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emergenc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5초

착색(着色)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발생(發生)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1985
  • 1. 화간(畫間) 지온(地溫)은 나지(裸地), 투명(透明) 및 청색(靑色)필름에서 높은 반면, 흑색(黑色) 및 녹색(綠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한 경우에 낮으며 투광율(透光率)도 흑색(黑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2. 바랭이, 쇠비름, 망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잡초는 투명(透明)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으나 흑색(黑色)필름에서는 불량(不良)하였다. 청색(靑色)필름에서 쇠비름, 강아지풀과 털비름의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된 반면, 망초, 메귀리, 명아주, 바랭이, 망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는 녹색(綠色) 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었다. 3.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투명(透明)필름에서 가장 많았고, 나지(裸地)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으나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매우 적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4.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中)은 투명(透明)필름과 나지(裸地)에서 매우 높은 반면,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현저하에 감소(減少)되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의 생장(生長)이 완전히 억제(抑制)되었다.

  • PDF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

환삼덩굴의 출아예측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 of Humulus japonicus)

  • 송종석;박민원;임수현;김도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0-57
    • /
    • 2010
  • 본 연구는 환삼덩굴의 생태적 자연출아를 서울과수원의 자연포장 조건에서 평가하여 환삼덩굴의 지역별 출아시기를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환삼덩굴의 일별 및 유효적산온도별 누적 출아율을 Gompertz 모델을 이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Gompertz 모델은 환삼덩굴의 출아를 지역에 상관없이 양호하게 설명하였으며 환삼덩굴의 최초 출아 유효적산온도는 $56.7^{\circ}C$이며, 최대출아율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는 $76.3^{\circ}C$로 계산되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지난 10년간의 지역별 일평균기온을 바탕으로 최초 출아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 $56.7^{\circ}C$에 도달하는 시기를 예측한 결과 대구가 3월 21일로 가장 빨랐고 광주(3월 26일), 전주(3월 29일), 대전(3월 30일), 서울(4월 1일), 수원(4월 4일), 춘천(4월 6일), 철원(4월 12일) 순이었다. 같은 방식으로 최대출아율의 50%에 도달하는 출아시기를 예측한 결과 대구가 3월 25일로 가장 빠르며 광주(3월 30일), 전주(4월 2일), 대전(4월 3일), 서울(4월 5일), 수원(4월 8일), 춘천(4월 9일), 철원(4월 15일) 순이었다.

목초의 출아에 미치는 온도와 토양수분의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on Emergence of Forage Grasses)

  • 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4
    • /
    • 1998
  • The present study elucidates of the effect of less water stres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 on the emergence of forage grasses. Water condition was controlled to 30% and 60% by water content by wet soil. The mean temperature is conducted by $10^{\circ}C$ (out side) and $20^{\circ}C$ (glass ho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ean emergence time and emergence day after sowing of grass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water content of soil and temperature. It was suggested that temperature was very important for the light competition with weed in the early growth of grass. 2. Accumulatied emergence of grasses was nat afected by temperature, but it was sensitively affected by water content of soil.

  • PDF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of Ammannia coccinea 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 Shen, Xiangri;Pyon, Jong-Yeong;Kim, Do-Soo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3
    • /
    • 2010
  •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미국좀부처꽃의 발아 및 출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물생장상에서 페트리 디쉬와 포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35/30^{\circ}C$와 0 bar의 삼투포텐셜 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잘되었으나 온도가 $15^{\circ}C$ 이하나 $40^{\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이 -2.0 bar 이하와 암조건에서 발아되지 않았다. 출아의 최적온도는 $35/30^{\circ}C$로 판단되며 이 조건에서 파종 후 7일차에 출아가 개시되어 10일차에 최대 출아율에 도달하였으며, 온도가 $15/10^{\circ}C$ 이하나 $40/35^{\circ}C$ 이상 조건에서는 출아가 안 되거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파종심도의 증가에 따라 출아율은 현저히 감소하여 3 cm 이상의 파종심도에서는 출아하지 않았다. 비선형회귀분석을 한 결과 파종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미국좀부처꽃의 누적 발아 및 출아는 Gompertz 모델로 잘 설명되었으며 삼투포텐셜에 따른 발아와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는 logistic 모델로 잘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좀부처꽃은 광발아성으로 발아 및 출아 가능 온도는 $15^{\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은 -2.0bar 이상, 토양심도는 3 cm 이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물개구리밥(Azolla)이 논 잡초 발생, 질소공급 및 쌀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zolla Incorporation During Paddy Cultivation on Weed Control, Nitrogen Supply and Rice Yield)

