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dry

검색결과 1,947건 처리시간 0.034초

라왕 푸라타누스 및 포푸라 단판(單板)을 구성(構成)한 합판(合板)의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plywoods constructed by sycamore. poplar and lauan veneers)

  • 유회관;임원순;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38-47
    • /
    • 197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it and utilize America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and poplar grown in Korea as veneer species for plywood manufacture. At this study to save the imported lauan logs and dollars, the effects affecting to the properties of plywood constructed by sycamore, poplar and lauan veneers were studied. Important items dealt with this study were dry and wet shear strength, moisture content, and specific gravities By the results and discussion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Sycamore core lauan plywood (A-II type) was shown best dry shear strength, and the next were all lauan veneer plywood (A-I type), poplar core lauan plywood (B-I type), lauan core sycamore plywood (A-III type) in order.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dry shear strength of A-II type and A-I type, A-II type and B-I type plywood. 2) Wet shear strength showed the same order with dry shear strength. A-II type plywood showed best wet shear strength and it showed more difference than other plwoods. A-I type, B-I type and A-III type plywood were all very goo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wet shear strength. 3) B-I type plywood showed highest moisture content of all type plywood and the next were all sycamore(A-IV type) all poplar plywood (B-III type), A-III type, B-II type, A-II type pllywood in order. Generally high moisture content showed when two or three veneers were same species in the three layer plywood. 4) A-III type plywood showed highest specific gravity of all and the next was A-IV type plywood without a difference to A-I type plywood on the whole. plywoods constructed by lauan and sycamore were shown high specific gravities and the next was lauan, sycamore and poplar, lauan and poplar. It seemed to be that connected wi th the specific gravity of veneer itself in different species. 5) The plywood manufactured by extension of potato flour is not only superior but also profitable in the price aspect than the plywood manufactured by extension of wheat flour.

  • PDF

형질전환된 식물세포에서 hGM-CSF 생산과 안정성에 대한 다양한 탄소원의 효과 (Effect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the Production and Stabilization of hGM-CSF in Transgenic Plant Suspension Culture)

  • 이재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313-319
    • /
    • 2005
  • 다양한 탄소원을 사용하였을 시,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 5일제 glucose를 사용한 배양세포에서 dry cell weight가 11.2 g/L, wet cell weight가 310.8 g/L로 가장 높았다. 이후 배양 10일차에는 오히려 sucr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한 배양세포에서 dry cell weight가 13.4 g/L, wet cell weight가 480 g/L로 가장 높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tal secreted protein의 경우는 배양 10일차에 sucrose를 기본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110.3 mg/L로 가장 높게 나왔다. Total secreted protease 역시, 배양 10일차에 sucrose를 기본 탄소원으로 사용한 배양씩에서 3950 U/L로 가장 많은 양이 측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재조합된 단백질인 hGM-CSF의 생산량에 대한 측정결과, sucrose를 기본 탄소원로 사용한 배지에서 배양 10일차에 56 mg/L로 가장 높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다양한 탄소원 농도변화에 따른 total secreted protein과 hGM-CSF의 안정성 평가를 확인해본 결과, total secreted protein의 경우, 비교대상으로 사용한 sucrose에서는 농도변화에도 큰 손실률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sorbitol, mannitol, fructose, glucose의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배양액내의 protein의 손실률이 증가 하였다. 총 분비된 hGM-CSF 역시 sucrose에 비해 sorbitol, mannitol, fructose, glucose에서는 분비된 hGM-CSF의 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탄소원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hGM-CSF의 양이 감소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를 고려(考慮)한 일강수량(日降水量)의 모의발생(模擬發生)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Considering Spatial Probability Characteristics)

