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level control

검색결과 1,956건 처리시간 0.032초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 growth regulators on the development of housefly, Musca domestica L., larvae)

  • 박정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7-146
    • /
    • 1998
  • 축산지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집파리 (Musca domestica)의 방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곤충생장조절 작용이 있는 몇가지 살충제와 imidacloprid 5% WP를 유충의 먹이에 섞어 줌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번데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는 1997년 경남 함양의 돈사(豚舍)에서 채집한 집파리를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등 IGR 계통의 살충제를 집파리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3령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높았고,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정상적인 번데기 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기형번데기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기형번데기의 형성에 의한 총사망율은 먹이에 섞어준 약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imidacloprid에서 각각 5 ppm, 3 ppm, 30 ppm, 5 ppm, 1,000 ppm이었고, tebufenozide는 1,000 ppm에서 91.7%의 사충율을 나타내었다.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에서 각각 100 ppm, 10 ppm, 300 ppm, 10 ppm이었으며, tebufenozide와 imidacloprid는 다른 약제에 비하여 집파리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떨어져서 각각 1,000 ppm과 300 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총사망율이 36.1%와 86.7%에 불과하였다. 집파리의 번데기가 외형상으로는 정상이라 하더라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무게가 감소하였다. Teflubenz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imidacloprid 처리에 의한 무게감소 현상이 뚜렷하였고, diflubenzuron 과 triflumuron은 무게 감소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IGR계통의 살충제는 유충을 치사시키거나 기형 번데기를 만들어 성충으로 우화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번데기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세대의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열 돈육 patty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연근 및 연잎분말 첨가 효과 (The Effect of Adding Lotus Root and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Patties)

  • 정인철;박현숙;최영준;박성숙;김민주;박경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83-79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lotus root and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patties. The patties were of four types: unadulterated (control, T0), 0.5% lotus root powder (T1), 0.25% lotus root and 0.25% lotus leaf powder (T2), and 0.5% lotus leaf powder (T3). We found that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T1 group, and that th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lowest in T1 (p<0.05). The ash content was lowest in T0 (p<0.05). The cooking yield and moisture retention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fat retention was the highest in T3 (p<0.05).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were also highest in T3, and the gumminess was lowest in T0 (p<0.05). The $L^*$ values tended to increase with longer storage periods, and that of T0 was the highest after nine days of the storage (p<0.05). By contrast, the $a^*$ values de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s (p<0.05), with that of T3 being the lowest (p<0.05) during storage periods. The water holding capacity de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s, and that of T1 was the highest (p<0.05) during storage periods. The pH of T1 decreased, and those of T2 and T3 in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p<0.05). TBARS values in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ose of T0, T1, T2 and T3 were 8.69, 2.95, 0.88 and 0.55 mg/kg, respectively, after nine days of storage (p<0.05).

Influence of Sugar Cane Diets and a High Fibre Commercial Diet on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in Local Caribbean Pigs

  • Xande, X.;Despois, E.;Giorgi, M.;Gourdinegi, J.L.;Archimedee, H.;Renaudeau,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90-98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milling by-product diet and two sugar cane diets on the local Creole pig breed (CR). A total of 48 CR pigs (24 females and 24 castrated 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different groups of 12 animals. Pigs were allotted to one of 4 dietary treatments: fed with a control soya-bean meal-corn diet containing 19.1% crude protein (CP) and 15.4 MJ DE/kg (diet 1), with an experimental milling by-product diet (soya-bean meal and wheat by-products) containing 19.4% CP and 13.0 MJ DE/kg (diet 2), with ground cane stalks (GCS) or with fresh sugar cane juice (SCJ). Both GCS and SCJ were supplemented with soya-bean meal complement (400 g/d of a 48.7% CP and 16.1 MJ DE/kg diet) in order to obtain diets 3 and 4, respectively. Pigs were fed close to ad libitum level and had free access to water. All the pigs were slaughtered at 65 kg BW. Between 30 and 65 kg BW, growth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p<0.001)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average daily BW gain was 657, 530, 546 and 200 g/d for diets 1, 2, 4, and 3, respectively. Average daily DM intake was 1.8, 1.9, 2.5 and 1.4 kg/d for diets 1, 2, 4, and 3, respectively. Fat cuts (backfat+leaf fat) and backfat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on diet 3 than for other treatments (127 vs. 192, 166 g/kg of left half-carcass weight and 24.6 vs. 39.0, 35.3 mm for diet 3 vs. diets 1 and 4, and diet 2, respectively; p<0.001). The dressing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on diets 2 (82.7 vs. 84.0%; p<0.001). The entire empty digestive tract (DT) weight was higher on diet 2 (73.1 vs. 66.7 g/kg empty BW). However, stomach and large intestine were more developed on diet 3: 12.8 vs. 9.3 g/100 g empty DT (p<0.001) and 26.4 vs. 23.8 g/100 g empty DT (p<0.05),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CR pig has the ability to reach rather good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with a well-formulated sugar cane meal and/or with a milling by-product diet refined according to its low requirements.

