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yield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9초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 Park, Chul-Soo;Baik, Byung-Kee;Kang, Moon-Seok;Park, Jong-Chul;Park, Jae-Gun;Yu, Chang-Yeon;Choung, Myoung-Gun;Lim, Jung-D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3호
    • /
    • pp.243-252
    • /
    • 2006
  • White salted noodles and pan bread were prepared from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HMW-G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for end-use produc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US wheats with various classes and commercial wheat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higher SDS sedimentation volume than US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Compared to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water absorption percent of Korean wheat flours using a mixograph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but similar to commercial wheat flours. Mixograph mixing time was similar to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noodle flours. Optimum water absorption percent of noodle dough from Korean wheat flours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Noodle sheets from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 1Dy12 subunits showed lower L values, higher a values and similar b values compared to commercial noodle flours. Hardness of cooked noodles from Korean wheat flours 1Dx2.2+1Dy12 subunit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otein content, NIRS hardness, mixograph water absorption and gluten yield of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lower loaf volume and harder crumb firmness than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bread wheat flours in spite of similar protein quantity and quality to hard wheat flours.

소맥육성계통의 품질특성과 변이에 관하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Wheat Breeding Lines)

  • Chang, H.G.;Ryu, I.S.;Cho, C.H.;Bae, S.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5
    • /
    • 1979
  • 소맥의 품질특성규명 및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연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분율은 품종에 따라 49~72%으로서 평균60.3%였으며 한국 재래종의 전체 평균은 62.6%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S.son, Caproch 그리고 CI 12703이 교배된 조합이 제분율이 높았다. 단백질 함량의 평균은 11.4%으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7-17%의 범위에 있고 한국 재래종의 평균 9.34%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수원 210호는 전체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침전가는 20cc 이하에서 70cc의 범위고 평균 43.6cc 였으며 한국 재래종은 낮았으나 수인210호는 높은 침전가를 보였다. Bb#1 \times Sturdy, 중국81 \times Atlas66 등 6개의 교배조합은 15.0% 이상의 단백질함량과 60.0cc 이상의 침전가를 보였으며 일반적으고 Bb#1 이 교배된 조합이 단백질함량과 침전가가 다른 조합보다 높았다. Pelshenke value의 분포는 20분 이하에서 180분 이상으로 평균 89.9분이었고 한국 재래종의 평균은 31.7분으로 극히 낮았다. 비침전가에 의하면 8.1%가 경질소맥인 반면 54.4%가 연질소맥, 37.5%가 중간질로 분류되었다. 329 공시계통(또는 품종)중 제분율, 단백질함량 및 침전가가 높은 교배조합은 Strampelli \times 69D-3607/Jogwang, S.son \times Caproch, Suweon #185 \times Toropi 그리고 Suweon #185 \times Ciano 였으며 Pribog, CT 14496 및 Sturdy \times Rcout/St rampelli \times Bb-Cno는 제분율은 높으나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가 각각 9%, 30cc 이하로 낮았다.

  • PDF

한국산 Triticale 의 식품 이용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Quality and Food-Making Performance of Some Triticale Lines Grown in Korea)

  • 신현국;배성호;박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1980
  • 한국산 triticale과 연질 밀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 제분 특성 및 제품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riticale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조성도 밀 보다 양호하였으나 제한 아미노산은 역시 lysine이었다. 2. Triticale 의 식품 이용상의 문제점은 밀가루 수율이 떨어진다는 점과 $\alpha-amylase$ 역가가 높다는 점이었다. 3. 밀가루 수율이 밀보다 약 10% 정도 낮았으며 제빵으로 이용하는 경우 빵의 용적이 밀 보다 떨어졌다. 4. 그러나 triticale도 국수 제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며 $M_{1}A$ 품종의 경우 특히 국수 적성이 양호하였다.

  • PDF

Genetic Variation and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graminearum Isolated from Wheat in Assiut-Egypt

  • Mahmoud, Amer F.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45-156
    • /
    • 2016
  • Fusarium graminearum Schwabe causes Fusarium head blight (FHB), a devastating disease that leads to extensive yield and quality loss of wheat and other cereal crops. Twelve isolates of F. graminearum were collected from naturally infected spikes of wheat from Assiut Egypt. These isolates were compared using SRAP. The results indicated distinct genetic groups exist within F. graminearum, and demonstrated that these groups have different biological properties,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ir pathogenicity on wheat. There were biolog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group (B) isolates being more aggressive towards wheat than groups (A) and (C). Furthermore, Trichoderma harzianum (Rifai) and Bacillus subtilis (Ehrenberg) which isolated from wheat kernels were screened fo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 graminearum. They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of F. graminearum colonies in culture. In order to gain insight into biological control effect in situ, highly antagonistic isolates of T. harzianum and B. subtili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in vitro effectiveness, for greenhouse test. It was revealed that T. harzianum and B. subtilis significantly reduced FHB severity.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d that T. harzianum and B. subtilis are very effective biocontrol agents that offer potential benefit in FHB and should be harnessed for further biocontrol applications. The accurate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and studies of population structur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genetic traits and disease control programs in wheat. This is the first known report of the distribution and genetic variation of F. graminearum on wheat spikes in Assiut Egypt.

