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water

검색결과 1,120건 처리시간 0.023초

토사자(兎絲子)가 난소적출(卵巢摘出)로 유도(誘導)된 흰쥐의 골다공증(骨多孔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uscutae Semen Extract on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김종현;김호석;전재윤;정다원;조창영;손영주;정혁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1
    • /
    • 2012
  • Objectives: Osteoporosis, which occurs after menopause, is a kind of metabolic bone disorder. It develops when the bone mass begins to decrease radically, and its main symptoms are bone fracture and height-shortening. This thesis aims at what effects the Cuscutae Semen Extract(CSE) has o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SD-rat that is caused by ovariectomy. Methods: The 24 female white rats, after removing their ovarie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s, the Control group, and the CSE administrated group. For the next 8 weeks, distilled water to the normals and the control, and the CSE(45.9 mg/100 g) to the CSE administrated group were given in the mouths of them. After 8 weeks the rats were sacrificed. Weight, album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rus, calcium, tetraiodothyronine, estradiol, the weight of the femur, the amount of tibia ash, the area of trabecular bone, and the thickness of trabecular bone were measured. Results: The serum analysis shows that the calcium and phosphorous of the CSE administr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kalinephosphatase, total cholesterol, tetraiodothyronine of CSE group were decreased, but not so significant. Albumin, alanine aminotransferase, triglyceride and estradiol of the group showed the tendency to increase, but the significance wasn't admitted. Regarding the variation of bone, the femur weight and the ash content of tibia, CSE group was more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significance wasn't admitted.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s that the trabecular thickness was more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and trabecular are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osteoclast and osteoblast area of the CSE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From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CSE should be effective for the osteoporosis cure and precaution and deeper study through bedside and clinical demonstration is much needed from now on.

부들화분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과 제빵 적성 (Effects of Cattail Pollen Powders on the Rheology of Dough and Processing Adaptability of White Pan Bread)

  • 이병찬;정용면;황성연;이종화;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25-533
    • /
    • 2009
  • 부들화분(Cattail pollen powder)을 기능성 빵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화분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고 소맥분에 부들화분을 3, 6, 9%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 변화와 제빵의 가공 적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들화분의 일반성분은 수분 12.7-13.2%, 조단백질 15.7-17.8%, 조지방 1.3%, 유리당 7.5-7.7%, 조섬유 14.7-18.6%, 회분 3.4-4.9%, 가용성 무 질소물 49.7-55.9%이었다. 소맥분에 부들화분을 첨가한 반죽의 물리적 특성은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흡수율은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부들화분의 첨가에 따라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falling number값이 감소하였고 amylase활성이 높아졌다. 빵 반죽의 발효력은 부들화분 3%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완제품에 있어서도 가장 큰 부피를 나타내었다. 수분활성도는 부들화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대조구보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빵의 hardness, springiness는 저장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여 품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으며 부들화분을 첨가한 식빵 제품의 유통기한은 3일까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빵의 기호도 조사에서 부들화분을 3% 첨가한 식빵의 기호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대청룡탕(大靑龍湯)이 DNCB로 유발된 생쥐의 아토피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echeonglyong-tang on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Mice)

  • 김지은;이호찬;강은정;최정화;김종한;박수연;정민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76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echeonglyong-tang(DCL) on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mice Methods : The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four groups excluding the normal group were applied by 2,4-dinitrochlorobenzene(DNCB), to cause AD and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distilled water(negative control), dexamethasone(positive control), and DCL 200 or 400mg/kg once a day for 4 weeks respectively. The visual changes on skin, changes in skin tissue thicknes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were observed. IgE, Histamine, Cytokines, immune cells and the amount of gene expression of filaggrin, VEGF, $TGF-{\beta}1$, EGF were measured. Results : Dermatitis score showed a gross improvement on all DCL groups, similar to or better than positive control. All DC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basophils, while neutrophils and eosinophils decreased. In only DCL 400 mg/kg groups, white blood cells and mononuclear cells were decreased and lymphocytes were increased. In particular, neutrophils had similar or better effects than the positive control. In all DCL groups, IgE, Histamine, $IL-1{\beta}$, IL-4, IL-5, IL-6 and $TNF-{\alpha}$ were decreased and IL-2 was increased. In only DCL 400 mg/kg groups, IL-10 decreased and $IFN-{\gamma}$ increased. In particular, $IL-1{\beta}$ and $IFN-{\gamma}$ showed a similar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comparing positive control in DCL 400 mg/kg. $TGF-{\beta}$1 was increased in all DCL groups, filaggrin and VEGF were increased in only DCL 400 mg/kg groups. EGF did not make any changes. Epidermis, dermis thicknes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were also decreased in all DCL groups. Conclusions : By increasing Th1 cytokine and decreasing Th2 cytokine, DCL extracts appear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immune response imbalances, anti-inflammatory and skin regeneration and are likely to be available as a treatment for AD.

