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tric oil cont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유전율에 의한 지반 매질내 유류침투거동 분석 (Evaluation of Oil Infiltration Behavior in Porous Media Using Dielectric Response)

  • 김만일;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5권1호
    • /
    • pp.29-39
    • /
    • 2005
  • 지반오염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시추작업을 통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실시간으로 원위치에서 다양한 오염물질들의 오염 도 변화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장비를 고안하여 지반의 유류오염을 파악하기 위한 유전율 측정법의 실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포화 및 불포화 매질에 대한 유류 오염도 측정 및 체적함수비 (θ/sub w/)와 체적 유류비 ( θ/sub al/)의 관계에서 유전율 상수 반응에 따른 매질의 유류 오염도 등의 측정 가능성을 실내 시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내 칼럼 시험을 수행하여 포화 매질 내에서 유류 거동 특성을 각기 설치된 FDR 측정 센서를 이용해 모니터링하여 포화 매질의 유효공극률과 유류 잔류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초기 공극률 0.40으로 제작된 포화 매질의 유효공극률은 약 0.35로 공극률 대비 약 87.5% 범위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유류 잔류비는 약 62.5% 정도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온도와 수분함량의 상호작용 효과 (Interaction Effect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Oil Expression of Perilla Seed)

  • 민용규;정헌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14-18
    • /
    • 1994
  • 온도와 수분함량의 상호작용이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기름 추출율(REO) 및 압착케이의 부피변형율(VSPC)을 온도와 수분함량을 변화시켜가며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들깨종자의 수분함량을 2.5, 4.5, 6.5 및 8.5% (w.b.), 압착온도를 30, 40, 50 및 $60^{\circ}C$, 압착시간을 11분 그리고 압착압력을 50 MPa로 각각 조절하였다. 생들깨 및 볶은들깨의 REO 및 VSPC는 온가 낮을 때에는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으나, 온도가 높을 때에는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분함량 8.5%에서는 온도에 관계없이 작았다. 압착요인과 REO 및 VSPC과의 관계를 분산분석한 결과 온도와 수분함량의 영향은 높은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온도보다는 온도와 수분함량사이의 상호작용효과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수분함량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난 구간은 본 실험조건의 모든 온도에서 수부함량 $2.5{\sim}4.5%$이었다. 최대 REO는 생들깨의 경우 수분함량 2.5%와 $60^{\circ}C$의 온도에서 84.4%이었고, 볶은들깨는 수분함량 6.5%와 $30^{\circ}C$의 온도에서 84.3% 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Green Alga Chlorella vulgaris Isolated from Freshwater and Improvement Biodiesel Productivity via UV Irradiation

  • Gomaa, Mohamed A.;Refaat, Mohamed H.;Salim, Tamer M.;El-Sayed, Abo El-Khair B.;Bekhit, Makhlouf 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81-389
    • /
    • 2019
  • Chlorella vulgaris was isolated from the Nile River, Qalubia Governorate, Egypt, for possible use in biodiesel production. BG-II nutrient growth media was used for isolation and laboratory growth.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via 18S rRNA gene amplification, followed by sequencing. The alga was exposed to UV-C (254 nm) for 15, 30, and 45 s to improve dry weight accumulation and to increase the oil production. Daily measurements of dry weight ($g{\cdot}l^{-1}$) were performed; oil content and volumetric lipid productivity were also determined. UV-C exposure led to an increase in the volumetric lipid productivity by 27, 27.3, and $32.4mg{\cdot}l^{-1}{\cdot}d^{-1}$ with 15, 30, and 45 s,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ch resulted in $18mg{\cdot}l^{-1}{\cdot}d^{-1}$. Of the examined mutants, the one with the highest productivity was re-irradiated by UV-C (254 nm) for 15, 30, 45, and 60 s. For 15 s of exposure time, the oil content increased to 34%, while it was 31% at 30 s; further, it decreased to 22% at 45 and 60 s exposures. The fatty acid methyl ester profile was 82.22% in the first mutant at 45 s, compared with the wild strain that contained a total of 66.01% of FAs. Furthermore, the highest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 were observed in the mutant exposed for 45 s, and it reached 11.41%, which reduced the cetane number to 71.3.

온도와 압력이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Oil Expression of Perilla Seed)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8-32
    • /
    • 1993
  •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을 각각의 온도, 압력 및 압착시간에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들깨종자의 수분함량은 2.5%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30, 40, 50 및 $60^{\circ}C$가 사용되었고 압력은 10, 30, 50 및 70 MPa을 적용하였으며 압착시간은 5, 7, 9 및 11분을 적용하였다. 온도, 압력 그리고 압착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은 증가를 하였다.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최대 추출율은 $60^{\circ}C$, 70 MPa, 11분에서 각각 85.59% 및 85.30%이었다. 추출된 기름의 점도는 지수함수적인 온도의존성을 보여주었으며, 점도가 낮을수록 즉, 온도가 높을수록 기름의 추출율은 증가하였다. 압착요인과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압착요인의 효과는 압력, 온도, 온도${\times}$압력 그리고 압착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온도(T), 압력(P) 그리고 압착시간(D)과 기름의 추출율(Y)과의 관계는 생들깨는 $Y=7.95+36.85P+1.12T^2-0.55TP-5.08P^2(r^2=0.97\;p<0.01)$였으며, 볶은들깨는 $Y=4.50T+39.23P+0.83T^2-1.71P-5.07P^2(r^2=0.99,\;p<0.01)$이었다.

