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color

검색결과 2,291건 처리시간 0.031초

알렉시딘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화학적 상호반응 후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파라클로로아닐린의 검출 분석 (ANALYSIS OF PARA-CHLOROANILINE AFTER CHEMICAL INTERACTION BETWEEN ALEXIDINE AND SODIUM HYPOCHLORITE USING MASS SPECTROMETRY)

  • 김현식;한승현;오소람;임상민;구유;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4호
    • /
    • pp.295-301
    • /
    • 2010
  • 근관세척제인 NaOCl과 CHX를 병행 사용하는 경우 적갈색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PCA가 생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HX와 유사한 buigunide 계통의 소독제인 ALX을 NaOCl 과 혼합 반응 시 PCA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4% NaOCl 용액과 2% CHX의 혼합용액, 0.5% PCA 용액, 및 1% ALX 용액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는 5가지 농도(1%, 0.5%, 0.25%, 0.125%, 0.0625%)의 ALX 용액과 4% NaOCl의 혼합용액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molecular peak를 분석한 결과 ALX과 NaOCl의혼합물에서는 PCA (m/w = 128)로 보이는 128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용액의 색 변화에서도 ALX이 농도가 높을수록 옅은 노랑색을 띄었으나 농도가 낮아질수록 흰색으로 관찰되었으며 어떠한 침전물의 형성도 보이지 않았다.

풍촌층 상부 층준의 고품위 석회석 동정을 위한 SWIR 적용 (SWIR Applic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High-Grade Limestones from the Upper Pungchon Formation)

  • 김용휘;김규보;최선규;김창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5호
    • /
    • pp.335-347
    • /
    • 2016
  • 정선 지역 고품위 석회석 광산인 강원, 충무 및 백운 광산을 대상으로 풍촌층 상부 층준의 대표적 탄산염암을 구분하고 각 유형의 전암 분석 및 VNIR-SWIR(visible near infrared-short wavelength infrared)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현장에서 고품위 석회석의 CaO 함량, 이질 불순물 및 백색도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법을 제시하였다. 동일 시료에서 분말 시료의 분광 반사도는 절단 시편에 비하여 매우 높은 분광 반사도를 보였고, 탄산염암의 분말 시료는 백색도와 분광 반사도가 0.99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전암 분석에서 확인된 충무광산의 방해석과 백운석 분말 시료를 75:25, 50:50, 25:75 질량비로 혼합하여 각각 스펙트럼의 변화를 확인하고, 탄산염암의 CaO 함량과 흡수파장을 비교한 결과 0.98~0.99로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다. 탄산염암의 흡수파장과 화학조성은 2340 nm(55.86 wt.%)에서 2320 nm(29.71 wt.%)로 이는 $CO{_3}^{-2}$ 성분과 결합하고 있는 Ca 함량과 이를 치환하는 Mg 성분 함량의 차이에 따라 흡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현장에서 분광분석을 통한 탄산염광물의 CaO 함량을 정량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인공산성(人工酸性)비 후(後) 일반(一般)비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작물생육(作物生育)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 (Crop Performanc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ffected by Amounts of Normal Water after Simulated Acid Rain)

  • 김복진;박선도;이석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1-347
    • /
    • 1996
  • 인공산성비 다음에 처리된 일반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공산성비(pH 2.7)를 5mm, 10mm를 살포한 후 일반비를 각각 0, 5, 10mm 씩 살포하는 처리를 3일 간격으로 배추와 무는 20회, 콩은 42회 실시하여 작물의 가시적 피해증상,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과 관련된 특성, 식물체 및 토양의 무기 양분 함량 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무, 콩의 가시적 피해정도는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심한 편이었고, 일반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감소되었다. 피해증상은 잎이 담갈색, 연록색으로 변하고, 황백색의 괴사 반점이 생기면서 잎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배추, 무, 콩 모두 인공산성비 5mm보다 10mm 처리에서 높았고, 인공산성비 처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3. 배추, 무, 콩 등의 수량은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또 인공산성비 살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4. 식물체중 무기양분 함량은 일반비 처리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무와 콩의 황 함량은 인공산성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5.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배추, 무, 콩 모두 토양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질소와 황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인산, 치환성 칼슘, 마그네슘 및 칼리 함량 등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대구지역 안면골 골절의 임상역학적 연구 (Clinical Epidemiologic Study of Facial Bone Fractures in Daegu)

