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migrants for marriag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Transnational Migration)

  • 정유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0-194
    • /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 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 PDF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 (Comparison of Parenting Stress between Married Migrants and Korean Women)

  • 김혜경;이은희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01-10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enting stress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Methods: Subjects were 68 married migrant women and 70 Korean women raising children aged seven years or younger, living in three different cities in Gangwon Do. To measure parenting stress, we used Kim's (1997) questionnaire that had been modified from Richard & Abidin's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academic credentials, job, monthly income, and achievement of maternal ro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parenting stress scores (p<.355),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stress (p<.007)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arenting and family support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nati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family.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 극복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roaches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Overcoming the Migrants' Social Exclusion)

  • 김시라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61-67
    • /
    • 2023
  • 본 연구는 증가하는 이주민과 더불어 이에 대한 사회적 배제는 많은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는데 착안하여 이주민들이 한국사회에서 겪는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관련 법제도를 제.개정하여야 한다. 이주민의 증가로 각종 법제도적 제정은 물론 관련법의 재정비가 불가피하다. 이주민은 자신들의 문화적 고유성과 가치를 인정받고 보존하며, 정주민들과 동등한 자격과 능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게 해야 한다. 둘째, 이주민의 정치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현재 극히 일부만 열려 있는 이주민의 정치참여가 보장될 때,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한걸음 진전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해야 한다. 이의 전제로 이주민과 공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배제가 극복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야 한다. 이주민은 정주민에 비해 사회적 배제가 각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공존관계로 발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증가하는 이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주민들에게 가해지고 있는 사회적 배제가 극복되어야만 사회통합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의 구성과정 -재독한인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Based on the Biographies of the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325-35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생애사에서는 어떠한 젠더가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간호노동자로 이주한 10명의 재독한인여성들과 Schutze(1983)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도 그의 분석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는 결혼 이전까지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결혼 이후에는 직업과 가정을 양립한 경우와 가정에만 전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이전의 여학생이나 노동여성으로서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두 경우 모두 성분리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해체'했고, 이주 이후의 노동이주여성으로 전환된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성중립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행했는데', 결혼 이후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이주여성과 결혼이주여성으로서의 이중적 위치에서 성중립적 젠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고 또 강화시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전환된 단일한 위치에서 성분리적 젠더를 다시 재구성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는 차이가 있음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를 이해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제천시 다문화가정의 사회적 리포지셔닝 연구 :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The Study for Social Repositioning of Multi-Cultural Family in Jecheon City :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

  • 김수완;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5-50
    • /
    • 2019
  • 본 연구는 제천시의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 포지셔닝에 대한 사회적 위치 변화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제천시의 다문화 가족의 사회적 위치, 사회적 인식의 영향에 따라 정책설계를 분석하며, 1990년부터 2013년까지 뉴스기사, 인터뷰를 분석한 질적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시간범위는 1990년대 다문화가정의 태동기, 2000~2005년 다문화가정의 양적 성장기, 2006~2011년의 다문화가정의 질적 성장기, 다문화 가정의 2012년 이후의 다문화가정의 반감기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