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limit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Camera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of Daehang-ri Intertidal Flat Outside Semangeum Sea Dike No.1.)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53-461
    • /
    • 2009
  • 새만금 방조제 건설 이후 새로운 갯벌 생성이 보고되고 있는 1호 방조제 앞 대항리 갯벌의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였다. 갯벌 지역은 이동상의 어려움과 밀/썰물에 따른 시간상의 제약으로 국지 혹은 소수 기선의 현장 관측만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 사이의 등고선을 나타낸다는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된 영상에서 관측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를 획득하였다. 2005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6차례의 영상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매년 평균 0.127 m 씩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천공분지에 기저를 둔 도서형 피부피판을 이용한 천골부 욕창의 재건 (Reconstruction of Sacral Pressure Sores Using Perforator-Based Island Skin Flaps)

  • 문지현;이내호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0
  • 저자들은 1998년 1월부터 2000년 2월까지 1 5례의 천골부 욕창 환자를 대상으로 천공분지에 기저를 둔 도서형 피부피판을 욕창 재건에 적용하였다. 피판의 공여부의 기능적 소실을 최소화하며 특별한 합병증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현재까지 추적조사한 결과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천공분지에 기저를 둔 도서형 피판은 신체 여러부위의 재건에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모양과 깊이의 창상재건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코비드-19와 물리치료적 접근 (Physiotherapy Management for COVID-19)

  • 한윤아;노효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5-1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review of physiotherap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OVID-19 during their hospital admission and post-discharge. METHODS: The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of physiotherapy management, medical management,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e WHO, Australian Physiotherapist,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British Thoracic Society, and American Thoracic Society were reviewed. RESULTS: This paper contains general information on COVID-19, including medical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physiotherapy approaches including an assessment of the patients' function, such as the 6-minute walking test, five sit to stand or sit to stand for one minute to measure their function as their recovery journey.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Physiotherapy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an assessment of the patient's presenting impairments, including inclusion and exclusion of physiotherapy intervention. The paper also approaches step by step with the disease progress, from an intensive care unit, the general ward in the acute phase, through to the rehabilitation ward if needed, and post-discharge as an outpatient.. CONCLUSION: The paper has a limitation due to the unknown factor of the natural history of COVID-19. Depending on the patients' recovery journey and the rehabilitation needed, any physiotherapy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what the patients' need on their journey to recovery, e.g., pulmonary, cardiac, neurological, and general rehabilitation. In addition, apply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for treating physiotherapists is a mandatory requirement because this protects from the transmission of COVID-19.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 self-efficac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disease severity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Hee-Young, Song;Kyoung A Nam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72-18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 self-efficacy (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categorized by disease severity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182 patients with COPD selected from the pulmon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a tertiary hospital. Disease severity was measured using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hysical function, SE, and HRQoL were measured with the six-minute walking distance, Pulmonary Rehabilitation Adapted Index of Self-Efficacy (PRAISE), and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Disease duration, FEV1, and 12-month history of exacerbation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Patients were categorized by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categor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and nonsmokers. The disease duration was 10.76 ± 10.03 years, the mean FEV1% was 62.13 ± 22.80, and 70.3% of the participants were in GOLD category 2 (moderate) or milder. Half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scores ≥ 2. Patients in GOLD categories 1 and 3 (mild and sever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RAISE scores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F = 8.23, p < .001). The total SGRQ scores were highest in GOLD 4 (very severe), indicating the lowest HRQo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GOLD 1, GOLD 2 and 3, and GOLD 4 (F = 9.92, p < .001). Conclusion: We identified potentially useful variables to comprehensively assess disease severity and tailor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airflow limitation, and to determine the consequences of COPD from patients' perspectives.