충의휴양소 전면 해수욕장의 파랑 및 해빈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Wave, Wave-Induced Current in CHUNG-UI Beach)

  • 장병상;배성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42-1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 충의휴양소 전면 해역에서의 과거 침식이력 및 현황을 세밀히 조사하고 해안선 침식원인을 찾기 위해 파랑 및 해빈류 등을 조사하여 분석 하였다. 관측결과 유의파고($H_{1/3}$)는 0.07~1.57 m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0.21 m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파고($H_{max}$)는 0.02-4.76m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0.27 m로 나타났다. 파랑변형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법선파고 및 주기를 산정하였고, 50년 빈도 설계파고는 0.82 m~3.75 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해빈류 실험 결과 이안제 및 도류제 설치 이후 충의 휴양소 해안 부근의 해빈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마루높이를 5 m까지 높였을 경우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8m로 높이면 낮아진 수심의 영향으로 강한 해빈류가 수중방파제 주변에 발생하였다. 또한, 충의휴양소의 주된 침식원인은 외해로부터 입사하는 파랑특성이 백사장 전면에 집중적으로 내습하기 때문이다. 백사장 전면으로 집중되는 파의 변형으로 백사장과 평행하게 흐르는 연안류와 횡단방향으로의 이안류를 추가적으로 유발시킴으로써 연안표사가 전면외해로 이동/유출하기 때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백사장 원상복구 및 효율적인 침식방지시설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Status of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86-99
    • /
    • 2010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줄몰개(Gnathopogon strigat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Gnathopogon strigatus (Gobioninae))

  • 김경무;전형주;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1-140
    • /
    • 2019
  • 본 연구는 난과 자치어의 형태 및 생활사가 밝혀지지 않은 G. strigat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G. strigatus의 친어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왕숙천에서 확보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흰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직경은 1.66~1.88 mm이었다. 수정란은 수온 $23{\pm}1^{\circ}C$에서 수정 54시간 후 부화가 완료되었으며, 부화자어의 전장은 4.1~4.7 mm로 무색투명하였다. 부화 4일 후 자어는 5.4~5.9 mm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알테미아를 섭식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0일 후 자어는 7.5~8.6 mm로 척삭말단이 굴곡되고 꼬리지느러미의 기조가 형성되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6일 후 자어는 8.2~9.7 mm로 척색말단의 굴곡이 완료되었고 부레가 두 개로 분할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38일 후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단계로 이행하였다.

Triton WR-1339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대한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와 Bacillus mojavensis KJS-3의 예방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and Bacillus mojavensis KJS-3 o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a)

  • 이진영;이승재;김형회;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6-35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Bacillus polyfermentricus KJS-2 (BP2)와 Bacillus mojavensis KJS-3 (Moja3) 및 이들 균주 복합물의 투여가 혈청 지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고지질혈증 유발 설치류를 대상으로 균주를 2주 동안 경구 투여한 후 혈액 내 세포수준의 변화, 대사기능 평가, 혈중 지질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백혈구내 주요세포변화를 측정한 결과 균주 투여에 따른 혈중 백혈구(WBC) 수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단위 혈액 내 혈소판(PLT) 수치는 Triton WR-1339처리시 18.4% 감소하였고 약물투여그룹 및 균주 투여그룹에서 다시 정상 그룹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05). Triton WR-1339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의해 적혈구의 기능적인 변화는 초래하지 않았다. 혈중 AST, ALT, BUN, Creatinine 수치는 혼합 균주투여 그룹에서 모두 회복하여 간기능, 신장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중 지질수준 변화는 미생물 균주 투여그룹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와 총콜레스테롤(TC) 혈청 수치가 감소했고, 혈청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증가했다. BP2가 생산하는 SMA의 HMG-CoA reductase 저해율은 atorvastatin에 비해 1,000배 낮은 농도에서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고지혈증 유발 설치류에 미생물 균주의 복합투여는 식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체중증가율은 감소시켰다. 따라서 BP2와 Moja3 균주 복합투여시 혈청 지질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염화칼슘 및 감자전분의 혼합용액을 활용한 고온가압 처리 새우(Litopenaeus vannamei)살의 물성 연화 억제 (Inhibition of the Texture Softening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ressured at High-temperature in a Retort Using a Mixed Solution of Calcium Chloride and Potato Starch)

