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substances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1초

오일 급여가 돈육의 저장 중 물리ㆍ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Dietary Oils on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김희윤;남기윤;하경희;강양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35
    • /
    • 2003
  • 비육후기 돼지 사료에 우지 5%를 첨가하여 급여한 돈육(대조구), 우지 3%와 들깨유 2%를 혼합하여 급여한 돈육(T1), 우지 3%와 오징어유 2%를 급여한 돈육(72), 우지 3%와 CLA 2%를 급여한 돈육(T1)을 1$\pm$1$^{\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육짙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은 처리간에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대조구와 T3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T1과 T2는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단백질 용해성은 T3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급여구가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육색 분석결과 a*값은 저장 28일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은 반면 b값은 낮게 나타났다. VBN은 T3가 가장 높고 T1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BARS는 T2와 T3가 대조구와 T1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관능검사 결과 육색과 기호성은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외관은 T1이 나머지 세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성유 대체 급여로 돈육의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의 증가로 인해 산화가 촉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항산화제를 함께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Changes of TBARS, VBN and Pathogens on Vacuum Packed Pork during Storage after Aging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s

  • Moon, Sung-Sil;Jin, Sang-Keun;Kim, Il-Suk;Park, Ki-Hoon;Hah, Kyung-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2-330
    • /
    • 2006
  • Sixteen semimembranous muscles were removed from sixteen left pig carcasses. They were cut into $7{\times}10{\times}2cm$ pieces and mixed randomly. Samples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T1) soy-based sauce; (T2) Kimchi-based sauce; (T3) pickled shrimp-based sauce; and (T4) onion-based sauce. Each sample was aged in a plastic box at $1^{\circ}C$ for 10 days, then vacuum packed and held at $1^{\circ}C$ for 28 days. The lightness and redness values of the aged pork were, in most case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surface and in the interior (p<0.05) by day 28 for all treatments, relative to day 1.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for T1 and T4 from day 1 until day 14, but decreased after 14 days of storage (p<0.05). The TBARS value for T3 decreased with storage time (p<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14 and 28 days. The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storage time (p<0.05) for all treatments, with the exception of T2. Total plate counts (TPC)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for all treatments. On day 1, T2 had the highest TPC value (p<0.05), while T4 was lowest (p<0.05). On 28 day, T2 had the lowest TPC value (p<0.05), while T3 was highest (p<0.05). E. coli levels showed a significant (p<0.05) decrease with increased storage for T1, T2 and T4.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2 was move effective at inhibiting the growth of E. coli than the other pork samples. The levels of Lactobacillus sp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for all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Korean ingredients could be utiliz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aged pork during storage.

Effect of Substitution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Diet on Pork Quality during Storage

  • Chu, Gyo-Moon;Kang, Suk-Nam;Kim, Hoi-Yun;Ha, Ji-Hee;Kim, Jong-Hyun;Jung, Min-Seob;Ha, Jang-Woo;Lee, Sung-Dae;Jin, Sang-Keun;Kim, Il-Suk;Shin, Dae-Keun;Song, Young-M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3-14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titution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 eryngii) by-products diet on pork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A mixture of 40%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28% soybean meal and 20% corn was fermented for 10 d, and the basal diet was then substituted by the fermented diet mixture of up to 20, 50 and 80%, respectively. A total of 96 pigs were fed experimental diet (8 pigs per pen ${\times}$ 4 diets ${\times}$ 3 replication), and eight longissiumus (LD) per treatment were collected, when each swine reached to 110 kg of body weight.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s and cooking los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treatments, while crude protein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e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t 1 d of storage, was lower in the treatments, while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s (p>0.05). The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BN and meat color in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as storage increased.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diet effects on lightness (CIE $L^*$), yellowness (CIE $b^*$) and chroma were determined, when LD muscles in T2 and T3 treatments were higher (p<0.05), up to 7 d (p<0.05).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stitution of the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diet to swine diet influenced the quality of the meat and it may be an economically valuable ingredient.

