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e color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1초

적포도(Muscat Bailey A)주 발효 중 효소 처리에 의한 Phenol류 추출 및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by the Enzyme Treatment of Red Grape(Muscat Bailey A) Wine during Fermentation)

  • 이정윤;채수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4-331
    • /
    • 2010
  • 국내산 MBA(Muscat Bailey A) 포도의 효소 처리에 의한 발효 과정 중 총 페놀 추출량을 비롯하여 Hunter's L, a, b값, hue 및 color intensity 등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에 총 페놀 함량은 $1,352.8{\pm}37.8\;mg/{\ell}$이었으며, Pectinex와 Viscozyme의 효소 처리로 각각 14.5%(p<0.05) 및 3.8% 증가하여 Pectinex 처리가 Viscozyme 처리보다 페놀류 추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 L, a, b값은 각각 7.4, 9.2, -1.2였으며, Pectinex 효소 처리의 경우는 7.0, 10.6, -0.8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0.05), Viscozyme 효소 처리의 경우는 7.2, 9.8, -1.1로 효소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 hue 값과 color intensity는 각각 0.492와 0.785를 나타내었으며, Pectinex 효소 처리의 경우는 0.460과 0.881로 hue값은 다소 감소하였고 color intensity는 약간 증가하였으나(p<0.05), Viscozyme 효소 처리의 경우는 0.482와 0.805로 효소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포도 숙성 정도에 따른 청포랑 화이트 와인의 향기 및 품질 특성 (Arom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rang White Wines using Grapes at Different Stages of Ripening)

  • 윤향식;정창원;박혜진;박정미;최원일;김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13-822
    • /
    • 2017
  • To investigate the arom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e bestowed by the degree of ripening of Cheongporang grapes, the general quality composition, color, organic acid, physiological activity, aroma compon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ine assessed were pH 3.34~3.50, total acidity 0.46~0.67%, color intensity 0.074~0.116, lightness 98.99~99.74, redness -0.39~0.01, and yellowness was 1.52~3.10. Malolactic fermentation was not relative to the contents of malic acid and lactic aci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lowest in C3 wines made with ripe grapes and highest in C4 wines made with mixed grapes. Aroma analysis identified 6 alcohols, 15 esters and 5 miscellaneous compounds. Compounds with higher odor activity value (OAV) were 3-methyl-1-butanol, ethyl butanoate, isopentyl acetate, ethyl hexanoate, ethyl octanoate, ethyl decanoate and octanoic acid. The C4 wine, a mixture of grapes with different degrees of ripening, had the highest ester content and ratio. The lowest values were found in the C3 wine made with ripe grapes.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related the C4 win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ster compounds having high OAV values as the aroma component, as the best and most preferred wine.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 김옥선;박성순;성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93-1700
    • /
    • 2012
  •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발효 3일째,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낮았다. 환원당과 유리당은 1일째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발효 초기에 당화 효소 활성으로 쌀의 전분이 glucose와 maltose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기산은 발효 동안 증가하였으며 lactic acid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발효 동안 흑미 첨가 막걸리의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 초기 젖산균수가 증가하여 3일째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는 lactic acid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또한 흑미 첨가량이 많을수록 젖산균수가 높았다. 색도는 흑미의 붉은색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의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흑미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적으로 단맛과 신맛의 영향을 받아 대조구와 2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할수록 항산화 성분은 증가하나 관능평가 결과로 보았을 때 흑미는 20% 수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징방법에 따른 사과와인의 색과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ning Treatments on Color and Clearness of Apple Wine)

