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inhibition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3초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및 Simetryne에 저항성(抵抗性)인 식물체(植物體) 선발육성(選拔育成) (Development of Herbicide Resistant Plant Through Plant Tissue Culture)

  • 김길웅;김상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0-207
    • /
    • 1987
  • 잡초발생전(雜草發生前) 처리(處理)하며 단백질대사(蛋白質代謝)률 억제(抑制)하는 작용기작(作用機作)을 가진 butachlor와 잡초발생후(雜草發生後)에 처리(處理)하여 광합성(光合成)을 억제(抑制)하는 simetryne에 내성(耐性)을 지닌 식물체(植物體)를 육성(育成)키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카루스의 생사여부(生死與否)는 TTC의 반응(反應)으로 간단히 검정가능(檢定可能)하며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전공시품종(全共試品種)이 생존(生存)하였다. 2. 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ion index (S.D.I.)로 본 butachlor에 대한 벼 품종간(品種間) 차(差)는 카루스 증식반응(增殖反應)과 유식물체반응(幼植物體反應)과는 다소(多小) 일치(一致)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Simetryne을 유묘기(幼苗期)의 벼에 처리(處理)하면 품종간(品種間)에 뚜렷한 반응(反應)이 있었고 Japonica 형(型)이 내성(耐性)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카루스증식면(增殖面)에서 본 simetryne의 영향(影響)은 유묘기(幼苗期)와 일치(一致)하지 않으며 억제정도(抑制程度)가 butachlor 보다 낮았다. 4. Butachlor에 내성(耐性)을 보이는 상풍벼는 simetryne에도 내성(耐性)을 다소(多少)나타냈다. 5. Simetryne과 butachlor 처리구(處理區)에서 살아남은 카루스로부터 분화식물체(分化植物體)를 유도(誘導)하였다.

  • PDF

Effects of Microwaves on the Germination of Weed Seeds

  • Sahin, Hasa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4호
    • /
    • pp.304-309
    • /
    • 2014
  • Purpose: Weeds cause significant losses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crowaves on the germination rates of cress and arugula seeds to determine whether microwaves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hemical-based herbicides. Methods: Seeds were planted at equal depths (8-10 mm) in a soil-turf mixture, and seeds were exposed to microwaves for 126 s, 70 s, and 50 s in a device construct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A microwave tunnel was built using a variable speed conveyor belt and 4 magnetrons with a combined output power of 2.8 kW. Seeds that were not exposed to microwaves were germinated with regulated irrig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s in parallel with the treated seeds, and the germination rates were compared among the treatment groups. Results: We found that the exposure of cress and arugula seeds to microwaves for 126 s inhibited germination close to 100%. Cress seeds treated with microwaves for 50 s showed 95% germination compared to 65% germination of the untreated cress seeds. Conclusions: We predict that the thermal effect of microwave energy affects the germination ratio and germination rate of seeds.

진노랑상사화 인경으로부터 살초활성 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from Bulbs of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K.H.Tae & S.T.Ko)

  • 장호진;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7-444
    • /
    • 2010
  • 본 연구는 진노랑상사화 인경에 함유된 allelochemical의 살초활성을 조사하고, 활성 발현에 관련된 살초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Silica gel flash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 일련의 크로마토그래피법들을 통해 진노랑상사화 인경의 MeOH 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HPLC에 의해 최종 획득된 활성분획에 대한 GC/MS 분석결과, isoquinoline alkaloid인 montanine($O^2$-methyl pancracine)이 동정되었다. Montanine은 $50{\mu}g\;mL^{-1}$ 농도에서 돌피 유묘의 생장을 100%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숭아 과원에서 잡초방제방법이 신초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hoot Growth and Yield Related to Weed Control Methods at the Peach Orchard)

