아졌다. CO 평균농도는 59~133 ppm이었으며 이 결과는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 PEL)인 50 ppm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적송과 같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랑 함유한 목재는 연기성능지수-II가 낮고, 연기성장지수-II가 높으므로 화재로 인한 연기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저연기성 이액형 방염우레탄락카 백색도료 연구 (Study for Binary Liquid Type Fire Retardant White Paint of Polyurethane Lacquer)

  • 권경옥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527-530
    • /
    • 2007
  • 방염도료로 일액형 염화고무(Chlorinated Rubber) 백색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탄화시 검은 연기가 많이 발생되고 목재에 대한 표면강도와 접착력 등의 미흡한 단점이 있어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한 Polyurethane Resin계(Alkyd Resin) 이액형 방염우레탄라카 백색도료를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서 개발한 목재용 Polyurethane Resin계 방염도료 조성의 물성은 기존의 방염백색도료보다 목재와의 친화력이 향상되고 다량의 연기발생은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다.

일부 목재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의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for Some Wood)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3권4호
    • /
    • pp.373-38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연기안전 등급 평가를 표준화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 1, 2와 3을 확장하여 Chung's equations-V인 연기성능지수-V와 연기성장지수-V를 산정하였다. 5종류의 목재를 선별하여 ISO 5660-1의 규격에 의한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법으로 연기지수들을 측정하였다. Chung's equation-VI에 따라 연기위험성지수-VI에 의한 연기위험성을 등급화 하였다. 연기위험성지수-VI는 PMMA(1) ≈ 단풍나무(1.01) < 물푸레나무(1.57) < 전나무(4.98) < 오동나무(46.15) < 적삼목(106.26)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단풍나무, 물푸레나무의 연기위험성이 가장 낮고, 오동나무, 적삼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험편 5종의 일산화탄소 평균생성속도는 0.0009~0.0024 g/s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목재는 기준 물질인 polymethyl methacrylate보다 불완전연소 물질임을 나타내었다. 선정된 목재들의 연기특성은 체적밀도가 높을수록 연기성능지수-V (SPI-V)이 증가하였고, 연기위험성지수-VI (SRI-VI)가 감소하였다.

인도네시아 주요 조림수종의 연소특성 (Combustion Properties of Major Wood Species Planted in Indonesia)

  • 박세휘;장재혁;;;;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68-7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조림지에서 생장한 4수종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해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평균열방출량($HRR_{mean}$)은 비중에 비례하였으며, 총열방출량(THR) 및 연소시간(FT) 등열관련 계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Albizia는 열방출 시간이 짧았고, Mindi는 4수종 중 점화시간(TTI)과 연소시간(FT)이 길어져 4수종 중 연소속도가 늦었고, 열방출 시간도 가장 길게 이어져 결국은 Mangium 수종과 비슷한 총열방출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bizia는 공시수종 중 가장 높은 비소화면적 값을 나타내어 연기발생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Mindi는 가장 낮은 비소화면적 값을 나타내 연기발생비율이 낮았다. 초기 연기방출률은 Albizia가 높았으나 이후에는 Gmelina와 Mangium 의 연기방출률이 높아져 총연기발생량이 높게 나타났다. Gmelina는 불완전연소로 인해 연소기간 중 가장 많은 일산화탄소 연기를 생성하였고, $CO/CO_2$ 비율은 다른 수종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