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control technology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5초

제초제 저항성작물에서 잡초관리기술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Management in Herbicide-Resistant Crops)

  • 변종영;장규섭;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21-229
    • /
    • 2013
  • 우리나라에서 제초제 저항성작물의 개발과 저항성작물의 실용화 재배가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 및 잡초방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잡초방제 방향과 전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작물에 대한 약해 없이 한 가지 제초제만을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광범한 잡초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획기적인 잡초관리 기술의 하나이다. Glyphosate 저항성 형질전환 콩, 옥수수, 캐놀라, 면화에서 glyphosate 사용은 단순한 잡초방제법으로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잡초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작물에 glyphosate와 glufosinate에 모두 저항성인 이중저항성작물은 옥수수, 콩, 면화에서 개발되어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기존 제초제 기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glyphosate를 ALS 저해형 제초제, 합성옥신 제초제, HPPD 저해형 제초제 혹은 ACCase 저해형 제초제를 포함한 새로운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가까운 장래에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작물만으로는 잡초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작용기작 제초제의 교호사용, 기계적, 경종적 방법을 통합한 종합적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

기계이앙답에서 무인헬기를 이용한 imazosulfuron·mefenacet의 잡초방제효과 (Application of remote-controlled aerial application to control weeds on the paddy field using imazosulfuron·mefenacet)

  • 원옥재;김봉현;박경미;박수혁;변종영;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473-476
    • /
    • 2012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rbicidal efficacy of imazosulfuron mefenacet by using remote-controlled aerial application (RCAA) to control annual and perennial weeds in rice paddy field. Eight annual weed species including Echinochloa crus-galli L. and three perennial weeds were domina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Application of imazosulfuron mefenacet using RCAA was highly effective to control both annual and perennial weed species. No phytotoxic effect was observed in the rice based on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tillers. Finally, rice yield in the imazosulfuron mefenacet treatment was as much as that in the hand weeding. This study indicates that imazosulfuron mefenacet using RCAA can be applied to control both annual and perennial weed species in rice paddy field.

중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 및 대책 (Herbicide Resistance Challenge in Paddy Field of China)

  • 오명근;서봉;양덕량;양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0-173
    • /
    • 2012
  • China is one of most important countries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herbicide. Although the chemical weeding technolog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in Chinese, it led to the negative effects to agriculture. In particular, the weeds resistant herbicide in paddy field had been serious challenge for safe production of rice. The chemical control technology for weed resistant herbicide with effective, low cost and safety characteristic will be key problem being solved in futhure.

비닐하우스 내 조 재배시 저농도 에탄올을 이용한 잡초억제 효과 (Weed Control Technology with Low Concentration Ethanol in Protected Cereal Crop Cultivation)

  • 황재복;윤을수;박창영;정기열;최영대;전승호;이용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5-120
    • /
    • 2012
  • 딸기 등 시설후작으로 조 등 잡곡의 재배를 위해 잡초 및 토양소독을 위해 저농도 에탄올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토양의 산화환원전위는 저농도 에탄올 처리 2일 후 -200~-400mV로 최저를 보였고, 에탄올 처리 후 토양 미생물 밀도는 처리 전에 비해 세균, 방선균은 증가하였으며, 곰팡이 밀도는 큰 변동이 없었다. 뿌리썩이선충는 50L $m^{-2}$, 100L $m^{-2}$에서 각각 97%, 98%로 방제 효과가 있었다. 잡초방제가는 75L $m^{-2}$, 100L $m^{-2}$ 처리량에서 30일 후에는 각각 96%, 98%이었으며, 50일 후에는 각각 92%, 84%이었다. 저농도 에탄올 처리량별 조의 수량은 물을 처리한 구와 처리량이 25L $m^{-2}$와 50L $m^{-2}$구에서는 수량이 없었고, 75L $m^{-2}$, 그리고 100L $m^{-2}$구에서는 각각 1,570kg $ha^{-1}$, 그리고 1,230kg $ha^{-1}$이었다.

