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nut oil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202초

호두 기름의 성분조성과 항알레르기 효과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Allegic Effects of Walnut Oil)

  • 서영호;김욱희;김경만;황태영;손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4-20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allergic properties of walnut oil. pH, acid value and iodine value of walnut oil were respectively 4.9, 0.8 and 117. Most of general composition of walnut oil was crude fat(99.9%) Vitamin A and E were 0.06 and 10.25mg/100g and the major fatty acids of walnut oil was linoleic acid(62.8%). Total phenolics and antiallergic effects of walnut oil were estimated 27mg% and 62.82% at the concentration of 0.5% ethanol walnut o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lnut oil can provide one of the valuable resource for the functional foods.

  • PDF

글루텐 인조육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물성에 관한 연구 - 1보 :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Gluten Meat)

  • 박춘란;김기숙;윤서석;장주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6
    • /
    • 1988
  • 밀단백분말을 주재료로 한 인조육을 제조할 때,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두, 식용유, 소금, 양파, 물, 식용유와 물의 상호작용 및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이었다. 2. 전단력에는 호두, 양파, 물, 호두와 식용유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경도, 탄력성, 응집성 및 저작성에는 호두, 식용유, 양파, 소금, 물, 호두와 식용유, 식용유와 물의상호작용 및 가열온도가 영향을 주었다. 4. 보수성에는 호두와 물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 PDF

Effects of Seven Dietary Oils on Blood Serum Lipid Patterns in Rats

  • Jin, Young-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78-84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ven dietary oils on the serum lipid patterns of rats. Seventy weanling Wistar Kyoto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of ten rats each. Walnut oil (rich in PUFA), wheat germ oil (rich in PUFA), corn oil (rich in PUFA), canola oil (rich in monounsaturated fatty acids), fish oil (rich in PUFA), primrose oil (rich in PUFA), and palm oil (rich in saturated fatty acids) were employed for 21 days.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for rats fed palm oil, walnut oil, and wheat germ oi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ere concentrations for rats receiving corn oil. fish oil, and primrose oil. The mean serum LDL cholesterol values for rats fed fish oil, primrose oil, and corn oi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rats fed walnut oil, wheat germ oil, canola oil, and palm oil.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the highest when wheat germ oil was fed and the lowest when fish oil was fed. The feeding of wheat germ oil and palm oil to rats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er serum triglyceride levels than did all other treatments. The feeding of wheat germ oil to rats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er serum phospholipid levels. Serum phospholipid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the canola oil, fish oil, ,and primrose oil diets, when compared to concentrations achieved with the feeding of walnut oil, wheat germ oil, corn oil, and palm oil. Palm oil, which has a high ratio of saturated t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resulted in the highest serum total cholesterol and highest LDL cholesterol levels, while fish oil, primrose oil, and corn oil produced the lowest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Wheat germ oil produced the highest values for HD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phospholipids. In general, feeding oils rich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oduced more favorable responses than feeding oil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monounsaturated or saturated fatty acids.

호도와 잣기름중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에 관하여 (On the Compsition of Triglyceride in the Oil of Walnut and Pine-nuts)

  • 김영호;차월석;김종수;류성렬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41-345
    • /
    • 1990
  • 잣기름과 호도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의 Tri-analysis column을 사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기름중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은 총 14종이 함유되었으며 탄소수별로 확인된 종류가 10종이고, 미확인수는 4종이고, 그 포함 순서는 $C_{52}=31.55%,\;C_{44}=20.72%,\;C_{54}=17.52%,\;C_{34}=15.24%,\;C_{56}=12.50%$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2. 호도기름중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은 총 12종이 함유되어 있으며 탄소수별로 확인된 종류가 10종이고, 미확인된 종류는 2종이고, 그 포함 순서는 $C_{44}=38.66%,\;C_{52}=29.47%,\;C_{54}=16.53%,\;C_{34}=11.12%,\;C_{50}=1.51%$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 PDF

선택된 식물자원에서 추출조건에 따른 Phytosterol과 Tocopherol의 함량분석 및 추출유로부터 재구성지질의 합성 (Analysis of Phytosterols and Tocopherols, and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the Extracted Plant Oils)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0-375
    • /
    • 2003
  • 식물유자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을 원료로 하여 35$^{\circ}C$ 조건에서는 100rpm의 항온교반수조에서 1, 3, 6시간 단위로 추출하고, 8$0^{\circ}C$조건에서는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 단위로 각각 추출하여 추출방법 및 시간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온도에서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과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화는 추출율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원료별로는 호두가 최고 63.07%로 가장 높은 유지추출율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등이 각각 최고 39.28, 15.62% 등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hytosterol 분석 결과, 식물성 유지 4종 중 통밀의 전체 sterol 함량이 최고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최고 2.03, 1.57, 0.44% 등의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PLC에 의한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전체 tocopherol의 함량은 참깨, 통밀 등이 각각 최고 3.42, 2.92% 등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호두, 미강 등이 각각 최고 0.16, 0.07% 등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성 유지와 CLA를 각각 1:3 mol의 비율로 혼합한 후 IM 60을 이용,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수록 재구성지질 중의 CL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24시간 동안 반응시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써, 23.75 mol%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참깨, 호두 등이 각각 19.15, 16.46, 16.28 mol% 등을 나타내었다.

