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construc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안창혁;권재형;주진철;송호면;조경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1-429
    • /
    • 2012
  • 본 연구는 화포천 수질 현황을 제시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연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류에서는 step-pool 형태의 14개의 보로 인해 하천수가 저류되었고 주거단지 및 농경지를 지나면서 생활하수와 관개용수 등의 오염물 유입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체구역의 하상에서 사상성 남조류인 Oscillatoria 군락이 번무하였으며 하천의 중 하류에서는 고모천(T3), 용덕천(T8)과 같이 N, P가 높은 고농도 지류가 유입되는 등 본류 수질을 악화시켰다. 화포천은 하류로 갈수록 DO가 감소하고 SS가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긴 체류시간과 SS, COD, $NH_4{^+}$가 화포천에서 중요한 수질인자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습지에서 하상 유기물 농도가 높고 부착조류가 풍부한 점도 본류 수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포천 수질은 공간적으로 보가 있는 구간에서 농도가 상승하였고 하류의 습지에서는 일정하거나 소폭 감소하였다.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영양염 농도가 높았으나 여름에는 유기물 농도가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은 6월에 보와 습지 등 정체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점을 제외하면 전 구간에서 $40{\mu}g\;chl-{\alpha}/L$ 이하로 나타났다.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처리습지 및 도시 상류하천 생태환경복원 - 공주시 제민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Restoration of Treatment Wetland and Urban Upper Stream for Reusing Sewage Treatment Water - In the case of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ystem at Upper Part of Jaemin Stream in Gongju-si, Korea -)

  • 변찬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77
    • /
    • 2014
  • The ecosystem of Jaemin stream, flowing into the center of Gongju-si, had been damaged by low water quality and lack of water quantity of the steam. However, after applying the SSB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ystem to the flood plain and the upstream of Jaemin stream, the efficiency of ecological water purific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are as follows. Through the constant maintenance and monitoring from year 2009 to year 2013 after restorative design and construction the average influent concentration of BOD5 was 4.2 mg/L, and the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was 1.8 mg/L, reaching ecological water purification rate of 57%. As for the T-N, the average influent concentration was 9.983 mg/L, and the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was 6.303 mg/L, showing the rate of 37%. For the T-P, the average influent concentration was 0.198 mg/L, and the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was 0.098 mg/L, being the rate of 51%. The vegetation of Jaemin stream monitored for 2 years after the restoration was composed of 51 species in 28 families which show high ratio of planted native species. As for the animals in the site, 5 species in 3 families of reptiles and amphibians, 34 species of 23 families of birds, and 3 species in 2 families of mammals were monitored, indicating that the bio-diversity of the site has improved, as well.

소규모 공공시설 개발 사업지의 생태적 복원 연구 - 고양시 일산정수장 조성예정지를 사례로 -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a Small Scale Public Construction Area - A Case Study on Ilsan Water Treatment Plant, Goyang-Si -)

  • 이수동;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63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jects such as resource recovery facility, filtration, etc. The environmental ecology evaluation i.e. generally based on their actual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wildlife, water system survey were measured the primary plans for reflect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 level of si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erve the land in fallow type of wetland, good conservative condition of deciduous forest, wetlanded watercourse for amphibia and reptiles crossing. However, the plan of filtration plant was destroyed wetland(sound ecosystem), natural forest, asian toad spawn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t schemed to build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plan to healthy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as compensation plan. The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are not only created a various water levels like depth of water is $0{\sim}30cm,\;30{\sim}60cm$, more than 1.5m but also it leads to asian toad spawning and wildlife inhabitant. Moreover, the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be applied to use the Quercus acutissima forest resources(114 upper trees, 71 canopy trees, 401 shrubs) and surface soil$(5,072m^3)$ in ecology creation sets.

