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 moth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꿀벌부채명나방 뇌신경분비세포의 변태에 따른 변화 (Metamorphic Changes of th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s of Wax Moth Gafferfa mellonella during Metamorphosis)

  • 이봉희;강성훈;김민영;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0-133
    • /
    • 1989
  • 꿀벌부채명나방의 후기유충, 전용, 유충 직후용, 4일용, 성충2일전용, 성체에서 뇌를 적출하여 paraidehyde-fuchsin으로 분비활성 신경분비세포만을 염색하여 이 세포들의 분포, 수, 분비물질의 특성등이 변태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추적하였다. 위의 6변태단계 뇌의 뇌간부, 전뇌측부, 시엽근역부, 중뇌, 후뇌에서 4형의 신경분비세포가 동정되었다. 뇌간부에 있는 medial neurosecretory cell은 6변태시기 뇌에서 3-7개이며,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1개를 가지고 있는 성충2일전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3개씩 관찰되었다. 전뇌측부에서 관찰되는 lateral neurosecretory cell은 용기와 성충기에서 1-5개가 관찰되었으며 제IV형 신경분비세포가 가장 많았다. 시엽근역부에 분포하는 Optic-lobe neurosecretory cell은 4일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고 제I형 신경분비세포로 확인되었다. 중뇌에서 관찰되는 deuto 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성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는 제II형 신경분비세포이었다. 뇌에 있는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후기유충과 성충에서 3개와 1개가 각각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중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꿀벌부채명나방 종령 유충 지방체에 의한 아포리포포린-III의 흡수 (Apolipophorin-III uptake by the last larval fat body in the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 윤화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106-4110
    • /
    • 2013
  • 아포리포포린-III (apoLp-III)를 꿀벌부채명나방 종령 유충 혈림프에서 KBr 농도구배 초원심분리와 겔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100)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포리포포린-III가 꿀벌부채명나방의 종령 유충 지방체에 의해 흡수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종령 유충 지방체 조직을 FITC로 표지한 아포리포포린-III(FITC-apoLp-III)와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광현미경과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FITC-apoLp-III가 지방체 조직으로 들어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TC-apoLp-III가 유충 지방체로 흡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에서 유약호르몬 결합단백질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Juvenile Hormong Binding Protein from Whole Body Homogenates of the Wax Moth, Galleris mellonella Final Instar Larvae)

  • 안기흥;전상학;이경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9-64
    • /
    • 1998
  •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의 whole body에서 gel filtration 방법으로 유약호르몬 결합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column chromatography법과 전기영동법에 의해 등가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합단백질은 전기 영동법에 의해 32K, gel filtration 에 의해 28K의 상대적 분자량을 나타냈다. 또한, JH III에 대한 해리도는 3.9$\times$${10}^{-7}$M로 확인되었다.

  • PDF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spp. 및 Metarhizium spp. (Entomophathogenic Fungi, Beauveria and Matarhizium in the Southern Korea)

  • 이상명;추호렬;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42
    • /
    • 1997
  • 우리나라의 곤충병원성곰팡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5개도와 3개 광역시에서 200개소의 토양 sample을 채집하여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8종의 곤충 사체로 부터는 직접 분리하였다. 그 결과 40개소(20.0%)의 토양과 8종의 곤충 사체에서 곰팡이가 분리되었는데, 토양에서 분리된 균종별로는 Bequveria가 21개소(10.5%), Metarhizium이 19개소(9.5%)이었다. 그외 7종의 곤충에서 Beauvria가 분리되었다. 서식처별로는 산림 110개소중 25개소(22.7%), 경작지 20개소중 2개소(11.0%), 휴한지 11개소중 6개소(54.5%), 하천 제방 19개소중 7개소(36.8%)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가 검출되었다. 한편, 곤충 사체에서는 긴수염 대벌레에서 Metarhizium이 분리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Beauveria가 분리되었다.

  • PDF

꿀벌부채명나방의 성충 난소에 의한 아포리포포린-III의 흡수 (Apolipophorin-III uptake by the adult ovary in the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 윤화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20-624
    • /
    • 2009
  • 아포리포포린-III를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 혈림프에서 젤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100)와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CM-52)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포리포포린-III가 꿀벌부채명나방의 성충난소에 의해 흡수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성충난소조직을 형광물질로 표지한 아포리포포린-III와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결과를 형광현미경과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형광물질로 표지된 아포리포포린-III가 성충난소로 흡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Dual Biocontrol Potential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for Both Aphids and Plant Fungal Pathogens

  • Kang, Beom Ryong;Han, Ji Hee;Kim, Jeong Jun;Kim, Young Cheol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440-447
    • /
    • 2018
  • Dual biocontrol of both insects and plant pathogens has been reported for certain fungal entomopathogens, including Beauveria bassiana and Lecanicillum spp.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for the first time, the dual biocontrol potential of two fungal isolates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as Isaria javanica. Both these isolates caused mortality in the greater wax moth, and hence can be considered entomopathogens. Spores of the isolates were also pathogenic to nymphs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with an $LC_{50}$ value of $10^7spores/mL$ 4 days after inoculation and an $LT_{50}$ of 4.2 days with a dose of $10^8spores/mL$. In vitro antifungal assays also demonstrat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two fungi that are pathogenic to pepper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Phytophthora capsic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 javanica isolates could be used as novel biocontrol agent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aphids and fungal diseases, such as anthracnose and Phytophthora blight, in an integrated pest management framework for red pepper.