발효 사료 첨가가 돼지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with fermentation fe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 박원종;성창근;김건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41-49
    • /
    • 1997
  • 발효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사료 처리돈육은 실험돈육에 비해 일반성분에서 지방함량이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품질향상에 도움이 인정되었다. 2) 시료 돈육별 산패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색도는 실험돈육들보다 뚜렷하여 상품 가치가 인정되었다. 3)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비는 보통육 38.3% : 59.9%, 고급육 40.8% 57.8%, 발효사료 처리육 36.3% : 62.0%의 비율이었고, 필수지방산 함량은 보통육14%, 고급이 11.2%, 발효사료 처리육이 16.7%이었다. 4) 아미노산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고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보통육과 발효사료 처리육이 39%, 고급육이 41% 이었다. 5) 시료별 무기질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육즙 추출에 의한 보수력이 발효사료 처리육은 92%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열감량도 15.6%로 가공 및 조리에 다른 돈육보다 이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사료 내 생약물질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Herbal Mixture on the Lay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김찬호;강환구;황보종;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67
    • /
    • 2015
  • 본 실험은 구기자와 감초 복합제를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60주령의 산란계(Hy- Line Brown) 8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4처리구(HM 0.0, 0.5, 1.0 및 1.5% 첨가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5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조명=16hr)를 실시하였다.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은 7주 평균에서 HM 0.5%, 1.5%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HM을 첨가한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요구율은 HM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았다. 난황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반면, 혈액 성상 중 leukocytes 함량들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장 IgM 함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HM은 산란계의 산란율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면역성상중 IgM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회향의 간장기능 회복효과 (Effects of Fructus Foeniculi extract on recovering liver function)

  • 이장천;이은;오황;윤호석;하태광;홍은희;이영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3-218
    • /
    • 2007
  • Objectives : Effects of Fructus Foeniculi extract on liver function were investigated in carbon tetrachloride(CCl4) intoxicated rats. Methods : Thirty two male Sprague-Dawley rats with mean weight of $227.28{\pm}7.92g$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and housed with food and water ad libitum. Fructus Foeniculi extract was administerd at dose 100mg/kg/day and 200mg/kg/day p.o. for 2 weeks after that CCl4 was treated 3 times at dose of 2.5ml/kg, p.o. in alternate day basis. Then serum AFP(${\alpha}$-Fetoprotein), Total protein, Album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and ALP (Alkaline phosphat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amma}$-GT( ${\gamma}$-Glutamyl transferase), LDH(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with commercial kit by autoanalyzer. Results : Plasma ${\alpha}$-fetoprotei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Fructus Foeniculi extract-treated groups. However, plasma albumin concent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reatment groups. Activity of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Fructus Foeniculi extract-treated groups showed a low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kaline phosphat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Fructus Foeniculi treated groups. However, ${\gamma}$-glutamyl transferase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ed groups.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showed a high level in CCl4 intoxicated rats but not in Fructus Foeniculi treated groups. Conclusion : Review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appears that Fructus Foeniculi extract have recovering effect against liver injury.

  • PDF

랫트에서 WK-38에 대한 13주 반복경구투여 독성에 관한 연구 (Thirteen-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y of WK-38 in Rats)

  • 장보윤;김윤철;강대길;이호섭;김성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6
    • /
    • 2008
  • 죽상경화증(arteriosclerosis)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조성된 새로운 한방처방인 WK-38을 웅성과 자성 랫트에 13주간 반복 투여하여 독성을 평가하였다. WK-38은 대황(大黃, Rhei Rhizoma), 후박(厚朴, Magonoliae Cortx), 목단피(牧丹皮, Moutan Cortex Radicis)의 복합물로 구성되었다. 실험동물에게 5 mg/kg, 50 mg/kg 또는 500 mg/kg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투여기간 동안 사망, 일반증상, 섭이량, 섭수량, 및 체중증가 등을 관찰하였다. 투여된 WK-38 모든 용량에서 사망하는 개체는 없었다. 시험기간 동안 체중의 지속적인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안검사 및 뇨검사에서 모든 투척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WK-38 투여는 혈액학적 검사 및 혈액 생화학적 검사 결과 시험물질에 의한 독성학적 변화로는 판단되는 지표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본 시험 조건하의 WK-38의 랫트에 대한 13주 반복 경구투여 시험에서는 독성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무독성량은 500 mg/kg을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산화방지제가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Fish Oil)