  • 권혁준;한준;김준형;정호윤;김종엽;윤신혁;송철홍;류민희;김용하;서만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365-370
    • /
    • 2007
  •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facial bone fractures, but limited to retrospective data of a single hospital. Etiology and severity of the facial bone fracture have been changed and treatment method and materials have been advanced. In order to reflect those changes and provide up-to-date data of the facial bone fractures in Daegu, we gathered the data and analyzed the epidemiologic stud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58 fractures in 895 patients were gathered from 5 general hospitals in Daegu during last year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ollowing parameters: age, sex, place of residence, occupation, cause of injury, time of injury, location of fracture, length of in-hospital stay, time of operation, treatment method, associated injury, compli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Most commonly involved age group was 20s(26%) and the sex ratio was 3.4:1(male predominance). Fractures were occurred more in unban and white-color workers. Among variable etiology of injury, traffic accident was the most common cause. Time of injury was heighest at 6 to 7 P.M., on Sunday, in July. Locations of fractures were following sequence: nasal, zygoma, mandible, orbit, maxilla. Mean length of in-hospital stay and time of operation after injury were 6.3 and 3.2 days, respectively. In treatment methods, operative methods were dominant than conservative management and general anesthesia were favored than local anesthesia. Associated injuries were noticed in 188 cases(21.2%) and complications were in 94 cases(8.9%) and among them, ocular problem were common. Conclus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ean age of occurrence was lowered and the etiologies showed age-specific pattern and reflected the change of lifestyle. In young age groups, sports injury, violence were more dominant and the other hand, traffic accident and fall were dominant in older groups.

곰보버섯 (Morchella spp.) 수집균주의 배양적특성 및 유전적 유연관계 (Culture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morel mushroom (Morchella spp.) isolate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0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균주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및 균주별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곰보버섯은 생장온도 25℃, pH 7.0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균사는 초기에 백색에서 생장이 진행될수록 진한 노란색을 띠다 진한 갈색으로 변화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곰보버섯만의 고유한 배양적 특징으로 균사가 종에 따라 주기별로 경화되는 특징과 특유 강한 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 형태는 관찰을 통하여 총 5종류로 분류되었고 이들 균주의 ITS 분석 결과 Morchella conica, M.sextelata, M. importuna, M. esculenta, M. carssipes 등 5종으로 동정되었다. UFPF primer를 이용하여 PCR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ITS 분석 결과와는 다르게 M. conica로 동정된 KMCC04971 균주와 M. sextelata로 동정된 KMCC04407 균주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그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균주별 균사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결과 M. importuna인 KMCC04973 균주가 100 g당 알파글루칸 16.4 g을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량 33.1 g으로 가장 높았다.

도축장 내의 한우에서 발견된 소 결핵 보고 (Bovine Tuberculosis of Korean Native Cattle in an Abattoir)

  • 장성준;도선희;기미란;홍일화;박진규;지애리;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47-1850
    • /
    • 2009
  • 소 결핵은 만성적으로 서서히 진행 되어 쇠약해 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후 검시 후에 확인 된다. 소결핵의 감염이 대부분 폐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기침, 비루 및 호흡 곤란을 유발 한다. 본 고에서는 도축장에서 나온 사체의 심장, 간, 신장, 폐, 복수, 임파선 및 내장에서 얻은 시료를 분석한 것이다. 사체의 부검 검시도중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결핵 병변이 관찰 되었다. 백색 크림 색깔의 결핵은 화농성으로 임파선, 폐 및 장간막을 포함하여 흉막강에 퍼져 있었다. 폐와 임파선의 그램 염색과 Ziehl-Neelsen's acid-fast 염색 결과 강한 조직화학적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Acid-fast에 염색된 유기체들이 현미경 검경에서 발견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의심원인체로 사료되는 Mycobacterium bovis의 조직학적 발견을 근거로 이에 의한 소결핵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우리나라 성인여성(成人女性)의 브래지어 구매실태(購買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urchashing Condition of Brassiere for Korean Women)

  • 김영숙;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3호
    • /
    • pp.27-3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the basic data useful to the effectiv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the brassiere befitting adult women's body shapes and preferences, and thereby, help them improve their apparel life. For this purpose, 563 Korean adult women aged between 20-59 were sampled to survey their practices of purchasing the brassieres and positively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s and thereupon,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by age group. Data is processed by a computer(SAS)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ANOVA, Duncan-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dult women tend to use such mass media as TV, magazines, catalogues and DM to decide for themselves which brassiere befits them most, and to check the brand-name(78.8%) or the sizes(93.4%), but more than 90% of them purchase their brassieres without trying on them. 2. The places of purchasing on which adult women rely most for their brassiere are department stores(32.6%), agencies(26.1%) and discount or pension shops(25.4%), while more than 90% of the sample women often visit bargain sale shops. The average number of brassieres possessed by our adult women is 5.7, and an adult women buys 2.6 brassiere costing 10-30 thousand wons a year on average and consumes a brassiere for the period from 6 months to 2 years. 3. It had been disclosed that the brand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Venus(56.2%), followed by Vivien (17.6%), Wacoal(6.8%), Amie(2.5%) and Body Guard(2.3%).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popularity of brands are fitting condition(40.3%) and design(23.8%), which suggests that consumers appreciat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ffecting our women's choice of brassiere is size(64.4%), followed by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brassiere style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a wire-type 3/4 cup brassiere made of thin material with sewing lines, while the most favorite color is white. In all, it has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adult women's practices of buying their brassieres differ by age group, which may well suggest that brassiere production need to take such age-wise practices into consideration in setting up their brassiere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 PDF