  • 방병호;정은자;강혜란;이문수;이동희;백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8-3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산 홍로품종을 원료로 양조한 사과와인에 PVPP와 벤토나이트를 이용하여 청징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후 사과와인의 색과 투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와인시료는 청징조건에 따라 청징을 하지 않은 Control 시료와 0.5 g/L의 PVPP로 단일 청징한 A시료, 0.25 mg/L의 PVPP와 0.75 mg/L의 벤토나이트를 동시 투입하여 청징한 B시료, 0.25 mg/L의 PVPP 투입 24시간 후 0.75 mg/L의 벤토나이트를 넣어 청징한 C시료로 나누어 $15^{\circ}C$에서 7일간 보관 뒤 침전물과 분리하였으며, 각 시료의 총산과 유기산, 휘발성 향기성분, 총페놀과 intensity, hue, color(APHA value)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산과 유기산,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우 청징조건이 다른 시료 간의 분석결과가 유사하므로 청징에 의한 영향은 아주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총페놀과 intensity, hue, color(APHA value)의 비교분석 결과 총페놀 함량의 경우 청징에 의해 감소하며 특히 PVPP가 이 성분을 흡착하여 침전시키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페놀 함량이 낮아진 와인 시료에서 와인의 맑기가 더 맑아지고 색이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나 사과와인의 개선에 PVPP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rowning의 개선과 함께 사과와인의 외관에 있어 중요한 것이 혼탁을 일으키는 단백질 제거이므로, 이에 탁월한 효과를 지닌 벤토나이트를 PVPP와 혼용하여 청징한 실험도 진행하였다. 두 청징제를 동시에 넣는 조건과 PVPP 투입 24시간 후 벤토나이트를 넣는 조건으로 나누어 청징하였을 때, 동시에 투입하는 것이 더 높은 색 개선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토나이트가 단백질을 흡착하여 침전하면서 페놀화합물을 흡착한 PVPP의 침전을 도와 바닥에 더 잘 가라앉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청징제를 동시에 청징한 와인과 PVPP 단일 청징 와인을 비교해본 결과, 두 청징제의 동시 혼용조건에서 와인이 더 맑으면서도 pale color에 가까운 색을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PVPP 청징의 경우 적용 전 실험실에서 연구 스케일로 실험을 진행한 뒤 적정량을 결정하여 사용한다면 지나친 청징에 대한 우려와는 달리 관능적인 기질을 보존하면서도 색과 투명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포도(Red Glove)의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의 생산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in Grape (Red Glove) Production and Quality of Red Wine)

  • 이정창;최용근;박정수;정희훈;이동희;최태부;강상모;김형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 발효와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pectinase 처리가 와인제조 과정에서 과즙 추출 향상, 과즙 청징 작용으로 색의 투명성과 안정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과즙 산출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pectinase가 펙틴을 분해하여 약 13%(v/v)의 포도과즙 수율 증가를 나타냈다. 와인 색의 강도와 투명성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색의 적색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는 높은 선명도를 나타냈다. 또한, 펙틴이 pectinesterase(P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발효 중에 메탄올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를 통한 와인 품질과 관련된 기호 평가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외관, 향, 맛, 촉감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ectinase의 처리에 의한 레드와인 발효 시, 다당류와 펙틴의 분해에 의해 레드와인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와인제조 과정에서 pectinase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메탄올 생성량의 감소 방안, 그리고 pectinase 처리 와인의 성분 분석과 기능이 세부적으로 연구된다면 와인품질 개선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흑미를 이용한 무증자 유색주의 제조와 품질 (Preparation and Quality of Uncooked-Colored Wine Using Black Rice)

  • 김순동;김미향;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4-230
    • /
    • 2000
  • 흑미와 glucoamylasc를 이용한 무증자 유색주의 제조와 품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미에 대한 흑미의 혼합비율을 검토하였다. 흑미를 20~100% 범위로 첨가하여 만든 유색주는 백미만으로 만든 술에 비하여 효모 및 젖산균의 생육도가 높았으며 잔당의 함량이 낮았다. 또 흑미의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pH와 알코올 생성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유색주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농도는 백미주에 비하여 낮았으나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높았으며 fusel유의 함량은 낮았다. 유색주의 색상은 흑미를 20% 첨가하였을 때는 연한 적색을 띠었으나 80% 이상 첨가시는 너무 진한 척색을 띠었다. 색상 및 냄새에 대한 기호도와 관능적 품질 및 주요 품질평가 지표로서 잔당의 함량, 알코올 농도, fusel유의 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흑미의 적정 혼합율은 40~60%이었다.