  • 이재준;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31-42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장래(將來) 예상(豫想)되는 유역내(流域內)의 수자원(水資源) 수요문제(需要問題)에 대처(對處)하여 수자원(水資源)의 기초(基礎)가 되는 강수(降水)를 공간적(空間的)으로 모의발생(模擬發生)(Simulation)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開發)한 것으로서, 유역(流域)의 중심(中心) 관측소(觀測所)인 기간관측소(基幹觀測所)와 그 주변의 준기간(準基幹) 관측소간(觀測所間)의 강수현상(降水現像)에 대(對)한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로부터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강수계열(降水系列)를 모의발생(模擬發生)하였다. 섬진강 유역(流域)을 대상(對象)으로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하동(河東)을 택(擇)하고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임실, 보성, 순창, 동복, 구례를 택(擇)하여 강수(降水)의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模擬發生) 모델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얻어진 성과(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수상태(降水狀態)의 공간적(空間的) 분리(分離)는 강수상태별(降水狀態別)(강수(降水)-강수계(降水系), 무강수(無降水)-강수계(降水系), 강수(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무강수(無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발생확률(發生確率)이 안정(安定)된 값을 보여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시(模擬發生時) 유효(有効)한 방법(方法)임을 알았다. 2)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로부터 모의발생(模擬發生)한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은 연평균(年平均) 강수량(降水量)의 경우(境遇) 관측치(觀測値)와 비슷한 결과(結果)를 보였으나, 하계(夏季)의 강수량(降水量)은 약간(若干) 과소(過少)하게 나타났다. 3)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월강수량(月降水量)에 대한 Correlogram과 Power Spectrum은 관측표본(觀測標本)과 잘 맞고 있어 주기성(周期性)의 재현(再現)은 충분(充分)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격자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댐 유입량 모의 (Simulation of dam inflow using a square grid and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model)

  • 최윤석;최시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289-30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분포형 유출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을 모의함으로써 연속형 모의에 대한 GRM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GRM 모형은 기존에 강우-유출 사상의 모의를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 연속형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대상 유역은 충주댐 유역, 안동댐 유역, 용담댐 유역, 섬진강댐 유역이며, 500 m × 500 m의 공간 해상도로 유출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의 기간은 21년(2001년~2021년)이다. 모의결과의 평가는 17년 기간(2005년~2021년)에 대해서 수행하였으며, 17년 전체 자료(total duration), 풍수기(6월~9월, wet season), 갈수기(10월~5월, dry season)의 3개 자료 기간으로 구분하고, 각 댐의 관측된 일유입량과 비교하였다. 모의결과의 적합도 평가는 Nash-Sutcliffe efficiency 계수(NSE), Kling-Gupta efficiency 계수(KGE), 상관계수(CC), 총용적 오차(VE)를 사용하였다. 모의된 댐 유입량의 평가결과 total duration과 wet season에서 관측자료를 잘 재현할 수 있었으며, dry season에서도 저유량 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양호한 모의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GRM 모형의 연속형 모의기법은 적절히 구현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의 댐 유입량 모의에 충분히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 III.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 및 일 변동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unseom, Cheju Island, Korea - III. Seasonal and Diel Fluctuations of Gelatinous Zooplankton Biomass)

  • 오봉철;이준백;좌종헌;고유봉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2호
    • /
    • pp.141-145
    • /
    • 2000
  • 동물플랑크톤 군집생산에 주요요인인 생물량의 시간적인 양적 및 질적 차이를 찾기 위해,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특별히 고안된 표층 채집장치에 의해 시간별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를 대상으로 계절별 출현개체수, 현존량의 일변동,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습중량과 건중량의 관계 및 동물플랑크톤의 체장과 체중에 의한 크기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건중량에 대한 습중량비(W/D)는 평균 66.46(47.05${\sim}$84.64)를 나타내고, 갑각류를 중심으로 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서는 10.89(9.21${\sim}$14.85)로 6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습중량에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평균비(G/NG)는 0.99(0.28${\sim}$2.30)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았다. 이러한 값들은 계절별 일 변동폭도 매우 컸으며, 이는 구성 종의 상대 출현율의 차에 따른 것이었고, 각 그룹의 동물플랑크톤 주야수직이동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체장에 의한 크기분포(250${\sim}$500 ${\mu}m$: 35.5%)와 습중량(0.I${\sim}$0.2 mg: 34.4%)과 건중량(0.025${\sim}$0.05mg: 44.8%)에 의한 크기분포 양상은 구성생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습중량에 국한되어 조사된 대규모의 정량자료는 해역의 정확한 생물생산 추정을 통한 연안자원의 재평가를 위하여 다시 보정 ${\cdot}$ 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해수침지-건조 환경에 노출된 모르타르속 철근의 부식속도 평가 (Corrosion Monitoring of Reinforcing Bars in Cement Mortar Exposed to Seawater Immersion-and-dry Cycles)

