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quality criteria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6초

담수호 수질관리를 위한 측정자료의 통계적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monitoring data for freshwater lake water quality management)

  • 제갈선동;김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1호
    • /
    • pp.9-19
    • /
    • 2024
  • 본 연구는 공개된 수질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담수호의 수질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수질항목의 이상여부의 판단기준을 마련하며, 자료로부터 부영양화의 지표인 Chlorophyll-a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담수호 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서해안 담수호 3개소를 선정하여 약 20년간의 수질항목자료를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각 수질항목의 연중 주기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회귀식과 신뢰도 95%에서의 표준편차를 산정함으로서 이상 여부의 판단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불규칙한 관측일로부터 Chlorophyll-a의 시간적 변화율을 산정하고, 다른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서 수질측정 자료만을 이용하여 Chlorophyll-a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통계학적 모형에 의한 근사적인 수질예측방법으로서 향후 수질측정 자료의 양적·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담수호 수질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지하수 수질기준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quality standards of groundwater in Korea in comparing to the developed countries)

  • 방상원;정재현
    • 환경정책연구
    • /
    • 제4권2호
    • /
    • pp.57-82
    • /
    • 2005
  • 본고는 다가올 미래의 대체 수자원인 지하수의 효율적인 관리 보전을 위하여 선진국인 미국(뉴욕주, 위스콘신주, 텍사스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영국의 지하수 수질기준과 국내의 지하수 수질기준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하수 수질기준에 관한 선진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선진국에서는 음용수로써 지하수의 의존도가 70%이상에 달하며, 지하수 수질기준은 음용수 기준을 대체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국가간자연환경 및 규제의 접근방법이 달라 지하수 수질기준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지표수자원의 심각한 오염과 용수공급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점차 이용도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지하수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해 선진국들이 규제하고 있는 지하수 수질기준과 현재 국내에서 점차 지하수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물질들에 관한 추가적 규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유류성 물질인 BITX 기준항목의 경우, 항목을 세분화하여 생활용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공업용수에 대한 추가적 기준의 적용이 요구되며, 발암성을 지닌 일부 PAHs에 대한 규제도 필요하다.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유해화학물질이 다양해지고 그 양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준항목의 추가도입과 엄격한 기준치의 적용이 요구된다. 지하수오염의 주요 원인인 질소의 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항목 기준을 더욱 세분화하여야 할 것이며, 인간이나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해를 끼치는 방사성물질인 라돈 또한 일부 선진국에서 그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그로 인한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라돈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 PDF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유형별 환경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nvironment Assessment for the Various Type of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iparian Areas)

  • 주용준;사공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8-225
    • /
    • 2016
  • 수변지역은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보전과 수변경관의 훼손 방지 특히, 안정적인 상수원의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계획이 수립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수원보호구역과 수변구역 등 특정지역을 제외한 수변지역은 소규모 개발사업이 무분별하게 입지하게 되면서 하천의 수질 및 경관을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유형별로 동 식물, 지형 지질, 경관, 수질 등의 측면에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분석하고, 환경적 영향 정도에 따라 3-12점까지의 환경점수를 부여하여 중점검토사업과 일반검토사업, 간이검토사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유형별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별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수변지역의 소규모 개발사업을 합리적으로 규제하여 친환경적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배수관 플러싱의 수리적 현상과 배출수의 수질 특성 (Hydraulics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ushing in distribution pipes)

  • 안재찬;이수원;백광인;최영준;최재호;정의선;박현;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3-103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a unidirectional flushing program in distribution pipes by analysis of water pressure, velocity, quality, and other parameters during flushing.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lushed pipe length and the flushing duration was obtained $R^2=0.83$ and the equation $Y_{Time}=0.0571{\cdot}X_{Pipe\;length}+4.7648$ for 10 pipes. The averaged flushing velocity in the pipes, 1.1 m/s, was enough to remove loose deposits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s. 3 of 92 water samples taken during flushing met the National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for Fe and Mn, but not for Al. Turbidity less than 1 NTU is suggested for the appropriate criteria to finish flushing in pipe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turbidity and TSS was 0.95 and the equation was induced as $Y_{TSS}=1.2068{\cdot}X_{Turbidity}$. The amount of removed deposits could be estimated from the turbidity data of discharged water in field because turbidity and TSS in the discharged water is highly correlated.

소독부산물 제어를 위한 자연유기물(NOM) 제거와 고도정수처리공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and Application of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Controlling Disinfection By-Products)

  • 김현구;엄한기;이동호;주현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63-568
    • /
    • 2015
  • Natural Organic Matter (NOM) is a precursor of disinfection by products.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NOM concentration caused by a large amount of algae, the cre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is becoming a big issue. Therefore, in this study, PAC+Membrane+F/A hybrid process was organized to control disinfection by-products in small-scale water treatment plants. The optimal dosage of PAC was set at 20 mg/L through Lab. scale test. Also, it is judged that NOM concentration must be less than 1.0 mg/L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a of drinking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s of disinfection by-products during chlorination. The existing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was compared to the independent F/A process and the PAC+Membrane+F/A hybrid process through pilot plant operation,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need to apply an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to remove not only NOMs but also Geosmin caused by algae.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applying the PAC+Membrane+F/A process will help in controling a clogged filter caused by a large amount of algae and disinfection by-products created by chlorination and can be used as an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a of drinking water quality monitoring items.