  • 이성희;이기열;이재웅;신현만;강보구;박용석;이정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4-140
    • /
    • 2015
  • 본 시험은 복숭아 과원 잡초방제 방법별 신초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1차 처리 후 10일 간격 3회 조사한 결과, 제초제(glufosinate ammonium) 2회 및 3회 처리구의 잡초방제 효과는 10일째 98.2~98.6%, 20일째 77.5~78.2%, 30일째 40.7~41.4%로 나타났고 부직포 처리구는 100%, 100%, 97.5%이었으며, 기계예초 처리구는 92.1%, 56.4%, 36.4%이었다. 수확 전과 후의 신초 생육량을 비교한 결과, 제초제 2회 및 3회 처리구, 부직포 피복구, 기계예초 처리구 모두 무처리보다 전반적으로 생육이 좋았다. 평균 정형과수는 제초제 2회 처리구와 기계예초 처리구가 무처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제초제 2회 또는 3회 살포가 복숭아 과원에서 조사된 14종의 모든 초종에 탁월한 방제효과와 더불어 복숭아나무의 수체 생육과 정형과수 확보에 있어 지장이 없기 때문에 향후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착색(着色)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발생(發生)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1985
  • 1. 화간(畫間) 지온(地溫)은 나지(裸地), 투명(透明) 및 청색(靑色)필름에서 높은 반면, 흑색(黑色) 및 녹색(綠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한 경우에 낮으며 투광율(透光率)도 흑색(黑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2. 바랭이, 쇠비름, 망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잡초는 투명(透明)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으나 흑색(黑色)필름에서는 불량(不良)하였다. 청색(靑色)필름에서 쇠비름, 강아지풀과 털비름의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된 반면, 망초, 메귀리, 명아주, 바랭이, 망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는 녹색(綠色) 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었다. 3.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투명(透明)필름에서 가장 많았고, 나지(裸地)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으나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매우 적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4.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中)은 투명(透明)필름과 나지(裸地)에서 매우 높은 반면,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현저하에 감소(減少)되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의 생장(生長)이 완전히 억제(抑制)되었다.

  • PDF

올방개의 괴경형성(塊莖形成) 억제(抑制) 및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Control and Tuberization Inhibition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임일빈;박석홍;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0-67
    • /
    • 1991
  • 벼 재배시(栽培時) 본답(本畓)에서 올방개의 방제(防除)와 괴경형성(塊莖形成)을 억제(抑制)시키기 위하여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단제(單劑) 또는 혼합제(混合劑)를 처리(處理)하여 시험(試險)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l. 올방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이앙후(移秧後) 50일(日)에 Bentazon을 체계처리(體系處理)한 구(區)에서 90% 이상이었으며 Mefenacet + Bensulfuron은 이앙후(移秧後) 15일(日)에 처리(處理)한 구(區)에서 88%로 높였다. 2. Butachlor+ Bensulfuron을 이앙후(移秧後) 5일(日)에 처리(處理)하고 Bentazon을 50일(日)에 체계처리(體系處理)한 구(區)에서 올방개 괴경형성억제율(塊莖形成抑制率)은 가장 높았으며 가벼운 괴경(塊莖)이 형성(形成)되었다. 3. 15~20cm 사이의 토양층(土壞層)에 형성(形成)된 괴경(塊莖)은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따라 중량(重量)의 차이(差異)가 컸으나 10~15 cm 사이에 형성(形成)된 괴경(塊莖)은 별 차이(差異)가 없었다. 4. Bentazon 15일(日) 체계처리구(體系處理區)는 표층(表層)(0~5 cm)과 심토층(深土層)(15~20cm)에는 괴경(塊莖)이 형성(形成)되지 않거나 극히 적게 형성(形成)되었다. 5. 벼의 수량(收量)은 Bentazon을 이앙후(移秧後) 50일(日)에 체계처리(體系處理)한 구(區)와 Mefenacet + Bensulfuron을 이앙후(移秧後) 10~15일(日)에 처리(處理)한 구(區)에서 높았으며 손제초(除草)와 차이가 없었다.

  • PDF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 (機構) - III.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활성(活性)과 Protoporphyrinogen IX(PPIX) 축적(蓄積)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III. Differential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 Activity and Protoporphyrinogen IX(PPIX) Accumulation)

  • 국용인;구자옥;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9
    • /
    • 1996
  • Oxyfluorfen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과 감수성 피를 공시하여 oxyfluorfen 처리에 의한 protox 활성저해(活性沮害), PPIX 축적량(蓄積量)과 tetrapyrro1e 생합성(生合性) 억제제(抑制齊) 처리에 의한 oxyfluorfen의 제초활성(除草活性)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1.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protox 활성저해(活性沮害)는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보다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 컸다. 특히,$10^{-6}$ 처리 이상의 농도에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내성(耐性) 품종(品種)들에서는 무처리에 대비하여 32~59%의 활성(活性)을 유지하였다. 2.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PPIX의 축적량(蓄積量)은 증가하였고, 광노출 4시간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의한 PPIX 축적량(蓄積量)은 암조건(暗條件)에서보다 광조건(光條件)에서 많았다. 광 암조건(光 暗條件)에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는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에 비하여 PPIX 축적량(蓄積量)이 많았다. 특히, 감수성(感受性)인 피는 PPIX 축적량(蓄積量)이 벼품종(品種)에 비해 많았다. 4. Tetrapyrrole 생합성(生合性) 억제제(抑制齊)인 GC와 DA를 처리하면 oxyfluorfen에 의한 제초활성(除草活性)은 억제되었으며,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는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이나 피에서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으로서 엽록소 함량이나 PPIX 축적량(蓄積量)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베치, 호밀 추출물이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와 유근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rimson Clover, Hariy Vetch and Rye on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of Several Crops)

