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milled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옥수수겨가 티아민, 나이아신, 판토텐산의 생체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n Bran as a Fiber Source on the Utilization of Thiamin Niacin and Pantothenic Acid in Humans)

  • Yu, Bog-Hieu;Kies, Constanc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50-460
    • /
    • 1992
  • 본연구는 사람을 대상으로하여 8주간 종류가 서로 다른 옥수수겨를 식이섬유질의 급원으로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먹였을 때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로텐산의 체네 이용율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식이의 종류의 옥수수겨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식이(Basal diet : B)와 이에 wet-milled fine(WF)/coarse(WC) corn bran이나 dry-milled fine(DF)/coarse(DC) corn bran을 첨가한 식이들로서 무작위법에 의하여 첫 4주간동안 일부의 피실험자는 B, WF, WC 식이를 급여 받았으며, 나머지 피실험자는 B, DF, DC를 급여받았다. 따라서, 각각의 피실험자들은 8주간의 실험기간동안 모든 실험식이를 섭취하였다. 비타민의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24시간 뇨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주별로 나누어 이들 비타민의 뇨중함량을 측정하였고 변을 채집, 건조하여 neutral detergent fiber(NDF)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매일 뇨증의 creatinine치를 측정하여 뇨의 완전한 채집을 도모하였으며 불완전한 채집으로 인한 실험오차를 줄여주기 위하여 비타민의 이용을 계산시 각 주별의 평균 creatinine치에 대하여 비타민 이용율을 보정하여 주었다. 실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겨를 첨가한 식이를 먹는 경우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토텐산의 생체 이용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겨를 wet-milling 방법으로 처리한 식이의 경우 저하의 효과가 더운 현저한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옥수수겨의 처리방법을 막론하고 옥수수겨의 입자가 거친것이 비타민 이용율의 저하효과가 더욱 큰것으로 나타났다. 변건량과 변량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특히 fecal trasit time이 wet-milled corn bran 식이군과 입자가 거친 옥수수군에서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수수겨가 이들 세가지 B 비타민의 이용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식이 섬유질의 종류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 이명희;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86-890
    • /
    • 2006
  • 제분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쌀빵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습식제분 쌀가루의 제조 시 쌀의 수침온도를 $25^{\circ}C$$55^{\circ}C$로 하였으며 반습식 처리로서 쌀을 살수처리한 후 제분하였다. 쌀가루에 밀가루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분에 활성 글루텐을 첨가한 후 mixograph로 반죽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습식제분한 쌀가루에서 반죽시간과 안정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이 건식제분과 반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쌀빵에 비해 빵의 체적이 증가했으며, 특히 수침온도에 있어 $55^{\circ}C$의 가온 수침처리가 쌀전분에 변화를 초래하여 상온에서 수침한 쌀가루에 비해 쌀빵의 체적을 향상시켰다. 쌀빵의 저장중 경도의 변화에서 습식제분 쌀가루로 제조한 빵이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여주었다.

건식 및 습식제분 흑미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Effect of Dry and Wet Milling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Rice Flours)

  • 전현일;양은진;김영수;송근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00-907
    • /
    • 2008
  • 중간소재용 흑미 쌀가루 제조를 위한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분조건별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흑미의 수분흡수속도상수($k_o$)는 $25^{\circ}C$에서 $0.013\;min^{-1/2}$, $35^{\circ}C$에서 $0.016\;min^{-1/2}$, $45^{\circ}C$에서 $0.018\;min^{-1/2}$로 수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고, anthocyanin 용출정도도 수침온도 상승과 수침시간 증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성분과 anthocyanin의 함량은 건식쌀가루에 비해 습식쌀가루가 낮게 나타났으며 제분횟수의 증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건식쌀가루의 평균 입도는 $379{\sim}288\;{\mu}m$로 습식쌀가루의 $336{\sim}253\;{\mu}m$보다 컸으며 제분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60 mesh 이상의 쌀가루 분포비율이 증가하고 쌀가루의 입도가 고르게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다. 쌀가루 요오드 반응의 ${\lambda}max$$521{\sim}522\;nm$으로 제분조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아밀로스 함량을 제외한 전분손상도, 수분분용 해지수(WSI) 및 수분흡수지수(WAI)는 건식쌀가루보다 습식쌀가루에서 높았다. RVA 호화양상에서 습식쌀가루의 호화온도가 $46.1{\sim}46.4^{\circ}C$에 비하여 건식쌀가루는 $62.5{\sim}69.4^{\circ}C$로 훨씬 높았으며, 습식제분의 경우 제분횟수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건식제분에서는 5회 처리까지 호화 온도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건식 및 습식 쌀가루 모두 제분횟수가 증가하면서 trough, 최종점도 및 consistency는 감소하였고, setback과 breakdown은 건식쌀가루에서는 증가한 반면 습식쌀가루에서는 감소되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품종과 제분 방법 및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based on variety, milling method and fermentation time)

