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to-wall transition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3초

수종 소나무속 식물에 있어서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에 관한 비교해부 (A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Stems of Some Pinus Plants)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5-196
    • /
    • 1986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the stems of genus Pinus including nine species growing naturally in Korea have been studied to elucidate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organs. The results, comparing the root woods with the stem woods, are as follows;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wood to the late-wood occurs more gradually in the root woods. In the root woods, the bordered pits on the radial wall of tracheid are frequent in the two rows. The spiral thickening on the radial and tangential wall of the tracheid can be seen in the only stem woods of four species such as P. koraiensis, P. rigida, P. rigitaeda and P. banksiana. In the majority of the species studied, the length of the tracheid is longer in the root woods, but in some species such as P. strobus, P. densiflora, P. rigida and P. sylvestris, this length is almost sam ein both organs. The diameter of the tracheid in the root woods is wider. The wall thickness of the tracheid in the early wood is thicker in the root woods, but vice versa in the late woods. More rays per unit area can be seen in the root woods.

  • PDF

Hot-wall epitaxy 방법에 의한 HgCdTe 박막 성장 (Growth of HgCdTe thin film by the hot-wall epitaxy method)

  • 최규상;정태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6-410
    • /
    • 2000
  • Hot-wall epitaxy 방법으로 GaAs (100) 기판 위에 9 $\mu\textrm{m}$의 CdTe (111)을 완충층으로 성장하고 그 위에 in-situ로 $Hg_{1-x}Cd_x$/Te (MCT)박막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MCT박막의 2결정 x-선 요동곡선의 반치폭 값은 125 arcsec이었으며 표면 형상의 roughness는 10 nm의 작고 깨끗한 면을 나타내었다. 성장된 MCT 박막에 대한 광전류 측정으로부터 최대 peak 파장과 cut off 파장은 각각 1.1050 $\mu\textrm{m}$ (1.1220 eV)와 1.2632 $\mu\textrm{m}$ (0.9815 eV)임을 알았다 이 peak 파장은 광전도체의 intrinsic transition에 기인한 band gap에 대응하는 봉우리이다. 이로부터 MCT 박막은 1.0 $\mu\textrm{m}$에서 1.6 $\mu\textrm{m}$의 근적외선 파장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광전도체용 검출기로 쓰일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주기적 후류 내의 익형 위 천이경계층에 관한 실험적 연구(I) -시간평균된 유동 특성- (Experimental Study of Boundary Layer Transition on an Airfoil Induced by Periodically Passing Wake (I) -A Time-Averaged Characteristic-)

  • 박태춘;전우평;강신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6호
    • /
    • pp.776-785
    • /
    • 2001
  • Hot-wire measurements are performed in boundary layers developing on a NACA0012 airfoil over which wakes pass periodically.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chord length of the airfoil is 2$\times$10(sup)5 and the wakes are generated by circular cylinders rotating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airfoil. This paper and its companion Part II describe the phenomena of wake-induced transition of the boundary layers on the airfoil using measured data; phase-and time-averaged streamwise mean velocities, turbulent fluctuations, integral parameters and wall skin fric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facility together with results of time-averaged quantities. Due to the passing wake with mean velocity defects and high turbulence intensities, the laminar boundary layer is periodically disturbed at the upstream station and becomes steady-state transitional boundary layer at the downstream station. The velocity defect in the passing wake changes the local pressure at the leading of the airfoil, significantly affects the time-mean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airfoil and eventually, has influence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oundary layer.

난류 흐름의 RANS 수치모의를 위한 벽함수 성능 평가 (An evaluation of wall functions for RANS computation of turbulent flows)

  • 유동근;백중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호
    • /
    • pp.1-13
    • /
    • 2020
  • 높은 레이놀즈수를 갖는 공학적인 흐름을 예측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여전히 벽함수를 이용하는 난류모형에 근거한 RANS 수치모의이다. 최근 벽근처의 점성영역 관계식과 벽에서 떨어진 대수영역 관계식을 혼합하여 개발된 일반화된 벽함수들은 두 영역사이의 난류량과 유속이 부드럽게 천이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난류운동에너지(TKE), 에너지 소산율, 비소산율, 와점성에 대해서 적용 가능한 벽함수들을 조합하여 일련을 수치 모의를 수행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난류모형들의 성능과 수렴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RNG k-𝜖 모형의 경우 첫번째 계산격자가 완충층에 놓이게 될 때는 반복 계산시 작은 허용오차를 이용하여 주의 깊게 적용을 하여야 안정된 해를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준 k-𝜖과 RNG k-𝜖 모형은 TKE와 와점성에 대해서 적용 가능한 벽함수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더라도 수치모의 결과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k-ω SST 모형의 경우 TKE에 대해서는 kL-벽함수 그리고 와점성에 대해서는 nutUB-벽함수를 이용하여야 정확하고 안정된 경계 조건 설정을 보장할 수 있다. 레이놀즈수 155,000조건에서 적용한 후방계산흐름 수치모의 결과 격자 해상도에 상관없이 약 13% 정도 재부착 거리를 과소평가하는 모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적용한 난류모형들 모두 적절히 세밀한 해상도의 격자에서 양호하게 재부착거리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력터빈 전산유체역학해석에서 비균일 그리드 무차원 연직거리의 난류모델에 대한 영향특성 (A Study on the y+ Effects on Turbulence Model of Unstructured Grid for CFD Analysis of Wind Turbine)

  • 이경수;;한상을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dimensionless wall distance, y+ effect on SST turbulent model for wind turbine blade.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Phase VI wind turbine was used for the study, which the wind tunnel and structural test data has publicly available. The near wall treatment and turbulent characteristics have important role for proper CFD simulation. Most of the CFD development in this area is focused on advanced turbulence model closures including second moment closure models, and so called Low-Reynolds (low-Re) number and two-layer turbulence models. However, in many cases CFD aerodynamic predictions based on these standard models still show a large degree of uncertainty,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use of the $\epsilon$-equation as the turbulence scale equation and the associated limitations of the near wall treatment. The present paper demonstrates the y+ definition effect on SST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t model with advanced automatic near wall treatment model and Gamma theta transitional model for transition from lamina to turbulent flow using commercial ANSYS-CFX. In all cases the SST model shows to be superior, as it gives more accurate predictions and is less sensitive to grid variations.

