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ve periods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6초

Analytical study on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s of hybrid floating structure

  • Jeong, Youn-Ju;Lee, Du-Ho;Park, Min-Su;You, Young-Ju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35-53
    • /
    • 2013
  • In this study, a hybrid floating structure with cylinder was introduced to reduce the hydrodynamic motions of the pontoon type.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is composed of cylinders and semi-opened side sections to penetrate the wave impact energy. In order to exactly investigate the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 of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under the wave loadings, integrated analysis of hydrodynamic and structural behavior were carried out on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Firstly, the hydrodynamic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hybrid and pontoon models. Then, the wave-induced hydrodynamic pressures resulting from hydrodynamic analysis were directly mapped to the structural analysis model. And, finally, the structur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hybrid and pontoon mode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learned that the hybrid model of this study was showed to have more favorable hydrodynamic motions than the pontoon model. The surge motion was indicated even smaller motion at all over wave periods from 4.0 to 10.0 sec, and the heave and pitch motions indicated smaller motions beyond its wave period of 6.5 sec. However, the hybrid model was shown more unfavorable structural behavior than the pontoon model. High concentrated stress occurred at the bottom slab of the bow and stern part where the cylinder wall was connected to the bottom slab. Also, the hybrid model behaved with the elastic body motion due to weak stiffness of floating body and caused a large stress variation at the pure slab section between the cylinder walls. Henc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some alternatives which could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imple modification of structural details were proposed.

한국 코로나19 유행기에 대한 제안 (Suggestions for Setting on Period of Epidemic Waves in COVID-19 Epidemic of South Korea)

  • 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2호
    • /
    • pp.61-66
    • /
    • 2022
  • Objectives: In the epidemiology of communicable diseases, the term epidemic period, also referred to as "wave" is often used in the general and academic milieu. A wave refers to a natural pattern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sick individuals, a defined peak, and then a decline in the number of cases. It implies a pattern of peaks and valleys after a particular peak is taken. The idea of epidemic waves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the course as well as helping to accurately describe an epidemic. However, in many domestic and foreign news as well as in various research results in Korea, most of the reports either had no standard, were inaccurate, had a questionabl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of the epidemic, or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of a given wave was not presented. Methods: The author reviewed and organized related literature with epidemic wave. The author made several suggestions of an epidemic wave as follows. Results: To start with, it should be based on the number of incident cas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outbreak, then the period from the bottom to the peak and then reaching the next bottom; also, the period over a certain scale based on the number of incident cases; and the perio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jor infection type (mutation-dominant spec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change in the vaccination rate (formation of herd immunity), as well as the content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that i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pplied quarantine stage.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of epidemic periods by the time-dependent reproduction number or time-varying reproduction number (Rt), and lastly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ethodology. Conclusions: Therefore, classifying the epidemic period into generally known and accepted time frames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task for future research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잡음 상호상관 기법을 이용한 한반도의 표면파 토모그래피에 대한 연구 (Surface wave Tom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by Noise Cross-correlation Method)

  • 조광현;강익범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33-136
    • /
    • 2007
  • 한반도의 단주기 표면파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기상청 지진관측망에서 관측된 지진자료에 잡음의 상호상관기법(Campillo and Paul, 2003; Shapiro et al., 2005)을 적용하였다. 다론 시간에 관측된 지진자료의 에너지를 평준화시키기 위해 1 비트 샘플링 방법이 아닌 화이트닝 기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상호상관기법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잡음상호상관기법으로 얻어진 그린함수에서 다중필터기법으로 군속도를 계산하였다. 군속도를 역산하여 0.5 - 20 초 주기에서 표면파 분산의 공간적인 변화를 이미지화하였다. 사용된 토모그래피 역산기법은 각 주기의 공간적인 이미지 뿐만 아니라 주기함수인 분산 곡선을 동시에 구하기 위하여 모든 주기의 군 속도자료를 역산하였다. 역산결과, 한반도 남동부 지역인 경상분지에서 낮은 군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SPICULE MAGNETIC FIELD USING OBSERVED MHD WAVES BY THE HINODE SOT

  • Kim, Yeon-Han;Bong, Su-Chan;Park, Young-Deuk;Cho, Kyung-Suk;Moon, Yong-Jae;Suematsu, Yoshinori
    • 천문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73-180
    • /
    • 2008
  • Using the MHD coronal seismology technique, we estimated the magnetic field for three spicules observed in 2008 June. For this study, we used the high resolution Ca II H line ($3968.5\;{\AA}$) images observed by the Hinode SOT and considered a vertical thin flux tube as a spicule model.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estimate the spicule magnetic field using the Hinode observation. From the observed oscillation properties, we determined the periods, amplitudes, minimum wavelengths, and wave speeds. We interpreted the observed oscillations as MHD kink waves propagating through a vertical thin flux tube embedded in a uniform field environment. Then we estimated spicule magnetic field assuming spicule densities.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e observed three oscillating spicules having durations of 5-7 minutes, oscillating periods of 2-3 minutes, and transverse displacements of 700-1000 km. (2) The estimated magnetic field in spicules is about 10-18 G for lower density limit and about 43-76 G for upper density limit. (3) In this analysis, we can estimate the minimum wavelength of the oscillations, such as 60000 km, 56000 km, and 45000 km. This may be due to the much longer wavelength comparing with the height of spicules. (4) In the first event occurred on 2008 June 03, the oscillation existed during limited time (about 250 s). This means that the oscillation may be triggered by an impulsive mechanism (like low atmospheric reconnection), not continuous. Being compared with the ground-based observations of spicule oscillations, our observation indicates quite different one, i.e., more than one order longer in wavelength, a factor of 3-4 larger in wave speed, and 2-3 times longer in period.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eepwater Waves along the Korean Coast)

