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flavor compound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1초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 측정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lavor Stability of Cooking Oils)

  • 김인환;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2-735
    • /
    • 1988
  •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유지시료의 윗 공간내에 있는 총 휘발성물질, 산소 및 수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산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휘발성물질의 양과 수소의 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값 사이의 상관계수는 0.95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유지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하여 실험할 필요없이 시료 윗 공간내의 수소와 산소의 양을 한 칼럼을 사용하여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유지의 향미안정성을 나타내는 지료로써 수소와 산소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Steamed Liriopis Tuber Tea Affected by Steaming Frequency

  • Park, Jin-Yong;Park, So-Hae;Lee, Heeseob;Lee, Yang-B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314-320
    • /
    • 2014
  • Flavor quality of Liriopis tuber tea that was made using a steaming process was studied by measuring changes in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the prepared samples were isolated, separated and identified by the combined system of purge & trap, automatic thermal desorber,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elective detector. As steaming frequencies were increased, the area percent of aldehydes decreased from 32.01% to 3.39% at 1 and 9 steaming frequency times, respectively. However, furans and ketones increased from 18.67% to 33.86% and from 9.60% to 17.40% at 1 and 9 times, respectively. The savory flavor of Liriopis tuber tea was due to a decrease in aldehydes contributing a fresh flavor at the 1st steaming process and newly generated furans from nonenzymatic browning with repeated steaming frequenci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quality control of the newly developed Liriopis tuber tea.

효소제를 사용한 개량식고추장의 숙성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Commercial Enzyme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07-213
    • /
    • 2003
  • 시판의 amylase와 protease효소제로 원료를 처리하여 담금한 효소제 사용 고추장 숙성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purge and trap 장치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한 결과 alcohol 16종, ester 16종, acid 7종, aldehyde 4종, alkane 2종, benzene 1종, ketone 3종, alkene 1종, amino 2종, phenol 1종, 기타 1종 등 5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직후에 alcohol 7종, ester 6종, aldehyde 3종 등 총 23종이 검출되었으나, 30일에는 alcohol 4종, ester 1종을 비롯한 8종이 추가 검출되어 31종으로 증가되었다. 120일에는 49종으로 향기성분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숙성 전 과정을 통하여 검출된 향기성분은 2-methyl-1-propanol, ethanol, 3-methyl-1-butanol 등 alcohol류 6종,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5종, butanal, acetaldehyde 등 aldehyde 3종, 기타 6종 등 총 20종이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숙성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ethanol, ethyl acetate, ethyl butyrate, ethenone,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등이 높아 이들 성분이 효소제사용 고추장의 향기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숙성시기별로는 담금직후에 ethyl acetate가, 90일에는 3-methyl-1-butane이, 이외의 기간에는 ethanol이 가장 높았다.

Purge & Trap 법에 의한 국내산 우유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w's Milk by Purge & Trap Method)

  • 전장영;김성한;곽병만;안장혁;공운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8-83
    • /
    • 2005
  • 국내산 원유 및 우유의 향기성분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Purge & Trap 및 GC-MS에 의하여 분석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Purge & Trap에 최대한 취할 수 있는 우유시료의 용량인 30 mL를 취하여 2시간 동안 헬륨가스로 purging하여 Tenax Trap에 흡착시켜 농축시킨 우유의 향기성분들을 탈착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우유의 향기성분들로 보고 된 주요 향기 성분들을 검출해 낼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된 경상도 지역의 국내산 원유에서는 acetaldehyde, ethanol, 2-propanone(acetone), dimethyl sulfide, isobutanal,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pentanal, 3-hydroxy-2-butanone, methyl disulfide, hexanal 및 2종의 미지 성분 등 총 14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원유를 탈취하여 얻은 우유에서 acetaldehyde, 2-propanone, hexanal 및 미지 성분 92(M/sup +/) 의 4종은 탈취전의 우유와 비교하여 그 양에 변화가 없었으나, ethanol, dimethyl sulfide, pentanal, 3-hydroxy-2-butanone 및 methyl disulfide 등의 향기 성분 6종은 완전히 제거되어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및 미지성분 81(M/sup +/)의 4종은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방사선 조사 닭고기에서의 휘발성 조사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 차용준;김훈;박승영;조우진;윤성숙;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50-1056
    • /
    • 2000
  • 방사선 조사된 닭고기에서 방사선 조사선량에 대해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을 구명함으로서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닭고기를 시료로 하여 LLCE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29종의 휘발성성 분이 방사선조사된 닭고기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 (62종), 방향족화합물류(44종), 알데히드류(9종), 케톤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비조사된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으면서 방사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대해 그 함량의 변화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로서 2-methylpentanal, 4-methylcy clohexne 및 cyclotetradecene 등 3종의 화합물이 선정되었으나 방사선 조사선량 증가와의 상관성을 고려한 결과 cyclotetradecene만이 닭고기의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로 선정되었다.