토양수분과 관수량이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and Irrigation on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 이동운;최우근;이상명;김형환;추호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7-85
    • /
    • 2006
  • Entomopathogenic nematodes (EPNs) have been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various agro-forest insect pests, and are especially effective against soil-dwelling insect pests. Effect of soil moisture on pathogenicity of commercial EPNs for white grub control was evaluated in laboratory, pots, and golf courses. Pathogenicity of EPNs in sand column was variable depending on depth, soil moisture, and EPN species or strain. All tested EPNs (Heterorhabditis sp. GSNUH1, Heterorhabditis sp. GSNUH2,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and S. longicaudum Nonsan strain) showed similar pathogenicity against the bait insect, great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arva at 2 cm deep at a given soil moisture. However, pathogenicity of the Heterorhabditis sp. GSNUH1 strain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moisture. Pathogenicity of S. carpocapsae GSN1 strain was the lowest in 3% soil moisture (v/w) at 7 cm depth.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thogenicity between Heterorhabditis sp. GSNUH2 and S. longicaudum Nonsan strain. Although pathogenicity of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strain showed no difference against the 2nd instar of Exomala orientalis, that of the S. carpocapsae GSN1 strain was decreased in the laboratory depending on soil moisture. Highly pathogenic strain EPN,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strain, showed higher pathogenicity at 100 mm irrigation than non-irrigation or 10 mm irrigation. However, poor pathogenic strain EPN, S. carpocapsae GSN1 strain, was not different in pathogenicity from the 2nd instar of Exomala orientalis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depending on irrigation amount in the pot. Pathogenicity of EPNs in field experiment at the tee of Ulsan golf club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in the pot experiment.

접종농도가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Nematoda: Steinernematidae)의 병원성과 발육 증식 및 체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culation Concentration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Propagation and Body Length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arenarium (Nematoda: Steinernematidae))

  • 한건영;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1-67
    • /
    • 2010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접종농도가 병원성, 발육, 증식 및 체장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병원성은 S. arenarium의 접종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높아졌는데, 5마리 접종농도에서는 82%의 치사율을 보였고, 10마리 이상의 접종농도에서는 98%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기주체내에 정착한 선충수는 5, 10, 20, 40마리 접종농도에서는 각각 2.7, 5.0, 7.4, 12.2마리였으며 80마리와 160마리 접종농도에서는 24.3마리와 40.2마리였다. 접종농도는 암컷의 평균 체장(4,616 to 6,444 ${\mu}m$)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수컷의 체장(1,600 to 1,934 ${\mu}m$)에는 영향을 주었으며 왜화 암컷(stunted female)의 발생은 80마리와 160마리 접종농도에서 각각 70.2%와 63.7%로 높게 나타났다. 5, 10, 20, 40, 80, 160마리의 접종농도에서 증식수는 각각 20,431, 26,696, 47,943, 50,516, 58,701, 74,235마리였다 S. arenarium의 침입태 유충의 체장은 접종농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636~1,496 ${\mu}m$ 범위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성충 정소에 의한 아포리포포린-III의 흡수 (Apolipophorin-III uptake by the adult testes in the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 윤화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9-203
    • /
    • 2016
  • 아포리포포린-III (apoLp-III)를 꿀벌부채명나방 종령 유충 혈림프로부터 KBr 농도구배 초원심분리와 겔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G-100)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KBr 농도구배 초원심분리가 끝난 후, 리포포린을 제외한 분획 (lipophorin-free fractions)을 겔크로마토그래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후 sodium dodecyl sulfate (SDS)-전기영동으로 apoLp-III의 정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충 혈림프로부터 정제된 apoLp-III가 꿀벌부채명나방의 성충 정소에 의해 흡수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우화한 지 1일 또는 2일된 성충으로부터 성충 정소를 차가운 링거액에서 분리한 후 조직 배양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순수 정제한 apoLp-III를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인 형광물질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와 상온에서 계속 저어가면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ITC로 표지된 apoLp-III (FITC-labeled apoLp-III)를 Sephadex G-25 PD-10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확인하였다. 정제된 FITC-labeled apoLp-III와 성충 정소 조직을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광현미경 (fluorescence Axioskop microscope)과 SDS-전기영동을 이용하여 FITC-labeled apoLp-III가 정소 조직으로 들어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TC-labeled apoLp-III가 성충 정소로 흡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한 동시 교미교란제의 현장 적용 기술 (Field Application Techniques of Simultaneous Mating Disruptor Against Grapholita molesta and G. dimorpha)

  • 조점래;박창규;박일권;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9-220
    • /
    • 2018
  •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 MD) 기술이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동시에 교미교란(simultaneous MD, SMD)하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 SMD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MD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처리 지점에 10 mg의 성페로몬을 여러 가지 밀도로 사과나무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 농도 가운데 두 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MD 효과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SMD 효과는 왁스 및 polyethylene 제형 모두에서 나타났다. 두 사과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 농도로 3월 말에 1회 처리한 경우 수확기까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해 효과적 교미교란을 유지시켰다. 인근 무처리 과수원에서 SMD 처리 과수원으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된 암컷의 이입을 막기 위해 울타리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다. 암컷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해 6종류의 사과 과실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가운데 terpinyl acetate (TA)가 선발되었다. 서로 다른 TA 농도 처리에서 0.05%가 성충 유인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A와 설탕을 혼합한 것을 암컷유살제(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 FAKT)라 명명하였다. 사과 과수원 가장자리를 따라 6 m 간격으로 FAKT를 설치한 울타리 처리는 교미된 암컷을 포획하였고, 이들은 난황형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었다. FAKT가 가미된 SMD 처리는 높은 MD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SMD 단독 처리에 비해 신초 피해를 현격하게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