  • 김제경;기성훈;이정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0-18
    • /
    • 2018
  • 본 연구는 시멘트 모르타르속에 매입된 철근주위가 건조될 때 불안정한 전류분포의 영향을 측정하고, 교류 임피던스 특성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조과정중 철근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철근이 매입된 3개의 시멘트 모르타르가 실험을 위해 준비되었다. 주요 변수는 20mm 모르타르 두께를 동일하게 가지도록 하여, 두 철근사이의 간격이 10, 20과 30mm가 되도록 하였다.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속의 철근 부식속도를 가정하기 위해서, 3개의 모르타르 시험체는 15 사이클의 침지-건조환경(해수에서 24시간 침지와 48시간 실온 건조)에 노출되었다. 부식전위의 변화는 건조중에 용존산소의 확산속도 증가로 인해 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침지-건조환경에서 교류 임피던스는 100kHz에서 1mHz까지 측정되었다. 철근과 모르타르사이의 계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 모델이 제안되었으며, 그것은 용액저항, 전하이동저항과 CPE로 구성된 등가회로를 사용하였다. 철근의 부식이 진행됨에 따라, 저주파수 영역에서 확산 임피던스가 나타났다. 침지-건조 환경중 건조과정에서 이송차가 $45^{\circ}$에 가까워지는 현상으로써 전류분포가 불균일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친환경 생분해성 그물실의 재질에 따른 연안 유자망의 어획성능 특성 (Fishing performance of a coastal drift net in accordance with materials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iodegradable net twine)

  • 김성훈;김병관;정성재;배재현;임지현;오우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97-106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physical properties and fishing performances of net twine with improved PBS copolymer resin (Bio-new), the existing PBS/PBAT blending resin (Bio-old) and commercial Nylon (Nylon). The tensile strength of Bio-new monofilament was equal to Bio-old and the elongation of Bio-new was about 6 % higher than that of Bio-old in wet con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test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breaking load and stiffness in dry and wet conditions, respectively. In the results, the breaking load of Nylon netting was the highest whereas the elongation of Bio-new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Nylon netting in wet condition. The breaking load of Bio-old netting was about 9.2 % higher than that of Bio-new netting. However, the elongation of the Bio-new netting was about 3% higher than that of Bio-old. The stiffness of the Bio-new compared to Bio-old was improved about 34 % in dry condition and about 32 % in wet condition. The filed experiments of the fishing performance were conducted with three kinds of drift nets with different netting materials in the coastal sea of Jeju. The each experimental drift net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howed the similar fishing performance. Bio-old drift net yielded less catches of small sized yellow croaker than other drift nets. The netting materials affected the fishing performance and length distribution of catches in the drift nets.

