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ing habita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월동기 군집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Variation of Wintering Waterbirds in Geum River, Korea)

  • 유재평;한성우;진선덕;백인환;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22
    • /
    • 2014
  • 본 연구는 월동기에 해당하는 2011년 9월부터 2012년 3월까지(1차)와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2차)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맹금류를 포함한 수조류는 총 63종이 관찰되었고, 1차조사에서 50종 188,673개체, 2차조사에서 56종 116,611개체가 기록되었다. 주요 우점종은 가창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쇠기러기, 괭이갈매기, 혹부리오리 등으로 수면성오리류의 우점률이 높았다. 유사한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9개 분류군으로 구분하여 기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면성오리류, 잠수성오리류, 맹금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로류와 섭금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러기류, 고니류, 수면성오리류는 금강하구둑 상류지역의 서식지 이용률이 높았고, 잠수성오리류, 백로류, 섭금류, 갈매기류는 하류지역의 이용률이 높았다.

월동기 흰뺨검둥오리의 일일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ot-billed Ducks' Daily Habitat Use Pattern During Wintering Period in Korea)

  • 신용운;신만석;이한수;한승우;정상민;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8-3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을 이용하여 국내에 월동 번식하는 흰뺨검둥오리의 하루 동안 서식지 이용과 이동거리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수조류 서식지 보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경기도 안성천, 충청남도 봉선저수지, 전라북도 만경강, 동진강, 전라남도 해남군 등 5개 하천과 저수지로 흰뺨검둥오리 20개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였다. 흰뺨검둥오리는 월동기에 내륙수를 47.3%의 비중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논, 해양수, 내륙습지, 연안습지 등이었다. 내륙수는 시간에 관계없이 꾸준히 이용하였다. 논은 야간에 주로 이용하였고, 내륙습지, 연안습지, 해양수의 경우 주간에 주로 이용하였다. 서식지 이용률 변화는 16시와 18시, 06시와 08시에 가장 컸다. 전체 평균 이동거리는 $0.75{\pm}0.27km$/2hours이었으며, 누적 이동거리는 8.95km이었다. 06시에서 08시, 16시에서 18시에 이동한 거리는 2km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그 외 시간에는 1km미만의 이동거리를 보였다. 장거리를 이동한 시간은 서식지 이용률의 변화 폭이 가장 큰 시간과 일치하였다.

하남시 토지이용현황에 따른 겨울철 야생조류 서식유형 분석 연구 (Habitat Types of Wintering Season Wildbirds Depending on Land Use, Hanam)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1077-1086
    • /
    • 2006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habitat types of winter wildbird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area is Hanam City. Researches on land use types showed Hanam City had 79.1% of greenspace and openspace, but intensive urban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greenspace that is adjacent to urban districts. This has brought the problems of lack of greenspace in urban districts and damages to cultivated areas and grassland. A total of 61 and 8,642 populations of winter wild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research areas. Paradoxornis webbiann(16.91), Passer montanus(11.93), Pica pica(6.88) were dominant species. When they were divided according to habitat types, 20 species of interior species, 8 species of interior-edge generalist species, 12 species of edge species and 3 species of urban species were observed. When which land use type was mostly served as wildbirds habitats was examined, urban species(3 species and 290 populations) was a dominant species in urban districts while in greenspace and openspaece, water species(19species and 3,075 populations) including winter migratory birds was. Among greenspace and openspaece, edge species was dominant in forest while urban species was a dominant species in cultivated areas. This shows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of wildbirds through restoration of cultivated areas in the central part of Hanam City.

Patterns of Habitat Use and Home Range of a GPS Tracking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Cheorwon, Korea

  • Lee, Kisup;Kwon, In-Ki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4호
    • /
    • pp.285-292
    • /
    • 2021
  • We investigated habitat use and home range of a rescued and released white-naped crane using GPS tracking technology in Cheorwon, South Korea, from October 2016 to March 2017. Four types of roosting sites were identified: frozen reservoirs, paddy fields, rivers, and wetlands. Upon arrival, the white-naped crane preferred wetland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In late wintering season, it showed a tendency to change main roosting sites in the following order: rice paddies, rivers, and frozen reservoirs. Among 14 sleeping places, Civilian Control Zone (CCZ) with various type of available habitats was more preferred than the DMZ. Places outside of CCZ were rarely used due to anthropogenic disturbances during the night. The tracked white-naped crane widely chose daytime feeding sites while moving around all over rice paddies in the CCZ. Mean diurnal movement distance was 10.5 km with a maximum of 24.8 km. Its home range measured with Minimum Convex Polygon (MCP) an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was 172.30 km2 with MCP, 159.60 km2 with KDE 95%, 132.48 km2 with KDE 90%, and 42.45 km2 with KDE 50%. All estimated values of home ranges were higher in the early and later winter than those in the middle period.