  • 박지원;박기훈;최선영;김민영;이윤정;이춘기;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7-1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가공용 설갱 품종의 건식분쇄 쌀가루의 증편에 대한 가공적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밥쌀용 삼광 품종의 습식 및 건식분쇄 쌀가루를 대조구로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색도 중 L값은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6시간에서 68.59-69.85로 높았다. 수분함량은 2시간 발효에서 42.79-43.70%로 낮았고 그 밖의 시간에서는 유사하였다. pH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팽창률은 6시간 발효 시 삼광습식분쇄가 160.66%, 삼광 건식분쇄가 149.73%, 설갱 건식분쇄가 159.52%로 높았다. 비체적은 팽창률과 유사하게 각각 1.12, 0.96, 1.12 mL/g이었다. 증편의 경도는 2시간 발효에서 1324.27-1871.98 g으로 높았으며, 6시간 발효에서 475.57-550.40 g으로 낮았다. 품종별로는 설갱 건식분쇄가 475.57 g으로 삼광에 비해 낮았다. 기공수 관찰 결과, 6시간 발효에서 105-170개로 많은 기공 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식 분쇄한 가공용 설갱 품종으로 증편을 제조하였을 때 습식 분쇄한 쌀가루로 제조한 증편과 품질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증편제조에 있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드럼건조에 의한 알파미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Gelatinized by Drum-Drying)

  • 한억;김정상;이현유;김영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2-398
    • /
    • 1988
  • 드럼건조시 습식제분한 것은 슬러리 수분함량 60%이상, 건식제분한 것은 슬러리 수분함량 80%이상이 적정 하였으며 이 때의 호화도는 92% 이상이었다. 아밀로그램이나 리올로지 특성은 건식제분보다는 습식제분하여 제조된 알파미분이 우수하였으며 슬러리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WAI값은 증가하고 WSI값은 강소하였다. 색도에서는 건식제분보다는 습식 제분 처리구에서 백색도가 높았으며 슬러리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알파미분의 백색도가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미세구조 관찰에서는 슬러리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망상구조를 많이 형성하였다. 또한 반죽기능성은 건식 제분보다 습식제분 처리구에서 MTI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벼의 수분함량이 쌀가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isture Content of Paddy on Properties of Rice Flour)

  • 김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90-696
    • /
    • 1995
  • 수분함량(12.6, 18.4, 24.4%)이 다른 벼를 각각 도정하여 pin mill로 분쇄한 건식쌀가루와 물에 침지후 roll mill로 분쇄한 습식쌀가루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벼수분 24%에서 건식제조된 쌀가루에서는 지방과 회분함량이 다른 건식쌀가루에 비하여 낮았다. 벼의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건식쌀가루는 미세하게 분쇄되었고 전분입자가 떨어져나간 흔적이 쉽게 관찰되었다. 또한 백색도와 수분흡수지수가 높았고, 수분용해도지수는 낮았다. 벼수분이 많을수록 amylogram에서의 setback값은 낮았다. 건식제분된 쌀가루들은 gel consistency와 gel strength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습식제분된 쌀가루에서보다 덜 consistent하였고, gel strength는 낮았다. 호화후 $7{\sim}14$일 저장하였을 때 노화gel을 재호화시키는 데 필요한 enthalphy는 벼수분이 많은 건식쌀가루일수록 높았고, 습식쌀가루의 경우는 건식쌀가루보다 낮았다.