F0값 수준을 달리한 삼계탕의 실온 저장 중 물리화학적 및 관능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retorted at different F0 value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 이진환;이진호;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1-499
    • /
    • 2014
  • 본 연구는 레토르트 삼계탕을 멸균 조건을 달리하여 실온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또는 관능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적정 가열 처리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F_0$값을 4, 7과 10으로 각각 달리하여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한 후 $25^{\circ}C$에서 12개월 동안 저장하며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비교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계탕의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VBN, 카보닐, TBARS, 점도, 경도 값과 산소 농도 비율은 $F_0$값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F10 처리구의 12개월 후 조직감 항목을 제외한 모든 시료들에서 상품성 한계치인 5.0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종합적으로 $F_0$값 수준이 높을수록 제조 직후 및 저장 과정 중 레토르트 삼계탕의 품질열화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삼계탕의 저장 중 품질 저하를 줄이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적정 멸균 조건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돈육 패티에 첨가된 적포도주가 동결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Quality of Pork Patties during Frozen Storage on the Addition of Red Wine)

  • 윤동화;박경숙;양종범;문윤희;이경수;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4-241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red wine of pork patties during frozen storage on their water holding capacity, thawing loss, cooking loss, diameter change, thickness change, surface color, pH, VBN (volatile basic nitrogen) and TBARS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Four types of pork patty were prepared; pork patty without red wine (control), and with the addition of 1%, 3% and 5% red wine (RWP-1, 3 -and t respectively). The pork patties were stored for 5 months at $-20^{\circ}C$.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frozen storage, which was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red wine (p<0.05). The thawing loss and cooking lo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rozen storage, which also was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red win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meter and thickness changes during frozen storage, which was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red win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nd\;b^*$ values, but the a val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frozen storage. The $L^*,\;a^*\;and\;b^*$ values of the pork patties containing red win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pattie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 and VBN content during the frozen storage period or on the addition of red wine to the patties. The TBARS value of the pork patties tended to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frozen storage period, bu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red wine addition (p<0.05).

  • PDF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 첨가가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ransglutaminase-B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Patties Containing Pork Skin Connective Tissue)

  • 진상근;양한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307-313
    • /
    • 2012
  • 본 연구는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의 0.5% 첨가가 돈육껍질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육색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평가 또한 모든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가열감량의 경우, 저장말기인 21일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들에서 낮은 가열감량 값을 나타내며, 전단가 또한 저장 14일에 CMC 및 TGB 처리구들에서, 저장 21일차엔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전단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패도 결과, 저장 1일에 CAR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지방산패도 값을 보였으나, GMN, CMC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말기인 21일에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낮은 지방산패도 값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저장 21일의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육껍질 함유 돈육 패티에 GMN, CAR, CMC 및 TGB의 첨가는 육색과 관능평가에 영향을 미치진 못하지만, 패티의 가열감량을 줄여 연한 조직감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MN 및 TGB 첨가는 저장 중 패티의 지방산패도를 억제시키며, 저장말기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떨어뜨려 저장성 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차단성 다층 트레이에 포장된 레토르트 닭 가슴살제품의 냉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torted Chicken Breast Products Packaged in a Multilayer Barrier Tray During Chilled Storage)

  • 장동현;이근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3-490
    • /
    • 2012
  • 본 연구는 RTE형 레토르트 닭 가슴살을 $10^{\circ}C$에서 24주간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저장수명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미생물은 호기성총균, 중온성 호기성 및 혐기성 포자형성균과 Clostridium spp. 모두 1.0 log CFU/g(검출한계)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pH값은 저장 0일차에 6.56이었고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저장 24주에 6.34로 나타났다. TBARS값은 최초 0.52 mg MA/kg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경향으로 증가하여 저장 24주에 3.70 mg MA/kg으로 나타났다. VBN값은 저장 초기에 2.1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점차 증가하여 저장 24주차에 39.9 mg/100 g으로 측정되었다. 포장 내 산소농도는 저장 초기 5.7%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저장 24주에 3.3%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닭 가슴살과 충진액의 황색도는 점차 증가하고, 충진액은 점차 탁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닭 가슴살의 저장 중 관능적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저장 24주에 색, 조직감, 이취 및 풍미에 대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상품성의 한계치인 5.0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RTE형 레토르트 닭 가슴살의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 지표들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0^{\circ}C$에서 저장시 최소한 20주간 상품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휴대용 전자코를 이용한 계육의 냉장 중 신선도 평가 (Evaluation of Freshness of Chicken Meat during Cold Storage Using a Portable Electronic Nose)