호도기름의 Triglyceride 분자종에 관한 연구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Wal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4-139
    • /
    • 1987
  • 호도유의 트리글리세르드는 HP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고 분취하였다. 각 트리글리세리드는 GLC에 의하여 아실탄소수별로 분획하고 PN별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조성도 분석하였다. 또한 HPLC에 의하여 분획한 각 PN별획분에서 글리세롤의 ${\beta}$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지방산은 췌장리파제에의한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호도유의 주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은 $C_{18:2}{\cdot}C_{18:2}{\cdot}C_{18:1}$(LLO; 10.9%), $C_{18:3}{\cdot}C_{18:2}{\cdot}C_{18:2}$(LnLL; 17.6%) 및 $C_{18:2}{\cdot}C_{18:2}{\cdot}C_{18:2}$(LLL; 37.3%)이었다. ${\beta}$ 위치에 불포화지방산이 차지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은 90%이상이었다.

  • PDF

호도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Triglyceride Composition of Wal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3-267
    • /
    • 1984
  •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TLC로서,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triglyceride를 분획(分劃)하였다. PN 별(別)로 분획(分劃)한 각(各) 획분(劃分)을 다시 GLC에 의하여 acyl 탄소수별(炭素數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또한 PN별(別)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LC로 분석(分析)하였다. 이들 세가지 chromatography의 분석결과(分析結果)로 부터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산정(算定)하였다. 산정(算定)한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는 10종류였으며, 이들 중 1% 이상을 차지하는 triglyceride를 들면 다음과 같다. $(C_{18:2},\;C_{18:2},\;C_{18:2};\;53.3%)$, $(C_{18:1},\;C_{18:2},\;C_{18:2};\;10.1%)$, $(C_{18:1},\;C_{18:1},\;C_{18:2};\;5.4%)$, $(C_{18:1},\;C_{18:2},\;C_{18:3};\;4.3%)$, $(C_{18:0},\;C_{18:2},\;C_{18:2};\;3.9%)$, $(C_{18:0},\;C_{18:1},\;C_{18:2};\;2.0%)$, $(C_{18:0},\;C_{18:2},\;C_{18:2};\;1.8%)$.

  • PDF

식물성 유지의 홀수 지방산에 대하여(호도, 복숭아씨, 살구씨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Odd number Fatty acid of Vegetability lipids)

  • 차월석;유의경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49-54
    • /
    • 1993
  • 천연식품인 호도, 복숭아씨, 살구씨의 지방산 함량 과 홀수 지방산의 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료의 조지방 함량은 호도 61.78%. 살구 씨 52.34%. 복숭아씨 48.21 %이고, 중성 지질량은 호도 62.32%, 복숭아씨 91.50%. 살구씨 88.0%이 고, 당지질은 호도 34.14%, 복숭아씨 3.25%. 살구 씨 4.78%이었고, 인지질은 호도 3.54%. 복숭아씨 5.25%. 상구씨 7.27%였다. 2. 중성지질의 지방산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 37.07%. 짝수 지방산이 36.72%.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이 5.4%, 짝수 지방산이 94.60%.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6.85%. 8 짝수 지방산이 93.92%였교, 당지질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은 53.7%. 짝수 지 방산은 46.21 %.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은 6.97% . 9 짝수 지방산은 93.03%,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은 10.5%, 짝수 지방산은 89.42 %였고, 인지a질에서의 경우는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57%, 짝수 지방산 이 96.43%, 복숭아써의 흘수 지방산이 6.51 %, 짝 수 지방산이 93.49%,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15.0 % %, 짝수 지방산이 84.2%로 각각 함유되어 었다. 3. 총 지방산중 홀수 지방산은 호도 14.47%, 복 숭아씨 1.17%, 상구씨 4.03%이고, 짝수 지방산은 호도 85.53 %, 복숭아씨 98.83%, 삼구씨 95.97% 로 각각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 있다.

  • PDF

일품공예가구 마감기법에 관한 연구 - 오일마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inishing Technique of woodworking Furniture - Focus on Oil Finishing -)

  • 김영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4-366
    • /
    • 2010
  • The modern unique woodworking furniture has been made in earnest from 50 years ago. Some oil from nut such as soybean, walnut and perilla, which is usually used in our common life, has been used as finishing material for the unique woodworking furniture. Recently, woodworking studio business among the whole furniture industry has grown gradually and many woodworkers uses various kinds of imported wood finishing oil. Many woodworkers use the imported finishing oil in the old ways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the various kind of oil and It causes some serious problems in furniture finish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aking theoretical approach in wood finishing oil and presenting correct usage in understanding the types and characters of oil. Resultingly the new method of oil finishing for wood is suggested and this suggestion is to guide woodworkers into the right usage of wood finishing oil.

  • PDF

글루텐 인조육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물성에 관한 연구 2보 : 각 요인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호두, 식용유, 소금, 양파)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Gluten Meat Part II: Effects of amount of ingredients on properties of AGM (Walnut, Oils, Salt, Onion))

  • 박춘란;김기숙;장주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9
    • /
    • 1988
  • 밀 단백 분말을 주재료로 한 인조육을 제조할 때 첨가재료의 첨가량이 품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첨가 재료의 첨가량에 따른 영향으로 호두는 글루텐 인조육의 색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호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응집성 및 저작성은 감소의 경향을 나타냈고, 탄력성과 보수성은 대체로 증가하였는데, 호두를 30% 첨가할 때 쇠고기의 측정치에 근접하였다. 2. 식용유의 종류와 첨가량 및 흔합 방법은 색, 전단력, 경도 및 저작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응집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3.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경도와 저작성이 증가하였고, 전단력과 보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소금을 2% 첨가한 시료가 경도, 탄력성, 응집성 및 저작성에서 가장 쇠고기의 특성에 근접하였다. 4. 양파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경도와 저작성은 낮아졌고, 색과 응집성은 양파를 10% 첨가하였을 때 가장쇠고기 의 특성 에 근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