  • PDF

산화ㆍ환원처리된 $UO_2$ 분말의 분쇄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lled $UO_2$ Powder Prepared by Oxidation and Reduction Process)

  • 이재원;이정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4호
    • /
    • pp.3-10
    • /
    • 2002
  • 핵연료 원료인 $UO_2$ 분말을 사용해 원자로에서 연소된 사용후 핵연료 소결체를 모의 제조하여 1회 산화ㆍ환원처리하여 분말로 만든 후, 건ㆍ습식 attrition 분쇄에 따른 분말의 특성 및 소결성을 조사하였다. 분쇄에 의한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건식분쇄의 경우에는 1 $mu extrm{m}$ 이하인 미분말이 쉽게 생성되었으나, 습식분쇄에서는 그 이상의 분말만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분쇄분말의 비표면적은 건식분쇄한 경우가 습식분쇄한 경우 보다 높았다. 분말의 미세구조는 건식분쇄에 의해서는 느슨한 응집체가 형성되었으며, 습식분쇄 분말은 압분성이 낮은 불규칙적이고 각진 입자형태를 나타내었다. 건식분쇄에 의해서 압분체 밀도는 크게 증가하며 소결체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이론밀도의 95%이상이 되고 평균 결정립 크기가 8 $\mu\textrm{m}$이상인 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다.

The Origin of the Residual Carbon in LiFePO4 Synthesized by Wet Milling

  • Park, Sung-Bin;Park, Chang-Kyoo;Hwang, Jin-Tae;Cho, Won-Il;Jang,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2호
    • /
    • pp.536-540
    • /
    • 2011
  • This study reports the origin of the electrochemical improvement of $LiFePO_4$ when synthesized by wet milling using acetone without conventional carbon coating. The wet milled $LiFePO_4$ delivers 149 $mAhg^{-1}$ at 0.1 C, which is comparable to carbon coated $LiFePO_4$ and approximately 74% higher than that of dry milled $LiFePO_4$, suggesting that the wet milling process can increase the capacity in addition to conventional carbon coating methods. UV spectroscopy, elemental microanalysis, and evolved gas analysis are used to find the root cause of the capacity improvement during the mechanochemical reaction in aceton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is attributed to the conductive residual carbon on the surface of the wet milled $LiFePO_4$ particles, which is produced by the reaction of $FeC_2O_4{\cdot}2H_2O$ with acetone during wet milling through oxygen deficiency in the precursor.

가온 수침처리가 습식제분 쌀가루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Steeping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Wet-milled Rice Flour)

  • 김상숙;강경아;최소연;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4-419
    • /
    • 2005
  • 실온 이상의 온도(40, 50, 50℃)에서 햅쌀과 저장 쌀을 가온 수침하여 습식제분한 쌀가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처리한 쌀가루는 모두 30% 이상의 수분을 지니고 있었으며, 60℃에서 수침을 한 쌀가루가 40℃, 50℃수침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L값은 햅쌀로 제조한 쌀가루에서 약간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저장 쌀이 햅쌀 백미로 만든 쌀가루보다 높게 나타났다. 햅쌀과 저장 쌀 모두에서 쌀가루의 WAI, WSI 및 gel consistency는 수침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Amylograph peak viscosity, hot paste viscosity, 그리고 cold paste viscosity 모두 수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장 쌀 시료에서 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DSC호화개시온도 및 호화정점온도는 수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호화엔탈피는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쌀가루의 입도 분석 결과 저장 쌀이 햅쌀로 제조한 쌀가루에 비해 작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햅쌀의 경우 수침온도가 60℃, 50℃, 40℃순으로 입도분포가 큰 경향을 보여주었다. SEM에 의한 쌀가루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수침 온도의 증가에 따라 입자 크기의 증가와 손상된 쌀가루 표면이 관찰되었다.

[ $(Th,U)O_2$ ] Pellets: Fabrication and Thermal Properties

  • Kang Ki Won;Yang Jae Ho;Kim Keon Sik;Song Kun Woo;Lee Chan Bock;Jung Youn 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9-308
    • /
    • 2003
  • Fabrication technique of $(Th,U)O_2$ pellets has been investigated. Powder mixtures of $ThO_2\;and\;UO_2$ were milled in two different ways-dry and wet milling. Milled powder was compacted and sintered to $(Th,U)O_2$ pellets. The wet-milled powder leads to a $(Th,U)O_2$ pellet having a high sintered density and uniform distribution of U and Th, compared to the dry-milled powder. The sintered density of a $(Th,U)O_2$ pellet tends to decrease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O_2$.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O_2\;and\;(Th,U)O_2$ pellets was measured by the laser flash metho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O_2$ pellet is higher than that of the $UO_2$ pellet, and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U)O_2$ pellets containing $65wt\%\;and\;35wt\%\;ThO_2$ pellets are lower than that of the $UO_2$ pel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