근위 경골 골육종의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기능 평가 (Functional Result of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 박원종;손종민;정양국;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9-143
    • /
    • 2001
  • 목적 : 근위 경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에 따른 재건술은 적절한 연부 조직의 피복(cover age), 슬관절 신전 장치(knee extensor apparatus), 특히 슬개건의 견고한 재부착이 어려워 슬관절의 기능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근위 경골의 골육종으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으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기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으로 확진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술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환자의 나이는 15세에서 65세로 평균 23.7세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1년에서 최장 4년 6개월로, 평균 2년 5개월이었다. 최종 기능평가는 1993년 국제 사지 보존 회의(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ISOLS)에서 수정 보완한 방법을 이용하여 동통, 기능(functional activity),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emotional acceptance), 보조기 사용여부(use of external support), 보행 능력(walking ability), 그리고 보행 상태(gait)등 여섯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각의 요소를 최하 0점에서 최고 5점으로 하고 그 중간을 정도에 따라 1, 2, 3, 4점으로 점수화하여 정상 기능에 대한 백분율(% )로 표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성적은 정상 기능에 대해 최고 86.7%에서 최저 53.3%로 평균 68.3%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동통이 82.5%, 기능이 62.5%, 정서적 만족도가 67.5%, 보조기 사용여부는 77.5%, 보행능력은 62.5%, 보행상태는 57.5%였다. 슬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신전 5도, 굴곡 85도였으며, 5례에서 최소 5도, 최고 15도, 평균 10도의 신전 제한(extension lag)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2명에서 수술 후 감염 소견을 보였으며 1명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었으나 다른 1명은 종양 구조물 제거 후 관절고정술로 전환이 필요하였다. 결론 :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에 의한 사지구제술의 기능 평가 성적은 감염이 합병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동통 소실, 보조기 사용여부에 비해 슬관절의 부분 강직 및 extension lag로 인해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행등에서 덜 만족스러웠다. 임상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수술 후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및 굴곡 운동 등의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기의 도시 문화연구 재문맥화 -후기 피스크 비판적 공간 사유와의 접선 (Re-contextualizing Urban Cultural Studies in Crisis -Linking with Fiske's Later Criticism of the City)

  • 전규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0권
    • /
    • pp.35-65
    • /
    • 2015
  • 이 논문은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가 채 극복하지 못한 탈문맥화 한계를 도시 일상 위기 현실로의 산책을 통해 극복하자는 테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은 자본국가의 지배 통치하 위험에 처한 삶의 문제를 적극 사유하고 체험하기 위해 문화연구자들이 당장 산책에 나설 것을 제안한다. 일종의 전황 파악과 산개 기술로서의 산책이다. 논문은 오늘날 대중문화가 처한 위기 양상들이 일상적으로 표출되고 징후적으로 표현되는 도시로 걸음을 옮겨 참여 관찰하고, 이를 글쓰기로 옮기는 현실 개입주의를 문화연구 재맥락화의 정답으로 결론 맺는다. 이에 앞서 연구자는 능동적 수용자 이론가로 분류 정리된 존 피스크의 말기 비판적 공간 산책에 주목한다. 그가 산책 개념을 빌려온 드 세르토로부터 나아가 공간 전술을 실제로 실천한 마셜 버먼의 작업을 돌아본다. 텍스트와 수용자의 울타리를 초월해 도시 공간의 콘텍스트로 나아간 문화연구의 궤적을 그려 보는 것인 바, 이는 단순히 피스크가 남긴 대안적 흔적을 복구하는 차원을 넘어선다. 자본주의 현실과 비판적으로 관여하는 도시 공간 미디어 문화연구의 흐름을 재구성하기 위함이다. 피스크에게서 제대로 이어지지 않고 절단된 사유와 방법론의 공백을 채움으로써, 도시와 대중들의 위기 현실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문화연구 재문맥화의 전망을 찾아볼 것이다.

  • PDF

세로발활 높이와 트레드밀 경사도 차이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Longitudinal arch and Treadmill Inclination)

  • 김은영;김연주;김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59-4466
    • /
    • 2011
  • 본 연구는 세로발활 높이와 트레드밀 경사도 차이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보행 운동에 관련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에 정형외과적 및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없는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세로발활 높이를 정상발과 편평발로 나누어 경사도 $0^{\circ}$, 오르막 $5^{\circ}$, $10^{\circ}$, $15^{\circ}$, 내리막 $5^{\circ}$, $10^{\circ}$, $15^{\circ}$에서 넙다리 곧은근, 넙다리 두갈래근, 앞정강이근, 장딴지근 가쪽과 안쪽 5개 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사도 비교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p<.05), $0^{\circ}$과 내림 $15^{\circ}$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사도와 세로발활높이 차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근활성도 비교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근육과 세로발활 높이 차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개체 내 대비검정 결과 넙다리 곧은근과 장딴지근 안쪽근, 넙다리 두갈래근과 장딴지근 안쪽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장딴지근 가쪽과 안쪽근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로발활 높이 차이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정상발과 편평발은 하지 근활성도에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절외 배부 폐쇄 쐐기 절골술을 이용한 Freiberg병의 치료 결과 (Outcome of Extraarticular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for Freiberg's Disease)