  • PDF

바이오디젤 생산에 미치는 원료 특성의 영향 (Effects of Properties of Raw Materials on Biodiesel Production)

  • 정귀택;박석환;박재희;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35-339
    • /
    • 2008
  • Biodiesel is an alternative and renewable energy source, which is hoped to reduce global dependence on petroleum and environmental problem. Biodiesel produced from a variety of oil sources such as vegetable oil, animal fat and waste oils, and has properties similar to those associated with petro-diesel, including cetane number, volumetric heating value, flash point, viscosity and so 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lity of raw materials on alkali-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for producing of biodiesel. The increase of content of free fatty acid and water in oil were caused the sharp decrease of conversion yield. Also, the low purity of methanol in reactant was inhibited the reaction rate. In the case of addition of sodium sulfate as absorbent to prepare catalyst solution, the content of fatty acid methyl ester in product was increased more about 1.6% than that of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zeolite, sodium chloride and sodium sulfate as absorbent in reactant to remove water generated from reaction did not show any enhancement in the reaction yield. This result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choice and preparation of raw materials for more economic and efficient biodiesel production.

Experimental Assessment of Mesophilic and Thermophilic Batch Fermentative Biohydrogen Production from Palm Oil Mill Effluen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Azam Akhbari;Shaliza Ibrahim;Low Chin Wen;Afifi Zainal;Noraziah Muda;Liyana Yahya;Onn Chiu Chuen;Farahin Mohd Jais;Mohamad Suffian bin Mohamad Annuar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278-286
    • /
    • 2023
  • The present work evaluated the production of biohydrogen under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through dark fermentation of palm oil mill effluent (POME) in batch mode using the design of experiment methodolog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wo significant parameters, POME concentration as substrate (5, 12.5, and 20 g/l), and volumetric substrate to inoculum ratio (1:1, 1:1.5, and 1:2, v/v.%), with inoculum concentration of 14.3 g VSS/l. All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at 37 ℃ and 55 ℃ at an incubation time of 24 h. The highest chemical oxygen demand (COD) removal, hydrogen content (H2%), and hydrogen yield (HY) at a substrate concentration of 12.5 g COD/l and S:I ratio of 1:1.5 in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were obtained (27.3, 24.2%), (57.92, 66.24%), and (6.43, 12.27 ml H2/g CODrem),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rmophilic temperature in terms of COD removal was more effective for higher COD concentrations than for lower concentrations. Optimum parameters projected by RSM with S:I ratio of 1:1.6 and POME concentration of 14.3 g COD/l showed higher results in both temperatures. It is recognized how RSM and optimization processes can predict and affect the process performance under different operational conditions.

미세조류 Dunaliella bardawil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beta}$-carotene의 축적과 식용기름을 이용한 추출 (Induction of ${\beta}$-carotene by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nd Extraction Using Vegetable Oil from Microalga Dunaliella bardawil)

  • 유경원;정욱진;정병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5
    • /
    • 1999
  • Dunaliella bardawil의 적절한 생장과${\beta}$-carotene의 효과적인 축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염 농도, pH, 광량, 교반속도, 오존처리, 과산화수소 첨가 등의 영향을 비교하였고, 식용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beta}$-carotene의 추출조건을 비교하였다. D. bardawil의 비생장 속도는 1N NaCl, pH 8.0 광량 80${\mu}$$E/\m^2/s$ , 70rpm 으로 배양 시에 0.168/hr로 최대를 나타냈다. 흰색 형광등을 250${\mu}$$E/\m^2/s$ 로 조사한 경우 ${\beta}$-carotene isomer 축적은 cis isomer가 trans isomer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beta}$-carotene의 축적을 위하여 50${\mu}$M 과산화수소를 배양 2일 경과 후에 첨가한 경우 대조군의 축적율이 150${\mu}$g/ml인데 비해 324${\mu}$g/ml로, 200ppb로 2시간 오존 처리했을 때 약 1.8배 증가한 270${\mu}$g/ml이었다. 식용기름에 의한 37${\circ}C$에서의 추출효율은 올리브유, 참기름, 미강유, 옥수수유, 대두유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올리브유를 수층 부피의 9배로 첨가하고 50${\circ}C$에서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결과 96.95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