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zon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평가인증기준에서 바라본 대전시 보육시설사례의 시설공간구성과 보육실 영역구성 조사 (Analysis of Space Organization and Classroom Zoning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City by the Childcare Accreditation Criteria)

  • 김영애;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5-223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diagrams of space organization and classroom activity zoning through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riteria, and compares space diagrams with childcare facilities in Daejeon, and looks 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Space diagram from accreditation criteria show the classroom, adjoining toilets, napping areas, and community areas for playing, reading, cooking, teaching and holding materials. Classroom zone diagrams show 8 activity zones for entering, washing and toilet, making art, playing, reading, studying science, resting, playing role and wooden block. Six case studies in Daejeon, Korea were surveyed and classified into big, medium and small size facilities by the number of children. The space organization of case studies are similar to the diagrams, except that outdoor playground and indoor playrooms were not large enough at the small and medium size facilities. Classroom activity zoning was very similar to the conceptions, excluding the playarea from classroom, integrating the rest areas for reading, subdividing art into music and art, science, and into math and science, roleplay into roleplay and wooden block. In conclusion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re designed to the concept diagram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with some flexibility, exclusion, integration, and subdivision of space and activity zones. It has been requested as to make each criteria fit to the facility sizes-big, medium and small.

복합복지시설의 서비스기능 및 서비스 그룹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Services and Their Grouping in Welfare Complexes -Focused on Urban Area)

  • 권순정;최경숙;오은진;김상길;성기창;박혜선;김석준;위권일;신희진;정은영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7-24
    • /
    • 2010
  • At the moment many welfare complexes are being constructed in Korea as the welfare demand of contemporary society increases. However, there are a few useful guidelines for the planning of the welfare complexes. So it is not eas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work out the proper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welfare complexes for their own. This study has been star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the planning of Korean welfare complex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8 welfare services (elderly, women, children, nursery, adolescence, handicapped, health care, public support) are necessary in general welfare complexes in local governments. The second one is that 4 welfare zones are desirable for the planning of welfare complexes. For example, the 1st zone is consist of welfare services for the adolescence, women and children, the 2nd zone for the elderly, handicapped, the 3rd zone for the public support and the 4th zone for the health care.

전라북도 무료양로시설의 건물배치에 따른 공간구성 특성 (The Spatial Composition by Block Plan of the Free Elderly Facility in Jeonbuk Province)

  • 이민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by block plan of the free elderly facili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building up the detail architectural guidelin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Elderly welfare law needed to control the poor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free elderly facility such as the residential space for more than 4 individuals. The facility of single building type should strengthen the informal support networks through the dispersion of public spaces or should encourage moving of the residents through the outdoor space, especially in rural area. On the other hand, the linking type needed to focus on the administrative spaces on the first floor for the managerial convenience, and to group and disperse the public/recreational spaces to decrease the unnecessary moving of the residents and staffs. The passageway linking building to building should directly connect each administrative space or public space so that elderly used them without any inconvenience. In the dispersion type, which is suited to rural area, the lounge, dining hall, and the place for the staff on duty should be located in the same as the residence building for the convenience and the safety of the elderly residents.

  • PDF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백두대간 보호지역 용도구역체계 개편방안 연구 (Study on Reorganization Plan for District Division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for Local Revitalization)

  • 성현찬;이경일;김윤지;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25
    • /
    • 2019
  •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a regulatory-oriented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the residents, and has been affected by the shrinking of local economy and the reduction of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Baekdudaegan resident support programs has been implemented but variou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failing to lead to local revitalization. In addition, the zoning districts consists only of the core district and buffer district,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improve the lives and satisfy the needs of residents due to the stricter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revitalization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by reforming the zoning system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onsidering related plans and systems, legal validity, residents' repulsion, area, etc., four reorganization plans were drawn according to each strength and weakness. Principles, additional permissible activities, example of amendment to 'Baekdudaegan Protection Act' according to each plan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and welfare of the resident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because it is a limitation that the specific scope of the proposed plans could not be set.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단지형 디자인가이드라인의 계획 방향: 공동주택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을 중심으로 (The Planning of Design Guideline for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s: Focusing on the Welfare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 조은길;김영훈;김원천;박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design guideline of the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 in apartment complex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future architecture plans. The existing Hanok architecture standards and guideline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 in apartment complex were applied. The planning direction of the design guideline was derived. First, although the criteria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Hanok produced and distributed were classif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oduction, the details and contents were similar. Second, the general planning criteria items were divided into layout, external space plan, building plan, and performance plan. Third, the elements of 'creative inheritan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rn building technolog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 were applied. In addition, we analyzed elementary welfare facility guidelines and applied elements such as layout type and zoning setting. Fourth, a special planning standard for applying the building system required for the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 in apartment complex was add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revitalize New-Hanok-Style Public Building containing the unique identity(genetic factor; DNA) of the nation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relevant building standards, design guidelines, and maintenance manuals.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활용한 해외 복합 개발 사례에 대한 고찰 : 영국과 호주 사례 (A Study on Mixed-use Development Cases Using Closed Quarry Site of Overseas; the UK and Australia)