옹벽의 변위에 따른 정지토압에서 수동토압까지의 변화 (Passive Earth Pressure Transition Behind Retaining Walls)

  • 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2호
    • /
    • pp.55-70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정지토탄상태에서 수동토추상태 까지의 토압의 변화를 옹벽의 변위량에 따라 나타 내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이론은 2차원평형조건식과 Mohr-Coulomb의 파괴규준을 변 궐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관계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또한 옹벽의 변위량에 따른 흙의 내부마찰자(f)과 벽마찰각(5)의 변화를 옹벽상단에서 부터의 깊이의 함수로 나타내는 수학적 model이 개발되었다. 결과치를 수치해석적으로 구하기 위해 유한차분법이 이용되었고 또하 얻어 진 결과치를 실험치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옹벽 설계와 관련된 벽마찰카의 변화가 토압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아울러 고찰되었다.

  • PDF

NRD 도파관에 내장된 구조를 갖는 구형 도파관-NRD 도파관 트랜지션 (Rectangular Waveguide-NRD Waveguide Transition having the NRD Waveguide Built-in Structure)

  • 유영근;최재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91-39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NRD 도파관 내에 표준 도파관에 대한 트랜지션 기능이 내장된 새로운 형태의 구형 도파관-NRD 도파관 트랜지션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구형 도파관-NRD 도파관 트랜지션은 NRD 도파관 입출력측의 기구물 벽 두께와 개구부의 폭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벽 두께의 경우, NRD 도파관 관내 파장의 절반(${\lambda}_g/2$)과 거의 동일하며, 개구부의 폭은 NRD 도파관과 체결되는 표준 도파관의 넓은 변의 길이와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원리는 주파수 대역과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는 38 GHz 대역에서 구형 도파관-NRD 도파관 트랜지션을 제작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38 GHz 대에서 제작된 구형 도파관-NRD 도파관 트랜지션은 back-to-back 구조에서 0.4 dB 이하의 삽입 손실과 20 dB 이하의 반사 손실을 갖는다.

축하중이 작용하는 RC 경계보-벽체 시스템의 해석적 평가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einforced Concrete Boundary-Beam-Wall System Subjected to Axial Load)

  • 손홍준;김승일;김대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93-100
    • /
    • 2021
  • 현재 우리나라에서 설계 및 시공되는 대부분의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 공동주택은 상부벽체-하부골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상하부 구조시스템의 결합을 위해 전이보를 이용한다. 상부의 하중을 하부의 기둥 부재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이보가 큰 강성을 지녀야 하고 이로 인해 부재의 춤이 커져 많은 물량의 투입되고 전반적인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둥을 벽체요소로 대체하고 일반적인 콘크리트 전이보에 비해 규모가 작은 경계보를 수평 구조요소로 활용한 새로운 경계보-벽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축하중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설계변수로 상하부벽체 길이비, 경계보 부재의 전단보강근 간격, 하부벽체로 연속되는 상부벽체 수직근의 꺾임 비율, 슬래브 길이를 설정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분석하였다.

열원이 바뀌는 고온용 히트파이프의 천이 과정 동작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transient operation of high temperature heat pipe with a switching heat source)

  • 박종흥;이재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1권1호
    • /
    • pp.68-78
    • /
    • 1997
  • A numerical study on the transient vapor flow and heat transfer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deal switching operation of heat source in a high temperature heat pipe. The cylindrical 2-dimensional compressible laminar vapor flow is assumed for the vapor space and the conjugate heat transfer for the heat pipe wall, wick and vapor space is calculated. The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such as constant heat flux, convective or radiative boundary at the outer wall are used respectively to compare the influence of boundary conditions on the transient operation. The transient temperature profile and the internal flow of the entire pipe for the switching operation are described as a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ient tim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boundary conditions at the outer wall in present study. During the transition, two independent flows are observed temporarily o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the heat pipe. It is also found that the trend of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vapor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variation in the wick and wall region.

Study on the Unsteady Wakes Past a Square Cylinder near a Wall

  • Kim Tae Yoon;Lee Bo Sung;Lee Dong Ho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5호
    • /
    • pp.1169-1181
    • /
    • 2005
  •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unsteady wake field behind a square cylinder near a wall were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vortex shedding mechanism is correlated with gap flow. The computations were performed by solving unsteady 2-D Incompressible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a newly developed ${\epsilon}-SST$ turbulence model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of large separated flows. Through spectral analysis and the smoke wire flow visualization, it was discovered that velocity profiles in a gap region have strong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vortex shedding behind a square cylinder near a wall. From these results, Strouhal number distributions could be found, where the transition region of the Strouhal number was at $G/D=0.5{\sim}0.7$ above the critical gap height. The primary and minor shedding frequencies measured in this region were affe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separated shear layer, and minor shedding frequency was due to the separation bubble on the wall.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position (y/G) and the magnitude of maximum average velocity $(u/u_{\infty})$ in the gap region affect the regular vortex shedding as the gap height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