  • 한대석;이옥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3-436
    • /
    • 1991
  • 식물체 추출물, 천연유래의 산화방지제, 향신료 추출물등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화방지 효과는 Rancimat을 이용한 가속시험(acceleration test)을 통하여 얻은 유지산화의 유도기간을 결정하여 비교하였는데 부추 깻잎, 귤, 마늘의 지용성 및 수용성 추출물, 구연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과 EDTA 및 selenium은 어유의 산화안전성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카페인산, quercetln, catechin, 갈산 라우릴 에스테르같은 플라본(flavone) 및 폴리페놀 계통의 화합물은 어유의 유도기간 4.0시산을 $2.2{\sim}3.8$배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라났다. 천연물 유래의 산화방지제 중 세사몰 0.1% 첨가구와 로즈마리 추출물 0.1% 첨가구의 유도기간은 각각 11.6시간과 16.4시간으로 산화방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0.02% 아스코르브산 또는 0.2% 델타 토코페롤과 병용될 경우에는 어유의 유도기간이 약 7배 연장되었는데 이는 각 산화방지제의 개별적인 산화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 사이의 상승효과에도 기인한 결과로 풀이된다.

  • PDF

제주도 어류양식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ish Farms on the Jeju-Island)

  • 문영건;하진환;강창희;송춘복;오명철;허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91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에서 성업 중인 육상 수조식 양식장 21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양어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에서 조사하였다. 식품 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특이할만한 점은 여름에 들어서면서 집중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비가 내렸다. 양어용수를 검사한 결과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는 각각 $0-3.3{\times}10^2 CFU/ml,\;0-2.2{\times}10^2CFU/ml\;and\;0-5.1{\times}10^1 CFU/ml$ 검출이 되었다. 또한 사료 내 미생물을 조사하여 본 결과 조사한 MP사료 85%에서 S. aureus, B. cereus and total coliforms이 검출이 되었다 반면 양식 넙치를 조사한 결과 Escherichia coli O157:H7, total coliforms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추후 이와 관련하여 좀더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을 양식현장에 적용한다면 근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위생상 수산물이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되어 안전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과 운동처방 II.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ary Modif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II. On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 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1-240
    • /
    • 1999
  • 규칙적인 운동은 혈압을 낮춰주고 체중조절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동맥경화증을 촉진시키는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지나친 흡연, 운동부족 등을 들 수 있으며, 동맥경화의 진행은 어려서부터 시작되어 연령의 증가와 어불어심해진다. 특히,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더 심하다. 동맥경화증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의 경우 식습관과 생활양식, 그리고 운동처방으로 동맥경화성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섬유는 체내에서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하여 장관내 체류기간을 단축시키며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여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및 대장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각종 채소류와 해조류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된 식품으로서 장내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물성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필수지방산과 불포화지방은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촉진하는 반면 흡수를 방해하며, 과일류에는 수용성 식물섬유인 팩틴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의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린다.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산이 적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며 식이요법만으로도 콜레스테롤치를 10~15% 감소시킬 수 있다. 운동과 식이를 병행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장기간 할 때 효과가 매우 크다. 운동은 유산소성 운동으로서 운동강도는 HRmax의 60~80$\%$ $Vo_2$ max 50~70$\%$), 운동시간은 15~60분/day, 운동빈도는 3-6회/week가 바람직하다. 특히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운동처방의 배려가 있어야 되며, 의사와 상의하여 전문적인 처방이 필요하다. 확인되었다.H, ENO1, ADH1 promoter 순으로 나타났지만, 초기 포도당 농도가 높을 때나 에탄을 생산이 심각한 유가식 배양에서는 ENO1 promoter가 inulinase의 구성적 발현ㆍ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라서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식이제한 보다는 자유로운 식이 섭취의 방법을 통해 더 많은 운동기간을 가지고 운동을 한다면 체중조절은 물론 근육 대사를 원활히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공정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게 기여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