기후요인에 의한 철원지역 두루미류 월동개체수 변화 -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와 지속기간의 영향 - (Wintering Population Change of the Cranes according to the Climatic Factors in Cheorwon, Korea: Effect of the Snow Cover Range and Period by Using MODIS Satellite Data)

  • 유승화;이기섭;정화영;김화정;허위행;김진한;박종화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76-18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두루미와는 달리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대체 월동지(일본의 이즈미)가 있다. 따라서 철원지역 눈 덮임의 정도에 따라 연도별로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일반적으로 분석되는 기상청의 기후자료와 함께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을 분석하였다.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개체수 자료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1월 개체수를 활용하였다. 철원지역의 기온은 2002년부터 2007~2008년도 월동기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2011~2012년도 월동기에 가장 낮은 온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온량지수도 유사한 증감의 경향을 보였다. 신적설량은 2002년 이후 낮게 유지되었으나 2010~2011, 2011~2012년 크게 증가한 형태를 보였다. 눈 덮임의 범위는 2002년부터 2005~2006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2009~ 2010, 2010~2011년 월동기에 급격히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른 기후요인에 비하여 1월의 눈 덮임 범위가 넓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두루미의 개체수는 일반적 기후요인뿐만 아니라 눈 덮임 관련 요인에 대해서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두루미의 개체군 변동은 기후요인에 변화하지 않고 다른 서식지 선택요인 (안정적 잠자리, 취식지 넓이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중 회기분석에서 눈 덮임 범위 및 기간의 로그값과 유의미한 회귀관계가 성립하였다. 따라서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월동기 눈 덮임의 범위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눈 덮임에 의해 먹이원인 낙곡을 찾기 힘들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개체수 변화는 다른 월동지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인 일본의 이즈미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즈미 월동지의 재두루미 개체수와 철원의 개체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져 서로 연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洛東江하구 干濕地의 水生管束植物에 관한 硏究 - 河口堰 建設 前後의 干濕地 植生의 生産性 比較 (A Study on Vascular Hydrophytes of Intertidal Area in Nakdong Estuary -Productivity of Intertidal Vascular hydrophyt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Nakdong Barrage-)

  • Yoon, Hae 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63-73
    • /
    • 1991
  • 洛東江 河口堰 건설 이후의 干濕地 植生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식생의 분포와 生産性 및 現存量을 조사하여 河口堰 건설 전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干濕地 I지소의 상부에 草丈이 길고 密度가 높았던 군락(1985.7)이 草丈과 密度가 낮아졌으며, 하부에 개척자 단계의 세모고랭이 군락이 확장되고 密度와 草高 및 現存量이 증가하였다. 干濕地 II지소의 자연제방 부분에 사토가 퇴적되어 확장되고 干濕地面이 높아졌다. 동쪽부분(sandy area)의 세모고랭이 군락은 증가하고 중앙부(muddy area)의 세모고랭이는 쇠퇴되어 現存量이 감소하였다. 서쪽부분의 干濕地(sandy area)는 확장되고, 증가되었다. 河口堰 건설공사 동안 밀도, 초간, 현재량 및 一次純生産量은 심한 변동을 나타내었으며, 공사초기(1984)에 비해 공사 이후 1988년, 1989년의 총현존량(total standing crop)과 괴경의 현존량은 증가하였으나, 1990년에는 1989년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세모고랭이 塊莖의 現存量을 철새들이 도래하기 시작하는 10월을 중심으로 河口堰工事 前(유, 1987)과 河口堰건설 이후를 비교하면 1983년 부터 '84, 85년까지 증가하였으며, 1986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83년의 81%수준이었다. 완공후의 1988년에는 1983년보다 높은 0.79g DW${\cdot}m^{-2}$으로 83년의 159%로 증가되었으며, '89년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90년에는 '89년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 PDF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친환경적 계획 방안 연구 - 부산 강서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of Bird Habitat Preparation for Eco-friendly Development - Focusing on Ganseo Area in Busan -)