  • 조승연;임길재;이진영;지상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5호
    • /
    • pp.505-513
    • /
    • 2021
  • 21세기 들어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도 대도시권의 주택가격 상승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들 정부는 대도시 인근에 위치한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택지로 적극 활용하여 주택부족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영국의 Erith Hill Quarry (The Quarry)나 Plymstock Quarry, 호주의 Lilydale Quarry (Kinley)와 Bombo Quarry는 모두 도시 계획적 제도를 통해 개발이 종료된 채석장을 주택, 상업 등 복합용도로 개발한 사례이다. 영국은 도시계획제도의 틀 안에서 Section 106이라는 계획허가 제도를 통해 지방정부가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의 복합개발을 허가하는 대신 지역에 필요한 학교 등의 공공시설과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호주는 채석장의 토지이용을 산업에서 복합용도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허가권한을 활용하고, 개발계획에 저렴한 주거 외에도 도시기반시설, 오픈 스페이스 등이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호주의 사례에서 개발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단계적 개발방식을 통해 상부 표토 및 표석을 채굴적을 메우는 충전재로 활용한 것은 사업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과 호주 모두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택지로 공급하는 것이 신규 녹지를 훼손하는 것보다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경직된 우리의 도시개발 제도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사회 취약지역의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sis of the Social Vulnerable Areas Using GIS Spatial Analysis : Focusing on Local Governments in Seoul Metropolis)

  • 이명호;유선철;안종욱;신동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58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 복지 취약지역의 부문별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회 취약지역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으며 분석지표와 기준을 선정하였고 이후 지표에 해당하는 적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축하였다. 분석의 지표 기준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서울특별시로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취약지역에 관한 부문별 하위 10% 지역이 도출되었다. 부문별 취약지역을 취합하여 분석한 결과 중구 용산구 서대문구와 같은 일부 지역이 최종 취약지역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중구는 가스, 전력 등 에너지 사용이 낮고 건물의 노후 심화, 교통 의료 교육 시설과의 접근성이 모두 취약한 지역으로 분석 되었다. 용산구는 주거부문 의료부문이 가장 취약하였다. 또한 종로구는 교육부문이 서대문구는 주거부문, 교육부문에서 취약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용도지역을 검토해 보면 제1종, 2종, 3종 주거지역에서 에너지, 주거, 의료, 교통,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회 취약지역 분석기법은 다양한 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시스템, 플랫폼 등으로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 및 과정 등을 활용하여 공공부문에서의 정책지원, 시간, 인력의 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공간정보 속성에 따른 토지보상액 결정에 관한 연구 -공공주택지구 보상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ensation of Land according to the Spatial Properties -In case Compensation of Public Housing District-)

  • 문재혁;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88-198
    • /
    • 2016
  • 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필요한 택지공급을 위해서는 많은 토지를 취득해야 한다. 토지는 다양한 개발압력과 토지이용규제로 지가 결정에 대한 이견이 크며, 이러한 견해의 차는 공익사업 시행에 있어 갈등의 단초가 되고 있다. 지가 결정에 대한 객관적 연구를 통해 견해의 차이를 좁히는 것은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공익사업의 하나인 공공주택지구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보상단가를 종속변수로, 선행연구 및 전문가 집중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헤도닉모형을 적용하여 지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그 정도를 분석하였다. 용도지역 및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구분한 그룹별 분석결과 영향요인의 유의성 여부에서는 건물부지여부가, 영향력의 크기에서는 접근성측면과 공법상 제한측면이 그룹별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합리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건물부지 여부를 변수로 추가 선정한 것과 도로접면 변수에 대한 비율척도 적용으로 보상액 영향 분석에 있어서 설명력이 높아졌다.

장애·비장애인 통합 환경으로서의 통합공원 조성을 위한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Analysis of Design Guidelines for Inclusive Parks as an Inclusive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 남현경;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9-100
    • /
    • 2017
  • 1960년대 이후 장애인의 탈시설화가 진행되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생활하는 통합의 개념이 점차 발달하였고 장애 관련 다양한 복지 제도가 개선되어 왔으나, 장애인이 문화와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권리는 아직 충분히 보장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장애 비장애인의 통합 환경으로서의 통합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지침 마련을 위해, 기존의 장애인 관련 시설 가이드라인, 즉 접근성, 무장애, 유니버설 디자인 등을 주제로 하는 국내외 10가지 가이드라인을 이용자 측면과 계획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용자 측면에서는 비장애인과의 공동 이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신체적 장애를 가진 성인에 편중되었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또한 계획 측면에서는 조성 절차에 관련 내용이 미비하고, 배치 및 공간구성, 시설물 및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권 및 이동권에 관한 내용 중심의 가이드라인만 제시되고 있어, 현재의 장애인시설 관련 가이드라인은 통합공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통합공원의 개념과 목표를 정립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함께 고려하는 균형된 관점에서 갈등 요소를 극복하고, 현실적인 통합공원 조성에 필요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