  • PDF

개량머루주의 감산에 관한 연구 (Deacidification of New Wild Grape Wine)

  • 김승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5-270
    • /
    • 1996
  • When new told grape with high acidity Is used wine, their sensory scores are decreased. Using three available methods reducing excess acidify In winemaking, they were malo-lactic fermentation, addition of apple pomace and malo-alcohol fermentation. The chemical mon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wine were determined. They were found in pink wine added apple pomace that tatal acidity and malic acid content were 0.76 and 0.484%. Color Intensity (A520+A420) in pink wanes, their valuse were in the range 8.21~9.42, while the value of red wine was 20.92. Browning index and total phenol contents in pink wine, their values were In the range of 1.36∼1.42 and 3,300∼3,800mg 11.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pink wine added apple pomace(10%) was highest in taste and total scores (P<0.05), and the taste of wine has improved.

  • PDF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 배인영;이광연;신민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44-748
    • /
    • 2004
  • 포도주 양조 시 사용되는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를 대체할 수 있는 발효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Monascus anka로부터 얻은 균체를 이용하여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Monascus anka 균체의 alcohol dehydrogenase 생성능은 S. cerevisiae를 100%로 보았을 때 56.89%를 나타내었으나, 발효 경향은 초기에는 S. cerevisiae보다 낮았으나 발효 4일 이후부터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알코올 함량도 12%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적포도주는 S. cerevisiae 적포도주에 비해 pH는 낮았으나 산도와 환원당 함량은 높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적포도주의 색상은 증가하고 탁도는 감소하였으며,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가 S. cerevisiae 적포도주보다 좋은 색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페놀함량은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1608.01 mg/L)가 S. cerevisiae 적포도주(1337.60 mg/L)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색이 우수한 복색 홑꽃 스프레이국화 'Noble Wine'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Noble Wine' with Good Color, Single Type and Bi-color Petals for Cut Flower)

  • 황주천;진영돈;정용모;김수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40
    • /
    • 2009
  • 'Noble Wine'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백색 홑꽃인 'SL03-01'을 모본, 복색 홑꽃인 'Artist Pink' 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3년에서 2007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봄 촉성재배와 가을 억제재배 조건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Noble Wine'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26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가 5.4 cm인 소륜으로 꽃 하나의 꽃잎수가 21.6개정도이고 착화수도 28.5개로 많은 편이다. 화색은 복색(백색/적색)이며, 녹색화심을 가졌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Noble Wine' 품종의 개화소요일수는 45일 정도이며, 가을 절화수명은 21.3일로 나타났다.

방사선조사에 의한 한국산탁주 및 약주의 shelf-life 연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adiation preservation of fermented Korean rice-wine (Tak Joo and Yak Joo))

  • 이근배;김종협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5-56
    • /
    • 1969
  • The rapid deterioration of fermented rice-wine, called Tak Joo and Yak Joo,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for brewing and marketing in Korea. In this study the b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performed for extension of shelf-life of the rice-wine by the method of combined heat and radiopasteurization. Major microflora in this wine is proved as Saccharomyces cereoisiar, which is destroyed by h-at treatmznt ($70^{\circ}C$, 10 min.) combined with gamma-irradiation of 240 K, rads doses. The change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them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room temperatures of summer days($33^{\circ}C$). The results of sensory test for gamma-irradiated rice-wine with lower doses show no significant unfavourable off-odor nor color change compared with the fresh rice-wine. Therefore, it is revealed that the combined process makes possible extension of shelf-life of fermented rice-wine in markets without any deterioration and loose of its particular tastes at least for three wee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