옥수수밭 난방제(難防除) 잡초(雜草) 어저귀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방제(防除)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butilon theophrasti, Troublesome Weed in Corn Fields)

  • 이인용;박재읍;류갑희;박태선;오세문;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68
    • /
    • 1997
  • 사료용(飼料用) 옥수수 포장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외래잡초(外來雜草)인 어저귀의 발생분포(發生分布),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 및 약제방제(藥劑防除)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료작물용(飼料作物用) 옥수수 재배면적(我培面積)이 넓은 경기(京幾),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全南北) 등(等) 17개(個)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어저귀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경기도(京幾道) 지역(地域)이 사료용(飼料用) 옥수수를 엔씨레지용(用)으로 이용(利用)함으로써 어저귀의 발생정도(發生程度) 및 발생량(發生量)이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지역(全南北地域)보다 높았다. 2. 어저귀 종자(種子)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15~$20^{\circ}C$ 내외(內外)이고, 1~5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73~93%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3. 어저귀 방제(防除)를 위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펜디유제, 리누론수화제 및 펜디 리누론유제 이며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는 어저귀가 발생(發生)된 후(後)인 파종후(播種後) 10일(日) 경(頃)에 처리(處理)하는 것이 방제효과(防除效果)가 가장 높았으며 초기(初期) 옥수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적었다.

  • PDF

Benzobicyclon 혼합제의 제형 및 처리시기가 제초활성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ulation types and application timing of benzobicyclon-mixture on weed control and phytotoxicity of rice)

  • 원옥재;정종휘;송재은;박수혁;황기선;한성민;변종영;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311-31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formulations and application timings of benzobicyclon+penoxsulam+pyrzaosulfuron-ethyl (BPP) in rice field. BPP granule (GR) and tablet (TB) controlled more than 90% of four weed species 10 and 15 days after sowing in direct seeding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PP TB was highly effective to control herbicide resistant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both 10 and 15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BPP GR controlled 94.0 and 96.5% of S. juncoides and M. vaginalis, respectively 10 DAT, but its efficacy decreased to 88.5 and 49.8% respectively 15 DAT.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visual injuries were detected at 255 and 510 g a.i./ha of BPP. The yield of rice increased in both BPP GR and TB in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ased on these data, early application (10 DAT) of BPP GR and TB can be applied to provide effective weed control, especially in the field infested with herbicide resistant weed species.

세계 잡초연구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Weed Science in the World)

  • 이인용;박태선;최정섭;고영관;박기웅;서현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05-110
    • /
    • 2016
  • 세계 잡초연구자들이 세계잡초학회에서 발표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연구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7차 세계잡초학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59개국 52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9개 분야 625편이 발표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제초제 저항성잡초, 잡초생태, 농경지 및 비농경지의 잡초관리, 제초제 살포기술, 비화학적 잡초방제 등이었다. 이중 제초제 저항성잡초 연구분야는 전체 30%를 점유하여 향후에도 이들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설포닐우레아계 보다는 비선택성 제초제인 glyphosate, glufosinate-ammonium 저항성 잡초에 대한 발표가 많았다. 신규 제초제 개발은 synthetic auxin 작용기작의 제초제인 arylex, HPPD 저해제로 개발 중인 3가지 물질을 safener와의 합제 연구 등이 있었다. 그리고 세계 주곡작물인 옥수수, 밀, 벼 재배지에서 발생되는 제초제 저항성잡초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특히 잡초의 non-target site에 대한 저항성 연구가 집중적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없는 기생잡초에 대한 연구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예년에는 취급하지 않았던 비화학적 잡초방제 부문도 많았다. 향후에는 제초제 저항성 메카니즘 구명, 기생잡초 연구, 제초제 살포기술, 비화학적 잡초방제 등의 연구가 폭넓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계시각과 DGPS를 이용한 실시간 정밀방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Precision Spraying System Using Machine Vision and DGPS)