감자즙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otato Juice-Added Functional White Bread)

  • 한경필;이갑랑;한재숙;소궤신행;김동석;김정애;배종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24-929
    • /
    • 2004
  • 감자의 기능성을 이용한 식빵의 부재료로서 새로운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감자즙을 물양에 대하여 20, 50% 및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감자식빵의 비용적 및 굽기손실율, 일반성분, 색도, 텍스쳐, 관능검사에 의한 기호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식빵의 무게는 반죽물 양에 대한 감자즙이 50, 100% 첨가구가 증가하였으며, 부피와 비용적은 감자즙 20%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굽기손실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감자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수분 함량은 대조구보다 감자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많아 감자식빵이 더 촉촉해짐을 알 수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감자즙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지고, 조지방의 함량은 감자즙의 양이 많아질수록 낮았다. 감자즙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이 감소하여 식빵의 색이 다소 어두워졌으며(p<0.001), 적색도 a값은 감자즙이 증가할수록 대조구보다 진한 적색을 띠었다(P<0.001). 빵의 텍스쳐 특성에서 탄력성, 깨짐성 및 응집성은 대조구보다 감자즙 첨가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감자즙을 첨가한 식빵 중에 함유된 glycoalkaloid는 물에 대한 감자즙의 50%와 100% 첨가군의 함량이 2.85, 5.79 mg%이었다. 색(p<0.001), 향미, 맛(p<0.05)에서는 감자즙이 물 양에 대해 20%일 때가 기호도가 높았으며, 외관(p<0.01) 질감(p<0.01)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자두(Dried Plums)를 첨가한 White sausage의 물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 이관호;서상원;차재웅;홍종혁;김상현;김은주;주웅광;최도영;최강덕;최일신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247-252
    • /
    • 2005
  • 본 연구는 파슬리 등의 야채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화이트소시지의 물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자두 분말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물성의 변화로서 pH는 자두의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 하였는데 3% 첨 가시 전 저장 기간 중 가장 낮게 ($pH\;5.11\;{\sim}\;4.44$) 나타났다. 육색(meat color)은 자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value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light ness)를 나타내는 L-value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전단력(Shear stre ngth) 측정에서는 저장 기간 중 자두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 하여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째에서 가장 높았다. 자두 분말 첨가구 에서의 다소 높은 전단력의 결과는 보수력 (WHC) 측정 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자두 분말의 증가량에 따라 3% 첨가구가 대조구 (0%)보다 낮게 나타나 약한 보수성을 보여 주었다. 저장성에 미치는 결과로서 총세균수의 측정결과 저장 3일이 경과한 구간에서 Sorbic acid (0.07%)의 첨가구와 자두 분말(3%) 첨가구 에서 비슷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동일한 수준의 항균 효과는 저장 9일째에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VBN 측정에는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 및 8일, 9일째 측정 결과는 3% 자두분말 첨가구와 0.07% Sorbic acid 첨가구 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동일한 저장효과를 보여 주었다. 관능검사 실시 결과 총체적인 풍미에 있어서는 자두 분말 첨가구 1.5%가 가장 우수 했으며 다음으로는 3%, Sorbic acid 첨가구 및 공시료 순으로 나타났다.간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m을 spiking한 후 SPE상에서 SCX(Strong cation exchange column)을 통한 clean-up과정을 거친 후의 STP의 limit of quantification(LOQ)는 약 0.44ppm이었으며, 이에 대한 회수율은 89.7${\pm}$2.3%(n=6)를 나타냈다. 실제 CODEX에서 권장한 우유의 MRL이 0.6ppm인 점을 감안하면 CODEX권고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시험법은 지금까지 국내적으로 STP에 대한 시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와 아울러 간편한 parallux와 병용해 STP에 대한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유도체화 장치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해 잔류항생물질 STP에 대한 분석시험법을 개발하였다.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TEX>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 ${\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 ${\rig

  • PDF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포도 무름병 (Rhizopus Soft Rot on Grape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심창기;채윤석;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7-60
    • /
    • 2007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 동안 경남농업기술원 과수포장과 진주시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유통 판매중인 포도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나 열과된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한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회색을 나타내며 크기는 $850{\sim}1,800{\mu}m$이며 폭은 $12{\sim}23{\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80{\sim}190{\mu}m$이었다. 주축의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70{\sim}9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8{\sim}22{\times}6{\sim}10{\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 (Ehrenberg ex. Fr.) Lind에 의한 포도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