  • 최유리;박지훈;조혜정;이정석;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817-826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an optimal soaking solution for inhibiting the texture softening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ressured at high temperature (S-P/HT) in a retort, and also to optimize concentrations of 0.5% calcium chloride (CC) and 5.0% potato starch (PS) for preparation of a mixed solution (MS) and soaking time (ST) in the M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xpressible drip (4.6%), water holding capacity (95.1%), hardness (18.4 N/cm2) and sensory texture (7.2 score), the MS was found to be the optimal soaking solution for inhibition of texture softening under S-P/HT conditions, The concentrations of CC (X1, %), PS (X2, %), and ST (X3, min)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ardness (Y1), springiness (Y2) and sensory texture (Y3)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optimal conditions of X1, X2, and X3 were 0.51%, 6.34%, and 364 min, respectively.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the experimental values of Y1, Y2 and Y3 were 18.3±0.8 N/cm2, 4.4±0.3 mm and 7.7±0.2, respectively, which did not diffr significantly from the predicted values (P>0.05). In conclusion, the optimized models of X1, X2, and X3 for the preparation of S-P/HT using CC-PS were suitably fitted.

Septotinia sp.에 의한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 발생 (First Report on the Shoot Blight Disease of Gaenari (Forsythia koreana) Caused by Septotinia sp. in Korea)

  • 우지혜;김미경;이건우;한상섭;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242
    • /
    • 2023
  • 이른 봄에 개나리 꽃잎과 잎에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서 조직이 괴저하며 마르고 증상이 가지까지 확산되었다. 감염된 가지에는 궤양이 생기며 5월 초부터 윗부분이 말라 죽는데, 가지 기부까지 말라 죽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마름 증상을 보이는 가지 조직으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로부터 같은 균이 분리되었는데,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흰색 균총을 만들었으며 23℃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하였고 크기가 다양한 균핵을 많이 만들었다. 개나리의 각 기관에 균사와 균핵 현탁액을 접종한 병원성 검정에서 병원균은 꽃을 감염하며, 잎이나 가지는 감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에 나타난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잎과 가지로 확산되며 감염 조직을 고사시켰다. 병원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ITS, LSU, Tub2, CAL 등 네 가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eptotinia속으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에 대한 국내 첫 보고인 동시에 Septotinia속이 식물병원균임을 밝히는 국내 첫 보고이다.

표고 재배 중 톱밥 배지의 물리적 성질과 목재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Wood Chemical Components of sawdust medium during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 이종신;강석구;양승민;김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22
  •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봉지 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 톱밥배지 재배 농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주요 연구 내용은 톱밥배지 제조 시 혼합하는 농산부산물 영양원 첨가제의 종류와 첨가효과, 톱밥 배지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 참나무 발효 톱밥과 생 톱밥 간의 재배 특성 비교 등이 있으며, 배지 구성 물질 중에서 표고의 주 영양원인 참나무 톱밥의 재배 기간 중 목재 화학적 성분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 배양 및 버섯 수확 기간 중 배지의 물리 및 톱밥의 목재 화학 성분 변화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종균 접종 후 배양 기간 중에 배지의 중량 감소가 발생하며, 이것은 배지 함유 수분의 증발이나 톱밥 목질부의 분해에 의한 현상이 아니고, 배지 중에 첨가한 저분자 수용성 물질인 쌀겨가 먼저 균사에 의해 분해, 이용되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배양 중에 균사 생장 배지의 함수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균사 생장과 함께 유기물 분해 과정인 이화작용이 진행되어 분해 산물인 물이 생성됨으로써 배지의 함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고버섯 수확이 반복하여 진행됨에 따라 톱밥의 목재 세포벽 주성분인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 유기물 비율이 꾸준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리그닌 감소 비율이 크게 나타나 백색부후균인 표고 균의 목재 세포벽 성분 분해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무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회분은 수확 횟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유기물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