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uppress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가묘상(false seedbed)과 헛묘상(stale seedbed)을 이용한 유기재배 밭작물의 잡초관리 가능성 (Possibility of Organic Weed Control by False- and Stale-Seedbed in Upland Crop)

  • 조정래;옥정훈;이병모;안난희;한은정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15-220
    • /
    • 2014
  • 유기재배 밭에서 가묘상과 헛묘상을 이용한 잡초관리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봄, 가을 노지작물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가묘상은 작물재배 2-4주 전에 설치한 후 갈퀴를 이용하여 천경하거나 화염처리로 제초하였다. 배추, 콩, 고추, 옥수수를 재배한 봄작기 시험에서 가묘상처리에 따른 잡초억제율은 각각 65-73%, 50-55%, 9-55%, 8-33%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작물의 생육과 수량을 고려할 때 배추, 콩, 옥수수 등은 가묘상을 이용한 잡초관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헛묘상을 이용한 가을작기 시험은 배추, 시금치, 당근을 재배하였는데 잡초억제율은 각각 18?39%, 40?77%, 37?38%로 가묘상을 이용한 봄작기보다 낮았고 생육과 수량도 좋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적었다.

Weed control treated with salt and seawater in organic agricultural upland

  • Lee, Sang-Beom;Lee, M.H.;Kang, C.K.;Kim, M.S.;Nam, H.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95-297
    • /
    • 2011
  • Weed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organic farming systems that limit crop growth and their yiel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ganic soybean (Glycine max Merrill)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ion effect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 Weed population and fresh weight were monitored after 6 week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s. The most important weeds were Digitaria sanguinalis, Portulaca oleracea, Tradescantia reflexa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but also 6 other species were observed in soybean arable field. Soybean crops under seawater or their solids application were well grown. The results treated with salts and seawater indicate decreases by 13.4~30.8% in weed density and by 18.0~43.2% in their fresh weight and soil hardness increases of up to 2.1-fold. Salt and seawater provided good additional weed control, but they were caused a serious problem in deteri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수도(水稻)못자리에 있어서 몇가지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가 잡초방제(雜草防除) 및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veral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Seedling Growth in Rice Nursery)

  • 이동우;홍유기;김재철;김희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9-187
    • /
    • 1984
  •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에 의한 못자리 잡초방제(雜草防除)와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농촌진흥원(農村振興院)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못자리 제초제(除草劑)인 Chlormethoxynil, CNP 및 Butazol을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복토(覆土) 무복토(無覆土) 처리(處理)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파종기(播種期)가 빠를수록 둑새풀, 피 등 화본과(禾本科) 1년생(年生) 잡초(雜草)가 우점(優占)되었으나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방동산과(科)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다. 2. 잡초방제가(雜草防除價)는 복토구(覆土區)가 무복토구(無覆土區)에 비하여 높은 경향(傾向)이었으며 복토구(覆土區)에서 Chlormethoxynil, CNP 각각 3kg/10a 시용시 각각 76.71%, Butazol 1kg/10a 시용시는 97%이었다. 무복토구(無覆土區)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76, 61, 92%였다. 4. 무복토(無覆土)할 때 파종후(播種後) 40일(日)의 묘건물중(苗乾物重)은 Chlormethoxynil, CNP 각가 4kg/10a, Butazol 2kg/10a 처리에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Butazol 1kg/10a 처리시(處理時) 묘(苗)의 생장속도(生長速度) 및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이 높은 경향(傾向)이다.

  • PDF

콩 무경운 유기재배 시 피복식물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Cover Crop on Weed Control in No-tilled Organic Soybean Field)

  • 조정래;안난희;남홍식;이상민;옥정훈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89-195
    • /
    • 2017
  • 전북 완주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 시험포장에서 2015년과 2016년 콩 무경운 유기재배를 위해 피복식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복식물은 호밀 단파와 헤어리베치를 단파하는 처리와 혼파하는 처리를 두었다. 피복식물은 2014년 가을에는 경운 후에 파종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무경운 파종하였고, 콩은 2015년과 2016년 모두 무경운 재배하였다. 호밀 피복구에서는 정식 후 60일까지 8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무경운 재배에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호밀/헤어리베치 혼파구에서도 3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잡초관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헤어리베치 피복구는 잡초억제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재배 콩 포장의 발생 초종은 일반 포장에 비하여 많지 않았다. 2016년에 콩 무경운 유기재배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교하여 다소 좋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평균수량은 낮게 나타났다.