  • 조성인;정재연;김유용;남기찬;이중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2호
    • /
    • pp.143-150
    • /
    • 2002
  • Several researches for site-specific weed control have tried to increase accuracy of weed detection with machine vision technique. However, there is a problem which needs substantial time to perform site-specific spraying. Therefore, new technology for real-time precision spraying system is needed.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develope the new technology to estimate weed density and size in real time, and to conduct a real-time site-specific spraying. It would effectively reduce herbicide amounts applied for a crop field. The real-time precision spraying system consisted of a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with an error of 2 cm, a machine vision system, a geomagnetic sensor for correction of view point of CCD camera and an automatic sprayer with separately controlled nozzle. The weed density was calculated with comparison between position information and a pre-designed electronic map. The position information was obtained in real time using the DGPS and the machine vision. The electronic map contained a position database of crops automatically constructed when seeding. The developed system was tested on an experimental field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ccess rate of the spraying was about 61%.

벼 종이멀칭이앙 시 완효성비료 수준이 벼 생육, 잡초방제 및 질소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Levels on Rice Growth, Weed Control and Nitrogen Efficiency i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 전원태;양원하;노석원;김민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45-350
    • /
    • 2006
  • 본 시험은 벼 종이멀칭이앙 시 적정한 완효성비료의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작물과학원 벼 연구 포장 강서통에서 대안벼를 2004년 5월 28일에 중묘를 멀칭기계 이앙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완효성비료는 LCU (Latex Coated Urea, 21-7-9) 복비를 시용하였다. 피복재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PES $10{\mu}m$)+재생지를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처리내용은 관행질소시비량 ($110kg\;ha^{-1}$)을 기준으로 하여 완효성비료호 기준시비량의 60%, 80%구, 100%구와 관행 및 무질소구를 두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벼 멀칭이앙 시 모의 결주율은 무피복의 관행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잡초발생 및 방제가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잡초가 다양해지고 잡초방제가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벼 이앙 후 일수가 진전됨에 따라서 시비량이 많을수록 초장와 경수가 크거나 많아지는 경향이었고 완효성비료 80%구의 벼 생육이 관행시비구와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다. 엽색도와 토양 중 $NH_4{^+}-N$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량구성요소 중 $m^2$당 이삭수의 증가로 인하여 완효성비료 80%구가 관행과 수량 차이가 없었다. 농업적 질소이용 효율은 시비량이 적을수록 증가하였다. 벼 종이멀칭이앙 시 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잡초발생 및 방제가, 시비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행질소 시비량의 80%를 완효성비료로 이앙 전에 밑거름으로 전층시비 하는 것이 알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Increasing forage yield and effective weed control of corn-soybean mixed forage for livestock through using by different herbicides

  • Song, Yowook;Fiaz, Muhammad;Kim, Dong Woo;Kim, Jeongtae;Kwon, Cha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4호
    • /
    • pp.185-191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corn-soybean mixed forage under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site was selected and divided equally into 3 blocks. Each block was further divided into 5 plots that each plot had 15 square meter space ($3{\times}5$). Five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5 plots and herbicides were used under 5 herbicidal treatments, viz. 1) No herbicide (control); 2) Pendimethalin; 3) Linuron; 4) S-metolachlor and 5) Ethalflural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hrough SAS 9.1.3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p > 0.05) by any herbicide. However, arithmetically corn stalk height was highest in the field of Pendimethalin treatment, whereas highest soybean height was found in the field of S-metolachlor. Arithmetically dry matter (DM) yield was increased with herbicidal treatments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reatment. Relatively highest DM yield (130%) was recorded in the treatment of Ethalfluralin followed by Pendimethalin (126%), S-metolachlor (126%) and Linuron (108%)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reatment. The weed emerg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herbicidal treatments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 > 0.05), but the difference among herbicidal treatments was non-significant. It was concluded that weed emergenc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use of any tested herbicide. However, optimum DM yield can be achieved through using herbicides; Ethalfluralin, Pendimethalin and S-metolach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