현황분석을 통한 도시 소하천의 생태하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무거.여천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Eleme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Urban Stream through Present Condition Analysis - focused on the Yeocheon and the Mugeo stream -)

  • 김성철;이철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9호
    • /
    • pp.747-757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especially Mugeo and Yeochon which are being changed to ecological stream by Ulsan city, and to acquire the considerations such as the planning element and plan criteria of the streams for making ecological stream system. Water quality, water quantity, vegetation, in stream structures and facilities, and land usage of the streams were investigated and the build up capabilities of ecological stream for the two streams were also analyzed. Planning elements for restoration to ecological stream included physical and biological purification methods in water quality, short term water acquire alternatives in water quantity, and vegetation recovery plan and improvement of habitation environment in ecological system, respectively. Planing elements in physical structures and facilities also included recovery of concrete levee and removal and recovery of covered channel.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1.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Application of Ecosystem Model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Sea of Saemankeum Area -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s Released from Sediments-)

  • 김종구;김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8-355
    • /
    • 2002
  • To know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Saemankeum area, we were investigated the water quality of surface layer from July of 1999 to June of 2000. The concentrations of COD and chlorophyll a were in the range of $0.64\~6.40$ (mean 1.96)mg/L, $1.95\~51.55$ (mean 11,07)$mg/m^3$, respectively.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s of DIN, DIP were found to be 21.182 $\mu$g-at/L and 0,655 $\mu$g-at/L respectively, which were exceeding second grade of seawater quality standard. The nitrogen ratio to the phosphorus was lower than 1. Therefore, nitrogen w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hytoplankton growth as limiting factor in study area. Mean values of eutrophication index were exceeding 1, which was the eutrophication criteria. Especially Mankyung and Dongjin estuary were shown over 10 as eutrophication index. Therefore, Saemankeum area could be evaluated to possibility area for eutrophication. Released rate for ammonia nitrogen and phosphate phosphorus from sediments were 62.92 ${\mu}g-at/m^3/hr$ and 6.71 ${\mu}g-at/m^3/hr$, respectively.

NPS-WET 습지 모델링을 이용한 습지 증설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s on Wetland Expansion using NPS-WET Model)

  • 박종석;이경훈;한창화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3-402
    • /
    • 2017
  • 본 연구는 바이오파크 유역 내 인공습지에 대하여 습지규모와 수질개선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습지규모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에 대한 합리적인 규모 설계 및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인공습지의 0-100 % 증설범위의 설계별 시나리오 분석결과, '기존규모 대비 75 % 증설'의 경우, '기존규모의 현 상태 운영' 설계 기준과 비교하여 수질이 BOD5는 66.7 %, TSS는 69.9 %, T-N은 64.7 %, T-P는 85.5 %, Chl-a는 51.8 % 만큼 개선되어 가장 양호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4계절 중 여름철에 Chl-a를 제외한 수질항목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설계규모와 수질개선 효과간 정비례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흙-벤토나이트 혼합 차수재의 품질관리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of Soil-Bentonite Admixed Liner)

  • 정하익;이용수;홍승서;정길수;이회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7-504
    • /
    • 1999
  • This study presents the physical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bentonite admixed liner in I landfill. Main focus was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compacted soil-bentonite admixed and mechanisms governing low permeable properties of the admixed liner. Laboratory and field tests such as compaction, hydraulic conductivity, density, water content for the soil-bentonite admixed liner were carried out. Quality control criteria for the best construction of the soil-bentonite admixed liner was suggested through laboratory and field test results.

  • PDF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대상물질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of Water Quality Indicators as Target Pollutants for Total Maximum Daily Loads)

  • 박준대;오승영;박재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1-539
    • /
    • 2013
  • In order to apply a water quality indicator as a certain target pollutant, the indicator should have the representability of an index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Scientific groundwork and treatment technologies also should be provid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major water quality indicators for target pollutants.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water quality indicators of TOC, T-N, SS & T-Coli can be considered as target pollutants besides existing BOD and T-P. These indicators can be applied with the preparations such as essential basic data, pollution load estimation framework as well as legal criteria setting when the need is raised. As the importance of TOC, which is considered as a replacement of BOD, is emphasized, technical and institutional terms are being prepared in order to determine TOC as another target pollutant in the near future. It could be considered to combine TOC with BOD for the time being during the $3^{rd}$ stage of TMDLs in view of the present conditions for the management of TOC. TOC can be the most effective index for the organic matter and help to be managed more systematically in the waterbodies where rivers and lakes are mutually conn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