  • 박용수;한동욱;김남신;조동길;심윤진;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51-165
    • /
    • 2015
  • This study surveys and analyzes the ecology of Gangseo area to be developed near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in Busan - before its development.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s as its basis, the study also finds ways to conserve the area's bird habitats in response to the planne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ite surveys over four seasons, West Nakdonggang River which is near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is a wintering ground for migratory birds. Some representative bird types in this area are ducks, geese, and other water birds. There are even six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average altitude of their flight is calculated to be $92.4{\pm}18.8m$ and the main purpose for the migration is determined to be for food. According to evalution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area,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turns out to have the highest conservation value. Other areas are developable as long as it was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ncorporation of ecological parks and biotopes within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along with the proposal for spaces in the surroundings where the wintering birds can rest and feed. Especially for the wintering birds that rest at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their flight direction and pattern was examined to determine that their resting ground should be located 50~100m off of the river bank.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ways to maximize bird habitat by building ecological corridors between the agricultural channel and other small streams in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and the habitats in the surroundings.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construction of low buildings, at most 20m in height, near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considering the birds' flight altitude and direction.

김포한강신도시 주변 논 습지에 도래하는 월동 조류의 서식처 보전대책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for Wintering Birds in the Rice Fields near Gimpo-Hangang New Town)

  • 심설웅;주영돈;배정훈;배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5-297
    • /
    • 2024
  • 본 연구 지역은 김포한강신도시 주변 걸포동, 감정동 일원으로 한강하구 철새도래지역과 인접하여 지속적인 철새류 이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며, 해당 지역의 논 습지는 오리·기러기류의 먹이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4개 논 습지(site A~D)를 대상으로 2015년 10월~2022년 3월(총 59차례)까지 관찰된 조류는 총 32과 72종 44,942개체였으며, 상대적으로 넓고 한강과 접한 site D에서 높은 종과 개체수를 보였다. 개발이 시행된 site A와 주변(site B, C) 지역 조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종수가 낮았으나, 개발이나 간섭의 증가로 섭식지가 소멸되거나 감소하지만, 지속적인 종 이입과 잔여 섭식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상 지역 이입 종 중 우점종이며 법정보호종으로 논 습지를 섭식지로 이용하는 큰기러기를 대상 종으로 선정하고, 분포 특성을 기간별 분석한 결과('15~'22년, 10~3월, 총 30개월) 총 39차례 162회 개체군이 이입되는 등 개체수가 최대 30배까지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연구 대상 지역이 한강하구 주요철새도래지역인 장항습지(월동지)와 섭식지간 이용하는 기러기류 실태조사에서 약 5km 내 섭식지를 집중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에 따른 결과라 판단되며, 연구 지역 일대가 이동 거리상 가치가 높은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 지역의 경우 도시 확장에 따른 섭식지 소멸이나 감소가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인 종이입이 예상되며, 장래 개발 시 잔존 서식지 보존 외에 대체 섭식지 확보와 밀려나게 될 섭식지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생태적 코리더의 보호와 코리더와 연결된 징검다리 서식지 확보 대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야생동물위치추적기를 이용한 동아시아 저어새(Platalea minor)의 가을 이동경로 (Autumn Migration of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Tracked by Wild-Tracker in East Asia)

  • 정상민;강정훈;김인규;이한수;이시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8-485
    • /
    • 2018
  • 저어새(Platalea minor)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발표한 RedList에 Endangered(EN)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3,356개체가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저어새 번식 개체군의 70% 이상은 한국 서해안에서 번식하며, 대만, 중국, 홍콩 등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저어새의 장거리 이동과 남하 시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이용하여 저어새의 이동 경로와 분포, 중간기착지 및 월동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위치추적기는 2014년 6월 말 한국의 번식지에서 저어새 유조를 포획하여 부착했다. 추적 결과, 저어새의 남하시기는 10월 말에서 11월 초로 나타났으며, 월동지까지의 이동 거리는 최소 746km, 최대 1,820 km로 평균 1,201 km이었다. 하루 최대 이동 거리는 1,479 km이었으며, 평균 782 km이었다. 월동지까지 이동소요 기간은 평균 10일이었으며, 가장 짧은 기간은 2일이었고 가장 긴 기간은 34일이었다. 대부분의 개체들은 2~3개의 중간기착지를 이용하였으며, 1~2일을 머물렀으며, 주요 중간기착지는 강, 하천, 저수지, 갯벌과 같은 습지였다. 월동지는 중국 해안 지역(5개체), 중국 내륙 지역(1개체), 대만(3개체), 일본(1개체)등 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어새의 이동경로 상에 있는 국가 간의 협의와 보호정책을 통해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중간기착지 및 월동지역을 보전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보전대책 및 활동계획 등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Movements and Home-range of Mallards by GPS-Mobile based Telementary (WT-200) in Korea)

  • 강태한;김달호;조해진;신용운;이한수;서재화;황종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2-649
    • /
    • 2014
  •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