  • 이훈수;정창호;김기복;조병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3-3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계육의 신선도 변화를 GC-MS를 이용한 가스 성분의 변화, 미생물의 총균수와 지방 산패도의 변화를 통해 분석하고, MOS 센서와 수분센서를 기반으로 한 전자코 시스템을 구성하여, 계육의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GC-MS, 미생물, 지방 산패도를 이용한 품질의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은 저하되었고, 저장기간이 5일 이후부터 급격한 품질의 저하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전자코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결과, 그래프 분석을 이용하여 계육은 저장기간 초기부터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저항값의 변화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코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저장일수에 따라 제1, 2주성분이 뚜렷이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형판별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일에서 19일까지 전체 분류 정확도가 92.5%였다. 저장 초기의 1일에서 5일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형판별분석을 한 경우 제1, 2판별함수를 이용할 경우 100%의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전자코를 이용한 계측과 주성분분석 및 선형판별분석법을 이용할 경우 냉장 저장된 계육의 신선도 변화가 예측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가 건조발효햄의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During Storage)

  • 진상근;전용균;허인철;이중근;정진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89-99
    • /
    • 2011
  • 진공포장 한 건조발효햄에 감마선을 조사 (0, 2.5, 5, 7.5, 10 kGy)하여 저장 3개월 동안 이화학적 품질 (육색, 지방산패도, 염기태 질소화합물, pH) 및 미생물 (총균, 유산균)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감마선 조사는 선량이 높을수록 시료의 표면 육색인 적색도 (a*)와 관능적 육색 및 기호도를 저하시켰다. 반면에 pH, 지방산패도, 염기태 질소화합물, 수분활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적 측면에서는 감마선 조사 수준이 높을수록 미생물학적 품질이 개선되었다. 관능적 측면인 풍미에서는 저장기간 및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색 측면에서는 5 kGy 이상에서는 낮은 평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건조발효햄의 저장기간을 고려할 때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은 5 kGy 수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기준치 이상 값의 구성비 조사 (The Distribu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the Categories of Public-Use Facilities and Their Rate of Guideline Violation)

  • 전정인;이혜원;최현진;전형진;이철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98-409
    • /
    • 2021
  • Background: The types and effects of hazardous pollutants in indoor air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s and pollutants caused by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uildings, the influence of outdoor air, and the exposure and us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for different classes of public-use facilities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hazardous pollutants by different public-use facilities and the status of the excess proportion of exceeding standard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self-measurement data from public-use facilities taken from 2017 to 2019 A total of 133,525 facilities were surveyed. A total of 10 types of pollutants that have maintenance and recommended standards stipulated in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The excess proportion and the substances exceeding the criteria for each type of public-use facilities for these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exceeding the standard for each type of public-use facility, the facilities with the highest excess proportion of the standards for each hazardous pollutant were: PM10 in railway stations (8.93%), PM2.5 in daycare centers (7.36%), CO2 in bus terminals (2.37%), HCHO in postpartum care centers (4.11%), total airborne bacteria in daycare centers (0.69%), CO in museums (0.1%), NO2 in postpartum care centers (1.15%), Rn in museums (0.78%),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ostpartum care centers (7.20%) and mold in daycare centers (1.44%). Conclusions: Although uncertainty may arise because this study is a result of self-measurement,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providing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in the future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customized for each type of public-use fac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