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buckwheat powd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whole buckwheat by wet grinding over time)

  • 조용준;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메밀껍질을 활용하고자 효소처리 및 습식분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 분쇄 통메밀 분말의 입도 분석 결과 메밀쌀의 평균 입자크기는 74.84 ${\mu}m$로 통메밀 분말에 비하여 약 4~5배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분쇄 90분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분쇄가 진행될수록 조금씩 상승하였다. Rutin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 44.10 ppm에 습식분쇄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상승하여 습식분쇄 90분에서 152.90 ppm까지 증가한 뒤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Quercetin의 경우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큰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Ca, K 및 Mg의 함량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Zn 및 Mn이 통메밀 분말에서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통메밀 분말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22.27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14.58 mg%에서 30.45 mg%로 두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통메밀 분말 제조를 위한 습식분쇄 시간은 90분이 적절하였으며 통메밀 분말의 경우 메밀껍질의 유효성분의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습식분쇄과정을 통한 식감개선이 가능하여 차후 다양한 가공제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강원도 막국수와 메밀분의 성분학적 특성 및 시판제품 중의 메밀함량 감별법 (Studies on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uckwheat Flour in Commercial Products of Kangwondo Makkuksoo(Buckwheat Noodle) and Buckwheat Flour)

  • 이상영;최용순;심태흠;김준래;김성완;정의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63-968
    • /
    • 1999
  • This study was tried to evaluate possibilities for discriminating the mixture degree of wheat flour from buckwheat products. Buckwheat was milled into four grades of powder, i.e. whole grain flour (WGF), inner layer flour(ILF), middle layer flour(MLF) and outer layer flour(OLF)), and these powders were mixed with wheat flour(WF) to make mixed samples. Ash, protein and fat contents of the buckwheat flours were high in the order of OLF=WGF>MLF>ILF. On the other hand, WF showed a similar content to OLF in ash and protein, and to ILF in fats.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higher in all the buckwheat powder than in the wheat flour.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in order of OLF>WGF=MLF> ILF, but it was not in wheat flour. Although the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mix ratio and components, i.e. mag nesium or ash analyzed were found, it did not seem to reflect sufficiently the expected variations of contents of original material components. Also, compositions of commercial buckwheat product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mixed ratio of buckwheat flour and wheat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nents analyzed in this study as putative marker were not good in determining whether or how much buckwheat products contained wheat flou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