  • 이준영;김웅희;정성;양성훈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6-130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extraarticular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in Freiberg'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12 and July 2014, total 10 patients who underwent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and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ere selected for inclusion. Average age was 16.3 years,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5 months. The diagnosis was mad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ose with a limitation in walking or usual activity due to pain in the metatarsal head. During operation, we removed loose body, and synovectomy was done. Osteotomy at the metatarsal neck and fixation with Kirschner wire were performed. X-ray was taken to check shortening of 2nd metatarsal and bone union. Moreover, we checked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2nd metatarsophalangeal joint before and after surgery. At the last follow-up, the shortening of metatarsal,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evalu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Smillie's stage, there were 3 cases of stage II, 4 cases of stage III, and 3 cases of stage IV. Average bone union time on the osteotomy site was 8 weeks. Average shortening of metatarsal was 2.53 mm. Average AOFA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56.9 to 82.8 points at final follow-up (p<0.05), and average VAS sco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from 6.4 to 1.4 points at final follow-up (p<0.05). Average active range of motion at metatarsophalangeal joint improved from $28.0^{\circ}$ preoperatively to $46.5^{\circ}$ at the final follow-up. Other complications, such as metatarsalgia and arthritis, were not found; however, there was 1 case of delayed union with no symptom. Conclusion: In Freiberg's disease,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is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and range of motion.

넙다리뒤근 단축 증후군이 있는 젊은 여성에서 오금각과 넙다리뒤근 순응성에 대한 신경가동화기법과 정적신장운동의 즉각적인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Exercise on Popliteal Angle and Hamstring Compliance in Young Women With Short Hamstring Syndrome)

  • 오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18
    • /
    • 2017
  • Background: Limitation of hamstring extensibility is often associated with various musculoskeletal problems such as alterations in posture and walking patterns. Thus, certain appropriate strategies need to be established for its management.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exercises on popliteal angle and hamstring compliance in young women with short hamstring syndrome (SHS). Methods: Thirty-three women with SH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group-1 ($n_1=17$) that underwent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or group-2 ($n_2=16$) that underwent the static stretching exercises.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active popliteal angle (APA) and a hamstring's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at a maximum popliteal angle of the baseline. Intervention for each group was performed for a total time of 3-min (6 sets of a 30-sec applic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ime and group in the APA [group-1 (pre-test to post-test): $69.70{\pm}8.14^{\circ}$ to $74.14{\pm}8.07^{\circ}$ and group-2: $68.66{\pm}7.42^{\circ}$ to $70.52{\pm}7.92^{\circ}$] (F1,31=6.678, p=.015) and the EMG activity of the hamstring (group-1: $1.12{\pm}.30{\mu}N$ to $.69{\pm}.31{\mu}V$ and group-2: $1.19{\pm}.49{\mu}V$ to $1.13{\pm}.47{\mu}V$)(F1,31=6.678, p=.015). Between-group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MG activity of the hamstr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ost-test between the groups (p<.05). Furthermore, in within-group comparison, group-1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both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test (p<.05); however, group-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he APA between pre- and post-test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exercises may be advantageous to improve hamstring compliance in young women with SHS, resulting in a more favorable outcome in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무안경식 입체 모니터를 이용한 지형공간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기법 (Geospatial Data Display Technique for Non-Glasses Stereoscopic Monitor)

  • 이선근;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99-609
    • /
    • 2008
  • 전자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보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는 급속히 발전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간정보 콘텐츠의 3차원 입체화가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공간정보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3차원 데이터 및 결과물은 2차원 평면상에서 시각화되고 있다. 그러나 실세계 공간에 존재하는 지형지물 등 다양한 3차원 객체들을 2차원 평면에서 시각화한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3차원의 객체를 실감적이고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가상의 3차원 공간 좌표계를 형성하였다. 입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공간좌표계상에서 관측자의 위치, 방향, 영상의 크기 및 중복도, 축척 등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공선조건식을 적용하여 관측자의 동적인 시점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입체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생성된 3차원 대상물의 회전, 이동 및 축척변화에 대응되는 다양한 관측자 시점에서 실시간 입체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flying-trough 및 walking-trough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입체 동영상 제작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3차원 대상물을 입체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양안시차의 원리에 의해 대상물을 좌안 및 좌측영상으로 분리하고 무안경식, 편광식, 여색방식 등의 입체시 기법을 적용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입체 모니터상에서 실감적 입체 디스플레이 기법을 구현하여 실세계에 존재하는 3차원 대상물을 효율적이고 실감적으로 생성하므로써 지형공간 데이터의 입체 시각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세대 모니터인 무안경식 입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지형공간 데이터의 입체 콘텐츠 제작 방법을 개발하여 무안경식 모니터의 GIS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