  • 이지현;이병모;전승호;정종일;김민철;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1-379
    • /
    • 2010
  • 피복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른 allelopathy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에 채취한 시료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해 콩, 무, 유채, 상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콩과 무에서는 각 피복작물 추출물의 처리구에서 발아율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채에서는 크림손클로버의 개화기 20% 추출물, 헤어리베치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 20% 추출물, 호밀의 영양생장기 20% 추출물들에서 20% 이상의 발아 억제가 나타났으며, 상추는 영양생장기의 크림손클로버와 헤어리베치의 20% 추출물 처리에서 발아세가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유근 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으며 $GR_{50}$ 값도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도 영양생장기 때 가장 높았고, 결실기로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되었다. HPLC 분석 결과 크림손클로버 추출물에서 검출 된 p-hydroxybenzo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phenolic acid 함량들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헤어리베치 추출물에서는 coumarin, 호밀 추출물에서는 BOA와 caffe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이 개화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크림손클로버와 호밀 추출물에서 분석 물질들의 총 함량은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약용식물의 항균작용 탐색 (Screening of Antifung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for the Control of Turfgrass Fungal Disease)

  • 강재영;김대호;이동구;김인섭;전민구;이재득;김익휘;이상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0-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7종의 약용식물(송절, 지구목, 측백, 대풍자, 유백피, 은행잎, 참오동나무)을 사용하여 잔디의 주요 병원균 6종(R. solani AG 2-2(IV), R. solani AG-1 IB, Pythium sp., S. homoeocarpa, R. cerealis, C. graminicola)을 대상으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진균 활성이 있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추출물을 사용하여 균사생육 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 한 결과 7종의 약용식물 중 송절, 측백, 유백피 등 3종의 추출물에서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절 추출물 1,000배 처리에서 Pythium sp.에 대하여 100%, C. graminicola에 대하여 84.3%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ythium sp.에 대해서는 5,000배 처리에서도 89.5%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Pyrazole계(系)와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피(Echinochloa crusgalli)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미치는 상호작용(相互作用) (Interaction of Pyrazole - and Chloroacetamide Herbicide Combinations in Control of Echinochloa crusgalli)

  • 권용웅;성기영;소창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3
    • /
    • 1985
  • Pyrazole계(系) 제초제(除草劑) pyrazolate, pyrazoxyfene 및 benzophenap과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및 pretilachlor의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피에 대한 살포작용(殺草作用)에 있어서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천판(千坂)의 등효과선법(等效果線法)과 Colby의 상호작용검정법(相互作用檢定法)으로 검정(檢定)해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yrazole계(系)의 10a당(當) 300g ai 수준(水準)에서의 피의 생육억제율(生育抑制率)은 pyrazolate 경우 1.5엽기(葉期) 피해 eoo 44%, pyraxoxyfene 경우 1.5엽기(葉期) 피에 대해 64%이었고, benzophenap의 피 초엽기에 60% 억제(抑制)할 뿐 1엽기(葉期) 이상(以上)에서는 억제(抑制)하지 못하였으며, chloroacetamide계(系)의 경우 butachlor는 150g ai/10a 수준(水準)에서, 그리고 pretilachlor는 20g ai/10a 수준(水準)에서 1.5엽기(葉期) 피를 99% 정도(程度) 억제(抑制)하였다. 2. Pyrazolate와 butachlor의 혼합처리(混合處理), pyrazoxyfene과 pretilachlor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피 1.5엽기(葉期) 또는 초엽기에 모두 상승적(相乘的)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보였는데 상호적(相互的)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정도(程度)는 pyrazolate/but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2.4) > pyrazoxyfene / pretil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 = 1.62) > benzophenap / but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1.52) 순위(順位)이었다. 3. Pyrazole계(系)와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피의 생육(生育) 90% 억제등효과선상(抑制等效果線上) 최고(最高)의 공역효과(共力效果)가 나타난 약량수준(藥量水準) 및 약량비율(藥量比率)은 pyrazolate/butachlor 혼합(混合)의 경우 187g/14g ai/10a (1:0.075)이었고, pyrazoxyfene/pretilachlor 조합(組合)의 경우 330g/3.3g ai / 10a(1:0.01)이었으며, benzophenap/butachlor의 경우 335g/52g/ ai/10a(1:0.15)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