Effects of Ozone and Soil Salinity, Singly and in Combination, on Growth, Yield and Leaf Gas Exchange Rates of Two Bangladeshi Wheat Cultivars

  • Kamal, Mohammed Zia Uddin;Yamaguchi, Masahiro;Azuchi, Fumika;Kinose, Yoshiyuki;Wada, Yoshiharu;Funada, Ryo;Izuta, Takeshi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2호
    • /
    • pp.173-186
    • /
    • 2015
  • In Bangladesh, increases in the tropospheric ozone ($O_3$) concentration and in soil salinization may lead to crop damage. To clarify the effects of $O_3$ and/or soil salinity on Bangladeshi wheat cultivars, BAW1059 (salt-tolerant) and Shatabdi (salt-sensitive) were exposed to 70-day treatments with $O_3$ (charcoal-filtered air (CF), $1.0{\times}O_3$, and $1.5{\times}O_3$) and different levels of soil salinity (0, 4, and $8dS\;m^{-1}$). In both cultivars, the whole-plant dry mass and grain yield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exposure to $O_3$. Increased soil salinity caused significant reductions in whole-plant growth and yield in Shatabdi, but the reductions were negligible in BAW1059.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O_3$ and salinity were detected for growth, yield, and leaf gas exchange parameters in both cultivars. We concluded that the effects of $O_3$ are not ameliorated by soil salinity in two Bangladeshi wheat cultivars, regardless of their salinity tolerance.

밑거름 종류에 따른 밀의 농업적 형질 및 품질 차이 (Difference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with Fertilizer Types in Wheat Cultivation)

  • 김학신;김영진;김경훈;박형호;강천식;김경호;현종내;김기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5-19
    • /
    • 2013
  • 밀 친환경 재배를 위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밀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유기질비료와 미생물퇴비의 적정 사용량을 설정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 생육특성 중 간장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보리복합비료 처리에서는 컸으나 미생물퇴비와 유기질비료 처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장은 보리복합비료 > 미생물퇴비 > 유기질비료 순으로 길었으나 시비량 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밀 수량구성요소 중 수당입수는 비료 종류나 시비량 간에 차이가 없었고, $m^2$당 경수는 비료 종류 간에는 복합비료 > 유기질비료 > 미생물퇴비 순으로 많았으며, 시비량은 200% 시용에서는 많아 차이를 보였으며, 천립중은 금강밀은 41.1~42.7 g, 조경밀은 41.0~42.9 g 으로 처리 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생육 및 수량은 좋았으며, 비종간에는 유기질비료가 미생물 퇴비보다 수량성은 높으나 보리복합비료(관행 4.12 Ton $ha^{-1}$) 대비 2~6%가 감수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친환경 자재의 적정 사용량은 표준시비 수준인 유기질 비료은 800 kg $ha^{-1}$, 미생물퇴비는 2,000 kg $ha^{-1}$ 시용으로 95%이상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5. 밀가루의 품질은 밑거름 50% 감비구에서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함량과 침전가는 관행복합비료 > 미생물퇴비 > 유기질비료 순이었으나 회분함량은 0.40~0.38%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영양원으로서 맥주박 효과 (Effect of brewers dried grain as a nutrient supplement in plastic vinyl bag cultivation of maitake (Grifola frondosa S. F. Gray))

  • 이재홍;이남길;문윤기;정태성;권순배;박영학;김인종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4-38
    • /
    • 2016
  • 잎새버섯 봉지재배에 적합한 영양원을 구명하기 위하여 밀기울, 건비지 및 맥주박을 다양하게 혼합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확소요일수는 혼합배지 Mix II가 61.3일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에서는 혼합배지 Mix IV가 142.6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기울과 맥주박의 적정 혼합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 결과, 맥주박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수확소요일수가 줄어들었으며, 수량은 맥주박 15%와 밀기울 5% 혼합율 처리에서 140.8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농업적 특성과 품질분석 (Effects of Various Seeding Type and Ratios of Wheat Varieties on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Plants)

  • 이나리;김경훈;김경민;이상학;권영업;현종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98-103
    • /
    • 2016
  • 본 연구는 남부지역 이모작 재배가 가능하고 수량이 많으면서 재해에도 강한 밀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 개발을 통한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안밀, 앉은뱅이밀과 조경밀을 이용하여 밀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밀 혼파 재배시 수안 : 앉은뱅이 = 80 : 20 혼파구와 수안 : 조경 = 90 : 10 혼파구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수안 : 앉은뱅이 = 80 : 20 혼파구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수안 : 앉은뱅이 = 80 : 20 혼파구와 수안 : 조경 = 90 : 10 혼파구가 수안밀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수안밀 품종을 단일 파종하는 것보다 앉은뱅이밀 10~20% 또는 조경밀 10%를 품종간 혼파하여 파종하는 것이 생산성 증대뿐만 아니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Chang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서재환;김경훈;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6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보리, 총체밀, 트리티케일 및 귀리는 조단백질과 NDF 및 ADF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호밀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ADF와 NDF 함량은 증가하였다. TDN 함량과 RFV는 청보리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는 출수 후 30일, 호밀은 출수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 제조한 사일리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맥종별 사료가치로서 평균 TDN 함량은 보리가 6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순이었다.

The peduncle-specific expression during floral transition by high-throughput transcriptome analysis in wheat

  • Lee, Cheol Won;Seo, Yong We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87-87
    • /
    • 2017
  • Flowering time of either early or late is one of the crucial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crop productivity. Therefore, elucidation of regulatory mechanisms of flowering time should contribute to breeding for yield enhancement. However, comprehensive explanation on molecular mechanism of flowering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hexaploidy common wheat (Triticum asetivum L.). The mechanism of flowering in wheat has been studied mostly using flag leaf or floral meristem. The exposed peduncle, which is a shoot part between bottom of the spike and flag leaf, could be an important tissue that is responsible for flowering through various molecules expressing. To clarify for transcriptomic dynamics in the wheat peduncle that was uncovered by leaf sheath of flag leaf, RNA sequencing and transcriptomic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is, we also analyzed other transcriptomic results deposited in the public DB to identify genes specially expressed in peduncle tissue at transition from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he obtained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role of peduncle for flowing regulation in wheat aimming for elucidation of the regulatory mechanism of wheat flowe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