  • 신종희;한채민;권중배;원종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71-278
    • /
    • 2021
  • 논에서 개구리밥의 수면피복은 잡초의 초종, 본수, 생체중의 감소로 잡초발생억제 효과가 있었다. 개구리밥 초종 중 물개구리밥(Azolla)을 처리한 경우 잡초 억제 효과와 더불어 제초하지 않음에도 수량성의 감소는 없었으며 이듬해 토양에 유기물 함량을 높임으로서 토양비옥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개구리밥은 증식이 빠르고 벼 재배시 수량 증가, 암모니아 휘산 방지, 잡초억제 등의 효과가 있으며, 오염된 수질에서는 중금속 제거 효과도 뛰어나 녹비용 사료용 가치 등 농업적가치가 뛰어난 자원이다. 한국에서는 월동을 시켜야 하는 등의 일부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 활용가치가 뛰어나고 관리가 용이 하므로 친환경 농업의 발전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와 현장 적용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Weed Interference and Starter Fertilizer on Subsequent Seed Germination and Vigour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 Mohammadi, G.R.;Amiri, F.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4
    • /
    • 201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ed interference and starter fertilizer on subsequent soybean seed quality at the Agricultural Research Farm and Laboratory of Razi University, Kermanshah, Iran. Two factorial experiment was laid-outo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irst factor was starter fertilizer levels (0 and 25 kg $ha^{-1}$) applied in the forms of monoammonium phosphate, the second factor was different weed interference periods consisted of five initial weed-free periods (in which, plots were kept free of weeds for 0, 15, 30, 45 and 60 days after crop emergence (DAE) and then weeds were allowed to grow until harvest) and five initial weed-infested periods (in which, weeds were allowed to grow for 0, 15, 30, 45 and 60DAE, after which the plots were kept free of weeds until harvest). Full season weedy condition reduced 100-seed weight, seed germination percentage and seedling dry weight by 25.9, 13.3 and 22.5%, respectively and increased mean germination time and seed electrical conductivity by 55.8 and 24.3%,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full season weed-free control. However, the traits under study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when field was kept free of weeds for at least 45 DAE (R1) or weedy condition was continued for less than 30 DAE (V8). There w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eed biomass and seed weight (r = -0.93), so that when weed free condition was less than 45 DAE or weed infested period was continued for at least 30 DAE, soybean plants produced wrinkled and underdeveloped seeds with lower weights and qualities. Moreover, soybean seed quality reduction due to weed interference was more evident when starter fertilizer was applied and weeds interfered with soybean from the beginning of the growing season. Information from the present study is beneficial in soybean seed production systems and where farmers use the harvested seeds for the following planting.