축제식(築堤式) 폐양식장을 활용한 고창 갯벌 복원계획 수립 (A Establishment of Mud Flat Restoration Plan in Gochang Using Abandoned Embanked Farms)

  • 최희선;김효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4-137
    • /
    • 2010
  •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restoring abandoned embanked farms, which are recently increasing, to mud flat by putting in least amount of energy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For the dire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proposal for the restoration of mud flat using embanked farms, a case of Maipo Wetland in Hongkong was analyzed, and a proposal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mud flat in Gochang. The restoration of mud flat in Gochang is intended to create various wetland ecological spaces as well 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education, recreation, and tourism. Effort was made to development an environment closest to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hape and topographical condition of existing abandoned farms. For construction of the habitat, a target species was chosen and the plan for selection, planting, and management of species of trees suitable for the target species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will be controlled by water gates to conform to the resting, spawning, breeding, and migration period consider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waders, the target species. The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mud flat in Korea is in incipient stage and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abandoned embanked farms to mud flat. For the success of mud flat restor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evelopment of acclimating design infrastructure, technology improvement for mud flat restoration, and basis of partnership for the maintenance should be prepared in a systematical way.

가축분뇨처리시설과 연계한 상향류식 인공습지의 자연형 후속처리공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co-friendly follow-up process connected with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plant using the upflow constructed wetland)

  • 최한나;조은하;강호근;박주현;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9-370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n up-flow wetland providing either an eco-friendly follow-up process of medium-sized public treatment facility for livestock manure or a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ler near livestock farms. The four bench-scale up-flow wetlands were operated with four different bed media set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wetland effluent for CODCr, TN, TP, SS were 35.2 %, 29.5 %, 31.2 % and 52.2 % for set 1(Blank, without reed, with bio-ceramic), 40.6 %, 43.4 %, 42.2 % and 55.4 % for set 2(with bio-reed & without bio-ceramic), 45.2 %, 48.7 %, 46.6 % and 66.3 % for set 3(with bio-reed & bio-ceramic), 32.9 %, 27.3 %, 29.3 % and 54.1 % for Set 4(with reed & bio ceramic), respectively. The set 3 condition having a mixture of bio-reed and bio-ceramic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the bench-scale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a mixture of bio-reed and bio-ceramic as suitable bed media in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etlands near livestock farms. Soils including the bed media were monitored during the evaluation for trace elements. Soil analysis results were satisfied with the Korean Soil Contamination Standard. This study showed that the up-flow constructed wetland was feasible to treat the effluent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식생피도가 인공습지의 질소 및 인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 (The Effect of Plant Coverage on the Constructed Wetlands Performance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acrophyte Communities)

  • 함종화;김형철;구원석;신현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393-40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제어를 목적으로 조성한 인공습지의 현장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식생피도가 습지의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공습지에 수생식물을 인공식재하지 않고 자연적인 활착을 유도한 결과 3번의 생장기를 거치면서 평균 약 90% 이상의 높은 식생피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원활한 식생활착을 위해서는 물 관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N, T-P의 제거율은 연 평균 약 45 ${\sim}$ 5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T-P는 생장기와 동절기 모두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낸 반면에, T-N의 제거율은 수온의 영향으로 동절기 동안 생장기보다 낮은 약 33%를 나타내었다. 약 15%의 범위 내에서 식생피도의 차이는 T-P의 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동절기 T-N의 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쳐 식생피도가 낮은 습지가 처리효율 또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질산성질소의 탈질화에 필수적인 유기탄소가 식생피도가 낮은 습지에서 적게 공급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영양물질 제거를 위한 인공습지를 조성할 경우 습지 전체를 모두 식생으로 피복되도록 하는 것 보다는 약 10 ${\sim}$ 15% 범위 내에서 일부 구역을 개방수역 (open water)으로 처리하여 어류 및 물새들을 위한 서식공간을 제공하여도 영양물질 제거효율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규모로 인공습지를 조성할 경우에는 영양물질 제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식물체를 제거하는 관리방안은 수행하지 않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습지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ihwa Constructed Wetland)

