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poe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영화<죽은 시인의 사회> 다시 읽기 (Re-reading the film of Dead Poets Society)

  • 양현미
    • 영미문화
    • /
    • 제9권1호
    • /
    • pp.297-32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read the film of Dead Poets Society, specially focused on a feminist view. The film hides the strategy of recovering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At the beginning, the film resists the values of traditional society through John Keating. His unorthodox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smack against the traditions of Welton Academy. Furthermore, he stresses on "Carpe Diem"—Seize the Day, the romantic values of free thinking,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The forces opposing Keating's philosophy are personified by Welton's rigid, old headmaster, Mr. Nolan, and the cruel, stubborn parent, Mr. Perry. Keating's romantic values are failed by their powerful, dominating attitudes. Effected by Keating's philosophy, Neil decides to pursue acting rather than medicine. He conflicts with his strict father. Finally frustrated by his authority, Neil commits suicide. And Keating is accused of inciting the boys to restart the Dead Poets Society, and at last he is fired. Keating and Neil are victimiz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Even though the film concentrates male characters at the all boys' school, it reveals the male angle of binary oppositions between men and women, subject and object, activity and passivity, presence and absence. In the film's dramatic conclusion, English class is now being temporarily taught by Nolan, who has the boys read from the very Pritchard essay they had ripped out at the start of the film. It symbolizes the triumph of the traditional logocentric society. However, influenced by Keating's unconventional attitudes, ultimately Welton Academy will be changed as it is embodied in its closing scene.

남성 뮤즈와 여성 시인의 목소리: 실비아 플라스 초기시 연구 (The Male Muse and the Female Poetic Voice: Early Poems of Sylvia Plath)

  • 고찬미
    • 여성학논집
    • /
    • 제26권1호
    • /
    • pp.207-237
    • /
    • 2009
  • 이 논문은 실비아 플라스의 초기시를 연구함으로써, 남성중심 문학 전통에서 여성시인으로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그로 인해 느낀 고뇌와 갈등이 플라스를 결국 여성 시인의 자아를 추구해 나가도록 만든 불가피한 요소였음을 밝히려고 한다. 본고는 플라스가 초기 작품에서 주로 남성중심의 시적 전통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지만, 오히려 남성 전통이 여성 시인의 성장을 저해하는 파괴적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비록 플라스는 처음에 여성은 시인으로서의 자신감을 가지기 힘들다는 생각으로 남성중심 시각에서 시를 쓰기 시작하고, 그러한 글쓰기로부터 권위있는 목소리를 부여받기를 원했지만, 남성 전통과 여성 시인이 융합되기 힘들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남성 전통에 대한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이렇게 남성 전통에 편입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끝나는 모습을 시적 자아로 투영시킨 플라스의 초기시들을 집중 분석한다. 그녀의 초기시, 「뱀부리는 사람」("Snakecharmer")과 「다섯 자 깊이」("Full Fathom Five"), 그리고 「거상」("The Colossus")에서 남성중심 전통이 그녀에게 창조적이면서 동시에 파괴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이와 함께 여성 시인으로서 자신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남성 전통에서 벗어날 필요를 느끼는 플라스를 엿볼 수 있다. 이제까지 플라스의 초기시는 남성 시인 작품들을 모방하는 습작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를 주로 받아왔지만, 그녀가 이후에 자신감을 획득한 여성 시인으로서의 목소리를 발화하기에 앞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진통을 담고 있다는 데 큰 의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조선후기 '님' 담론의 특성과 그 의미 : 사설시조와 잡가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Nim' Texts in the Late Chason Period: Focused on Saseol-sijo and Chap-ga)