Red Pepper Cultivation Using a Native Legume Cover Crop in Korea

  • Cho, J.L.;Choi, H.S.;Lee, Y.;Lee, M.H.;Kim, C.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47-250
    • /
    • 2011
  • Four seed vetch (Vicia tetrasperma), a biennial native leguminous plant, was used for a cover crop with different quantity of sowed seeds. Weed suppression and yield were evaluated for the red pepper cultivation in the following year of the vetch seeding. Seeding of 1.0, 2.0, 3.0, 4.5, and 6.0 kg 10 $a^{-1}$ suppressed weed occurrences until late in the growing season of the red pepper. Consequently, red pepper in the cover cropping system with seeding of 3.0, 4.5, and 6.0 kg 10 $a^{-1}$ had a similar yield to the conventional red pepper. The ideal seed rate in four seed vetch was 3.0 and 4.5 kg 10 $a^{-1}$ in terms of reducing weed occurrence as well as increasing growth and yield in red pepper.

답전윤환재배지(畓田輪換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동태(雜草發生動態) (Weed Occurrence in Paddy-Upland Rotating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여명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5-312
    • /
    • 1995
  • 벼-콩 답전윤환재배지에서의 잡초발생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지에서는 피의 우점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연작에 의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콩재배지에서는 피, 좀명아주 및 (좀)바랭이가 문제잡초로 제기되었다. 2.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콩 재배로 또는 콩재배에서 벼 건답직파재배로 답전윤환(畓田輪換)을 함으로써 잡초의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벗풀 및 수생잡초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답전윤환재배시(畓田輪換栽培時) 동일 작물을 2년 이상 연속재배(連續我培)하면 잡초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잡초군락형별로 본 질소시비량과 재식밀도가 수도의 경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Spacing on the Competitive Ability of Rice Growing in Association with Various Weed Communities at Different Nitrogen Levels)

  • 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27
    • /
    • 1980
  • 잡초군락형별(피, 물달개비, 피+뭍달게피 군락형), 질소시비종(0.80, 160kg/ha)에 따른 수도재식거리 (10$\times$10cm, 20$\times$20cm, 30$\times$30cm)가 잡초와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78년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기(IRRI) 시험포장에서 포장실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의 우점도는 질소시용량에 따라 차리가 있었는데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물달개비의 우점도는 높아졌으나, 피와 방동산이과 잡초는 감소되었다. 2. 재식거리 10$\times$10cm구에서는 잡초발생 억제효과가 질소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저하되었으며, 30$\times$30cm 다비구(160kg/ha)에서는 전혀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재식거리 10$\times$10cm구에서는 제초구와 무제초구간의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재식거리 20$\times$20cm 와 30\times30cm구에서는 무제초구에서 현저한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는데, 그 정도는 30$\times$30cm구에서 더욱 컸다. 4. 잡초와의 경쟁에 의한 수도수량감소는 수량구성요소중 수수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 5. 잡초발생량과 수도수량감소율과의 상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그 정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컸다.

  • PDF

보리를 이용한 벼 건답직파논에서의 잡초억제 효과 (Weed Control by Suppression Ability of Barley as Cover Crop in Dry Direct Seeded Rice Fields)

  • 황재복;박성태;송석보;정기열;이용환;남민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7-182
    • /
    • 2010
  • 벼 건답직파 논에서 보리를 산파한 후 벼를 요철골 건답직파를 하여 파종시기별 피복작물에 따른 잡초발생량 및 벼의 생육 및 수량을 살펴 본 결과, 벼의 입모수는 $m^2$당 104~112개로 건답직파 적정입모수 90~130개 확보에 큰 문제는 없었다. 보리의 입모수는 4월 10일 $m^2$당 634개 이었고, 담수시 건물중이 146g으로 90% 피복되었다. 쌀 수량은 4월 10일 보리를 이용한 파종구에서 401kg $10a^{-1}$, 4월 30일 보리와 제초제 1회 파종구에서는 517kg $10a^{-1}$로 관행대비 77~99%이었으며, 잡초방제가는 77~87%이었다.

유기멀칭재료 처리에 따른 대추 유목의 생육과 잡초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 Application using Different Organic Materials on Growth of Young Jujube Trees and Weed Suppression)

  • 이경자;강보구;김기식;김충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7-75
    • /
    • 2015
  • 유기멀칭자재가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대추 유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부터 2013년까지 4종류의 유기 멀칭자재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멀칭재료(볏짚, 왕겨, 톱밥 및 우드칩)는 2012년에 대추 유목이 심겨진 토양위에 처리되었다. 2012년 모든 멀칭재료별 잡초 발생 억제율은 96~98% 범위에 있었다. 2013년에 잡초 발생 억제율은 볏짚멀칭 처리구에서 7%, 왕겨멀칭 처리구에서 60%, 톱밥멀칭 처리구에서 27% 그리고 우드칩멀칭 처리구에서 79%이었다. 2013년 잡초 발생 억제율은 2012년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대추 유목의 생육은 우드칩멀칭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왕겨멀칭에서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