  • 최돈혁;강호;최광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3개의 방안 (물 흐름 개선방안, 혐기성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급장치 설치방안, 탁도유발 물고기 제어방안)에 대한 효율평가 및 습지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하류구역(가로 122m${\times}$세로 103m)에 설치한 물 흐름 유도시설에 의한 BOD, SS, TN, TP의 평균 제거효율은 12.8~7.4%로 나타났으며, BOD가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이는 습지내 물흐름이 수질정화기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시화호 인공습지와 같이 규모가 큰 습지의 경우 유출부의 일부 구간에 물 흐름 개선만으로도 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공급장치 가동 후 DO농도 증가율이 산기식폭기장치에서 15.5%과 표면폭기장치에서 37.2%를 보였고, 습지내 DO 농도가 낮은 구역에 한하여 새벽시간에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물고기를 포획을 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탁도가 6.2 NTU와 10.6 NTU로 물고기 포획에 의해 41.5%의 탁도 제거효율을 보였다. 습지내 어류현황과 하류부의 탁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어류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인공습지에 의한 축산폐수의 처리시 계절적 영향 (Seasonal Effects of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by a Constructed Wetland)

  • 박재홍;권수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39
    • /
    • 2005
  • 인공습지는 하수처리, 하수관리, 홍수제어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system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인공습지는 자연친화적인 공법으로 건설, 운전 및 유지, 비용의 저렴등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어 많은 나라에서 적용가능한 공법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질오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축산폐수를 인공습지로 처리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CODcr, TN, TP, SS, 색도의 제거율이 각각 97.9%, 97.8%, 97.2%, 99.1%, 84.9%로 나타났다. 특히 SS의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습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공습지에 유입되어 토양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토양에서 안정화 되는 데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ANDSAT 위성사진을 활용한 한강하구 산남습지 인근 하안선 변화 연구 (Study of Riverline Change around Sannam Wetland in the Hangang River Estuaty using LANDSAT Image Processing)

  • 윤석준;이삼희;장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2
    • /
    • 2021
  • 하구둑 없이 자연적으로 열린 한강하구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의 흐름과 서해의 조류가 만나는 곳이기 때문에 하도수리적인 '작용(impact)-응답(response)' 구조가 복잡하다. 민간인 통제 구간에서도 군부대 통제 하에 극히 제한된 장소와 시간에만 접근 조사가 가능하다. 2020년에는 8월 홍수에 유실된 지뢰 발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관계기관 대면 접촉 제약 등의 이유로 현장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토대로 비대면, 비접촉 하안선 변화 조사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의 대응 연구 수단으로써 공간 정보 분석 프로그램인 QGIS를 기반으로 미국 USGS가 운영하는 LANDSAT의 위성사진을 수집하여 영상처리 후 복잡한 하천지형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강하구 산남습지 인근으로 설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장기적 관점에서는 산남습지를 기준으로 하류에서는 침식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류에서는 미미한 퇴적 현상이 나타났다. 위성사진 오차를 고려한다면 하천관리 측면에서는 과거 하천측량 자료를 바탕으로 비교 검토해볼 때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면서 이 방법의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산남습지 인근 지역은 포괄적인 시간 관점에서 볼 때 조석 영향이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흐름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류에 의한 응답(사주의 거동 양상) 구조의 패턴 변화가 한강하구 인근의 하천시설물의 피해 유발에 더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를 감안한 적절한 하천관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MZ 산림습지의 식생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파주 경의선 지역을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Features of the DMZ Forested Wetlands Fauna -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in Paju -)

  • 박미영;조동길;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8-38
    • /
    • 2005
  • The De-militarized Zone(DMZ) on the Korean Peninsula is ecologically conserved and naturally developed as access to the area has been controlled in the past five decades. As a result, biodiversity and wetlands are developed very well, but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surveyed due to land mines and security reasons.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area in Paju DMZ,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atus of forested wetlands in detail through an on-site survey and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forested wetlands in DMZ. The forested wetlands of Paju Kyongui Line area are inhabited by naturally grown Salix koreensis Andress. and Acer ginnale Maxim. and affected by Sacheon Basin region extensively. As the topography of this region is created of inundated area and gentle ground, it is easily affected by hydrology and irrigation and has ideal conditions as forested wetlands. In addition, forest wetlands in this area were used as agricultural land in the past but now transformed into palustrine forested wetlands after being deserted for long time. However, as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ways increasingly blocks water paths, the coverage of Robinia pseudoacacia L. and Amorpha fruticosa L. is on the rise, which indicates that forestedwetlands are gradually becoming inland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