저온하에서의 온도 및 함수 조건에 따른 암석의 모드 I 파괴인성 측정 (Measurement of Mode I Fracture Toughness of Rocks with Temperature and Moisture Conditions at Low Temperature)

  • 정용복;박찬;신중호;이희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1권4호
    • /
    • pp.352-361
    • /
    • 2001
  • 저온 냉각상태 및 냉각 후 상온 해빙 상태에서 암석의 모드 I 파괴인성을 BDT와 CCNBD시험편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실험 온도 범위는 상온($25^{\circ}C$)에서 -16$0^{\circ}C$로 설정하였으며 건조 및 포화된 화강암과 사암을 사용하여 파괴인성에 대한 공극수와 공극률의 영향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냉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균열을 조사하기 위해서 SEM 이미지 분석도 실시하였다. 냉각된 암석의 파괴인성은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경향은 포화시료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포화 시료의 경우 화강암의 증가율이 사암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냉각 후 상온 해빙 상태에서 구한 파괴인성의 경우, 냉각을 거 치지 않은 상온 상태의 파괴인성 값의 15% 이내에서 결정되었다. 냉각-해빙을 거친 시료에 대한 SEM 분석결과 화강암의 경우 조암광물간의 열팽창 차이에 의한 열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냉각온도가 낮을수록 균열밀도가 증가하였다.

  • PDF

서남해역 갯벌에 서식하는 우럭 (Mya arenaria oonogei) (Mollusca: Bivalvia)의 성장 양상 (Growth Pattern of Soft Clam (Mya arenaria oonogai) (Mollusca: Bivalvia) from a Mud Flat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 임현식;이창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5-115
    • /
    • 2004
  • Growth pattern of the soft clam (Mya arenaria oonogei) was estim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from the Yeongsan River estuary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between August 1996 and September 1997. Mean density of the clam during study period was $55\;ind./m^2$ and varied monthly from 281 to $8\;ind./m^2.$ The clams from the study area ranged in age from one year to seven years, with shell lengths between 40.4 mm and 104.1 mm and biomass between 8.4 and 152.3 g in total wet weight. The spawing season was estimated to occur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based upon a reduced fatness index, an indication of spawning, during these months. Burial depths increased with growth of the clams and most were found buried between 10 and 20 cm in the sedimen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SH), total wet weight, (TWt), meat wet weight (MWt), meat dry weight (DWt), ash free dry weight (AFDW) and burial depth.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s of the clams were $L_t(mm)=138.98(1-e^{-0.1325(t+0.8853)})\;and\;W_t\;(gTWt)=325.93\;(1-e^{0.1325(t+0.8853)})^{2.6982}.$ These equations suggest that in their first year the clams should reach 31 mm in length with a biomass of 5.7 g in total wet weight.

Effects of Cellulase and Brewers' Grains Addition on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Nutritive Value of Barley Straw Silage

  • Ridla, M.;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575-580
    • /
    • 1997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cellulase and brewers' grains addition on improvement of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the nutritive value of barley straw silages made from dried or fresh straw. In Exp. I : 1 kg dried barley straw + 2 kg wet brewers' grains + 0 (I-0), 2 (I-2), 4 (I-4), 6 (I-6), and 8 (I-8) g of cellulase. In Exp. II : 2 kg fresh barley straw + 2 kg wet brewers' grains + 0 (II-0), 2 (II-2), 4 (II-4), 6 (II-6), and 8 (II-8) g of cellulase. Each prepared material was ensiled into vinyl bag silos (5 L capacity) and stored for 10 (Exp. I) or 7 (Exp. II) months at $21^{\circ}C$.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nutritive value of barley straw silages produced were markedly improved by mixing them with wet brewers' grain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cellulase addition on the fermentation and reduction of the cell wall components in the silos at ensiling more effectively occurred at low dry matter silages rather than at the high ones. All silages in both Exp. I and II were found well preserved as indicated by their low pH and high lactic acid concentration. Cellulase treated silages had a lower pH (p<0.05) and a higher lactic acid concentration (p<0.05) than those of without cellulase addition. NDF, ADF, and (Hemi)cellulose contents of cellulase treated silages reduced (p<0.05) compare to those of the corresponding silage without cellulase. Increasing levels of cellulase addition caused an increase in fermentation quality and reduction of cell wall components. In vitro dry mater digestibility was found similar in all silages. Fermentation quality and nutritive value of barley straw silages were improved by both wet brewers' grains and cellulase addition. Cellulase addition reduced the cell wall components silages, but did not improve the digest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