  • 신은경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113-139
    • /
    • 2004
  • 사설시조에서는 남성화자가 여성 님에 대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을 토로하는 작품들이 급증하고 이 현상은 잡가에서 극대화된다. 이런 텍스트들은 근대 이후의 시에서 '여성예찬' 혹은 '여성의 초점화'와 같은 주제가 활성화되는 내적 토대가 되며 여성에 대한 당대의 시각변화를 반영하고 있어 사설시조가 내포하는 '근대성'을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님'에 대한 애정을 노래한 사설시조는 애정의 성격에 따라 '상사형'과 '육정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사설시조에서 특별히 부각되기 시작하는 유형은 '남성 상사형' 즉 남성화자가 여성 님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유형이다. 남성 상사형 사설시조는, 이전의 한국 시가의 전형적 패턴이 되어 온 '여성상사형' 즉 여성화자가 남성님을 향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을 표현하는 유형과는 달리 ‘여성'이 발화와 가치의 중심에 놓인다는 특징을 지닌다. '상사형' 텍스트에서 '님'은 시적 화자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가치의 총체이자 발화의 중심이 되는데 '남성 상사형'은 곧, 남성만이 차지하던 '님'의 자리에 여성도 위치하게 되었음을 알려주는 징표가 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여성의 초점화'라는 용어로 포괄하여 사설시조 및 잡가를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폈으며 근대 이후의 시에서 '마돈나' '그대' '당신'으로 지칭되는 여성 님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내적 토대가 된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 PDF

신여성문학의 한계와 극복: 엘라 헵워스 딕슨의 『모던여성의 이야기』 (Limitation and Overcoming in New Women Literature: Ella Hepworth Dixon's The Story of a Modern Woman)

  • 김희선;김일구
    • 영미문화
    • /
    • 제17권1호
    • /
    • pp.55-79
    • /
    • 2017
  • Ella Hepworth Dixon's The Story of a Modern Woman is a pioneering female writer?s important work which was not deeply studied yet very influential in new women literature and its cultural global impact. Although women had been often praised for their beauties specially by romantic poets but their self-realization and innate values were not widely recognized until new women writers advocated their desires and active roles in the socie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new women writers including Ella Dixon gained popularity with their professional skills as the journalists or the contributors to the journals which were suddenly popular and actively circulated among Victorian women. From the 1880s to 1920s, in contrast with the traditional images of wives as ?the angel in the house?, these women new women writers broke the yoke of subjugated womanhood and instead tried to freely express their independent spirits and demanded their roles in the society. Although they were criticized sometimes as "the daughter of a new guise" "a lady of restless sex" or "the wild women," new girls? perky images in new women fiction brought into the new cultural phenomenon which led to the ?flapper? girl in the 1920s. Ella Dixon?s protagonist Mary Erle, strikingly similar to author herself, was a representative new woman who displayed a wide range of new cultural perspectives from a feminist?s viewpoint, but her untimely desire in the capitalized society was not fully accomplished, just promising the potentiality of the female solidarity which might be achieved later by her feminist posterity.

미국 한국학이 가는 길, 한국 인문학이 나아갈 길 -유영주(Youngju Ryu), 『겨울 공화국의 작가: 박정희 시대 한국의 문학과 저항(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 (The Path Taken by Korean Studies in the U.S. and the Path Korean Humanities Should Take - Youngju Ryu's 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

  • 정기인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279-302
    • /
    • 2019
  • 이 글은 유영주(Youngju Ryu)의 『겨울 공화국의 작가: 박정희 시대 한국의 문학과 저항』(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의 내용을 소개하고, 이의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 책은 박정희 유신 시대의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양성우, 김지하, 이문구, 조세희, 황석영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냉전 시대 미국 헤게모니와 박정희 정권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양성우, 김지하 등 시인은 시, 재판기록, 회고록 등을 바탕으로 이들이 어떻게 박정희 정권에 대항했는지를 밝히고, 이문구 등의 소설가는 이들의 소설이 '이웃'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어떻게 박정희 정권에 대항하는 공동체를 상상했는지를 서술한다. 이는 박정희 시대의 문학이 어떻게 정권에 대항하는 최전선에 설 수 있었는지를 서술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영웅 서사로 이들의 문학과 삶을 다루면서, 다소 평면적으로 이들의 삶과 문학이 조명되고, 특히 이문구 등의 소설가들의 삶과 문학은 2000년대 이후까지 연속적으로 다루어지는 반면 양성우와 김지하의 2000년대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는 점은 아쉽다. 더 나아가 1970년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남성의, 남성에 의한, 남성에 대(항)한 문학으로만 조명하고, 이를 오늘날 박민규와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정치'에 대한 다소 협소한 규정과 여성 작가들이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이 아쉽다. 종합적으로 이 책은 한국 1970년대의 한국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풍부한 자료와 아름다운 문체로 소개하는 것은 물론, 한국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앞으로 한국학이 나아갈 길에 대해서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