올미의 출아(出芽) 및 방제(防除)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 (Effect of Varous Factors on Emergence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uel)

  • 한성수;양환승;근내성등;죽송철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2
    • /
    • 1985
  • 볏짚시용량(施用量)과 토양경도(土讓硬度)의 차이(差異)에 따른 올미의 출아상태(出芽狀態) 및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동일심도내(同一深度內) 공시(供試)한 올미괴경(塊莖)의 전출아일수(全出芽日數)가 길어지거나 동일자(同日字)에 출아(出芽)되는 수(數)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토양(土壞)의 경(硬) 연(軟)에 관련(關聯)없이 1~3cm치상(置床)에서는 출아일수(出芽日數)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5~7cm심도(深度)에서는 무진압구(無鎭壓區)에서 출아일수(出芽日數)가 길었고 동일자(同日者)의 출아수(出芽數)도 적었다. 3. butachlor - 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2~3kg prod./10a 처리약량(處理藥量)에서는 올이괴경(塊莖)이 클수록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올미괴경(塊莖)의 크기에 관계없이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동일약량수준(同一藥量水準)에서 올미에 대한 본(本)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발생심도(發生深度)가 깊을수록 그리고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떨어졌다. 5. 2~3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늦을수록 butachlor-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올미방제효과(防除效果)가 떨어지고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로 증가(增加)하였으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올미 7~7.5 엽(葉)까지 효과(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6. butachlor - naproanilide의 올미 방제효과(防除效果)는 2~4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보다 0cm 6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떨어졌다.

  • PDF

Echinochloa glabrescens 발아(發芽)에 대한 담수심(湛水深)과 경운(耕耘)의 영향(影響) (Effect of Standing Water and Cultivation on Emergence of Echinochloa glabrescens)

  • 김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8-32
    • /
    • 1988
  • Echinochloa glabrescens 발아(發芽)에 대한 담수심(湛水深)과 경운빈도(耕耘頻度)의 영향(影響)을 논조건하(條件下)에서 파종방법(播種方法)을 달리하여 4개월(個月)동안 조사(調査)하였다. 총발아수(總發芽數)는 종자(種子)의 토양혼화(土壤混和)에서 포화상태(飽和狀態)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 2, 8 cm 순(順)이었던 반면에 토양표면(土壤表面)에 파종(播種)한 조건(條件)에서는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cm, 포화토양(飽和土壤), 8cm 담수심(湛水深)의 순(順)이었다. 파종후(播種後) 2주(週) 이내(以內)의 발아(發芽)는 종자토양혼화(種子土壤混和) 조건(條件)에서는 4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고,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反面)에, 토양표면(土壤表面)에 파종(播種)한 조건(條件)에서는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다. 4개월(個月) 동안의 총발아(總發芽)에 대한 2 주(週) 이내(以內)에 발아(發芽)된 비율(比率)은 종자(種子) 토양혼화(土壤混和) 조건(條件)에 서는 2 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낮았는데 이것은 2cm 담수심(湛水深)이 E. glabrescens 의 한계담수심(限界湛水深)임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종자(種子)가 경운전(耕耘前) 2 주(週) 이내(以內)에 발아(發芽)되기 때문에 발아양상(發芽樣狀)은 모든 담수심(湛水深)에서 경운(耕耘)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 PDF

전남지역 논 조건에서 무경운 재배가 콩의 생육, 수량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Tillage on Soybean Yield and Weed Emergence in Drained Paddy Field Condition in Jeonnam Province)

  • 김동관;천상욱;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9-9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oybean growth and yield and the degree of weed emergence according to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wo different drained paddy fields, loam of Chilgok series and silty clay loam of Deokpyeong series. In both soil conditions, the maturing time of the soybeans by the no-tillage system was two days earlier than that by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he loam of Chilgok series, the stem length of the soybeans in the no-tillage system was 5.7 cm long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The miss-planted rate and diseased plants of black root rot (Calonectria iliacola)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9.2% and 2.8% low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lso, the nodulation and seed yield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32% and 13% mor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he silty clay loam of Deokpyeong series, the stem length of the soybeans in the no-tillage system was 4.6cm shorter than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The diseased plants of black root rot (Calonectria iliacola)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4.2% lower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ed yield between the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s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wer occurrence of weed in the no-tillage system than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nd the income increased by 19% owing to yield increase and reduced management co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