  • 서경덕;권혁동;이동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42-354
    • /
    • 2008
  • 다양한 파랑 관측 및 후측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연안의 심해파 통계 특성을 연구하였다. 설계파에 준하는 큰 파랑에 대해서는, 유의파고와 유의파주기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1977년 Shore Protection Manual 공식과 2003년 Goda 공식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유의파고에 대하여 평균값으로 무차원화 시킨 유의파주기의 표준편차는 해역과 유의파고의 범위에 따라 0.04부터 0.21까지 변하며 전형적인 값은 0.1이다. 한반도 주변 106개 연안 격자점에서의 심해 주파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비교적 큰 파랑에 대한 방향분산계수 $s_{max}$의 확률밀도함수는 대수정규분포로 표시된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적합한 주파수 스펙트럼은 TMA 스펙트럼이다. 스펙트럼 첨두증대계수 $\gamma$의 확률밀도함수 또한 대수정규분포로 표시되며, 북해에서의 값과 비슷한 2.94의 평균값을 보인다.

어항의 항내 정온도 평가사례 및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Method for Harbor Tranquility of Fishery Harbor)

  • 탁대호;김귀영;전경암;이대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7-644
    • /
    • 2015
  • 항내 정온도 평가는 이상파 및 평상파 조건에 대해 수행이 되어야 하나, 어항개발 시 이루어지는 평가는 이상파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있다. 축산항, 교암항, 궁평항 및 시산항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해역이용협의 시 정온도 평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상항 모두 이상파에 대한 항내 정온도를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목표 정온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평상파에 대한 정온도는 가동률로 평가하며, 가동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필요하나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가동률에 대한 평가는 계획의 적정성과 관련 있는 평가항목이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과 어업인들의 정주환경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행이 필요하다. 정온도 평가를 위해서는, 정온도 평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수행되어야 하며, 평상파 및 이상파에 대한 평가절차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실효적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조석정보와 같은 파랑정보의 제공 및 정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다.

4개 변전소시설 부지 인근관측소의 지반증폭 특성 및 파형에너지 수준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Seismic Wave Energy Levels at the Sites near Four Electric Substations)

  • 유성화;김준경;위성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6
  • 실제 국내에서 관측된 가속도를 이용한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국내 내진설계 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증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현장에서 자주 적용되고 있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S파 및 레일리파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최근 Coda파 및 배경잡음 등에 확대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제한된 연구 기간 동안 4개 변전소시설 관측소 각각 2개 지점(노두 및 시추공)에서 운영되었고 본 연구는 4개 관측소의 노두에서 동시에 관측된 3개 중규모 지진의 가속도 지반진동(S파, Coda파 및 배경잡음)을 이용하여 지반증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 관측소 각각에 대해 기존 연구결과인 시추공 지반증폭 특성과 상호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 관측소 및 지점에서 지반의 우월진동수를 이용하여 각각 지반에 대한 등급분류도 시도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에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한다면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나타난 뇌파의 비동기화와 상관계수 (Desyncronizati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Brain Wave on Scientific Reasoning)

  • 이조옥;신애경;최병순;박국태;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6-233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뇌 신경세포 활동의 비동기화 정도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의 전극전위간의 상관계수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 그 가설을 이용하여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을 기술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설계, 인지갈등, 연계, 초인지등의 4단계의 과학적인 사고과정으로 이루어진 구슬굴리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와 안정상태의 뇌파를 19개의 두피전극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극전위간 상관계수가 작아질수록 뇌 신경세포의 비동기화 정도가 커졌으며, 안정상태에 비해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전극전위간 상관계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뇌세포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었다. 뇌파를 이용한 과학적 사고과정의 연구에서 뇌파의 주파수 특성뿐만 아니라 전극전위간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좀 더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기파랑관측자료와 수치실험에 의한 동해안 천해설계파고 검토 (Comparison of the Shallow-Water Design Wave Height on the Korean East Coast Based on Wave Observation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

  • 정원무;최혁진;조홍연;오상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292-3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의 4개 정점(속초, 묵호, 후포, 진하)에서 13년간 관측된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극치확률분석을 통해 재현빈도별로 천해설계파를 산정하였고, 이 값을 한국해양연구원(2005)에 제시된 동해안 심해설계파를 이용하여 SWAN 수치모델링로 계산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5년 기존 심해설계파의 수치실험 결과는 관측파랑에 의한 극치분석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년 빈도 이하에서 동해안에서의 기존 심해설계파고가 과소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서해에서 발생한 겨울철 고파의 관측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Observation Data for Winter-Season High Waves Occurred in the West Sea of Korea)

  • 오상호;정원무;김상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68-174
    • /
    • 2015
  • 우리나라 서해안 다섯 개 관측점에서 취득된 파랑자료를 분석하여 겨울철 서해에서 발생한 고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파가 발생하였던 네 시기를 선별하여 그 기간 동안의 파랑 및 기상자료를 함께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들 관측 기간 중 유의파고의 최대값은 2005년 12월 4일에 관측된 6.42 m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온대성저기압이 급속하게 발달할 때 서해상에 형성되는 강한 바람장에 의해 고파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파랑 관측점에서의 파고의 시간적 변화는 인근 기상관측점에서의 풍속의 시간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나타냈으며, 이는 서해상에서 생성된 고파가 풍파의 성격이 지배적임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