  • PDF

국제화 상품 전략을 위한 김치를 첨가한 조리제품 개발 (Developing Processed Foods by Adding Kimchi for International Product Strategy)

  • 조용범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5년도 정기추계학술세미나
    • /
    • pp.61-86
    • /
    • 2005
  • Kimchi power made by kimchi fermentation and freeze-drying was added to Western foods of sauce, soup, pizza, cracker and bread. Flavor qualities of the processed fusionfood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evaluation. The optimum condition of kimchi fermented for the best flavor quality of freeze-drying was the ranges of pH4.0${\sim}$pH4.7 and acidity 0.5${\sim}$0.8. The number of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extracts of the freeze-dried kimchi powder was 24, which contained 7 alcohols, 5 esters, 5 acids, 3 sulfur-containing compounds, 2 aldehydes, 1 oxygen-containing and 1 other. Among the identified compounds, the most abundant compound was eugenol(39.40%), followed as the order of dodecanoic acid(4.91%), acetic acid(1.70%), methyl 2-propenyl disulfide(1.52%), hexanal(1.51%) and 2-pentylfuran(1.18%). These compounds affected the flavor quality of kimchi powder.

  • PDF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Zanthoxylum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69-674
    • /
    • 2008
  •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A.P. DC. belong to the Rutaceae family and are perennial, aromatic, and medicinal herbaceous plants. In this study, their aroma compounds were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then further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P. DC. were 2.5 and 2.0%(w/w), respectively, and the color of their oils was quite similar, a pale yellow. From the distilled oil of Z. schinifolium, 60 volatile compounds which make up 87.24% of the total composition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monoterpenes predominating. $\beta$-Phellandrene (22.54%), citronellal (16.48%), and geranyl acetate (11.39%) were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s of Z. schinifolium. In the essential oil of Z. piperitum AP. DC., 60 volatile flavor components constituted 94.78%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Limonene (18.04%), geranyl acetate (15.33%), and cryptone (8.52%) were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Z. piperitum A.P. DC.

오미자첨가 양파 발효 음료의 향미 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ion) Added Onion Fermented Beverage)

  • 정은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71-380
    • /
    • 2023
  • 본 연구는 오미자첨가 양파발효 음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양파발효 음료 개발의 산업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미자첨가 양파발효 음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테르펜 유도체 화합물류 4종, 에스테르류 9종, 방향족 화합물류 5종, 알코올류 6종, 케톤류 7종, 알데하이드류 3종, 산류 11종, 함황화합물류 1종, 퓨란류 8종, 기타 1종 등 총 55종의 화합물이 동정 되었다. 전체적인 향기 성분의 함량은 산류가 37.8%, 퓨란류 29.0%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산류 화합물에서는 양파의 초산발효를 통해 획득된 acetic acid 및 oct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퓨란류에서는 사과 농축액과 황설탕에서 기인된 woody향의 furfural 및 캐러맬 향의 5-(hydroxymethyl)furfural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효음료의 양파향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2,5-dimethyl thiophene 함황화합물이 검출되었다.

IQF 굴(Crassostrea gigas) 복합엑스분을 이용한 굴 소스의 가열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of Cooked Oyster Sauce Prepared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 황영숙;김상현;신태선;조준현;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68-673
    • /
    • 2015
  •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has a desirable taste and flavor that differs from those of other fish and shellfish. In order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product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extract (IQFOE), we prepared an oyster sauce from IQFOE and characterized its volatile compounds using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salinity,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the oyster sauce were 60.6%, 8.2%, 9.2%, 9.3%, 5.7 and 21.0 mg/100 g, respectively. Seventy-six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cooked odor of the oyster sauce. These volatile compounds included 14 esters, including ethyl acetate, 13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including 2,4,6-trimethyl pyridine, 13 acids, including hexadecanoic acid, 12 alcohols, including ethyl alcohol and 6-methyl heptanol, 6 alkanes, 5 aldehydes, including benzaldehyde, 5 ketones, including 1-(2-furanyl)-ethanone, 4 furans, including 2-furancarboxaldehyde and 2-furanmethanol, 3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d-limonene, and 1 miscellaneous compound. Esters, acids and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and alcohols were the most abundant compounds in the odor of the cooked oyster sauce, with some aldehydes, ketones, and furans.

튀김유에 첨가된 산화방지제가 라면의 저장 중 Flavor 화합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s in the Frying Oil on the Flavor Compound Formation in the Ramyon during Storage)

  • 최은옥;이영수;최수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44-448
    • /
    • 1993
  • ${\alpha}-Tocopherol$, BHA, TBHQ, rosemary extract나 defatted ricebran extract가 첨가된 팜유에서 튀겨진 라면을 $6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pentane, hexane, hexanal 및 total volatile)을 stat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해 살펴보았다. 사용된 산화방지제의 농도는 튀김유를 기준으로 100 또는 200ppm이었으며 tocopherol의 경우 300ppm이 추가되었다. Tocopherol은 100 또는 200ppm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라면에서의 모든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정도는 100ppm이 200ppm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0ppm tocopherol은 오히려 $65^{\circ}C$에 저장중인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촉진하였다. BHA와 TBHQ는 100ppm 농도로 첨가된 경우 라면의 flavor 화합물 생성억제에 기여를 하였으나 200ppm 경우 오히려 촉진하였다. Rosemary extract와 defatted ricebran extract는 100 혹은 200ppm 농도에 상관없이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는데 억제효과는 tocopherol과 비슷하고 TBHQ 보다 우수하여 새로운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