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alcohol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6초

레토르트 파우치 계육 모형식품의 휘발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a Chicken Model Food System in Retortable Pouches)

  • 최준봉;정하열;공운영;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72-778
    • /
    • 1996
  • 레토르트 처리시 일어나는 휘발성분 변화를 관찰하고자 닭고기 50%, 식염 1%, 닭고기 육수 49%로 구성된 모형식품을 설정하고, 가열살균에 따른 휘발성분변화를 GC (gas chromatography)로 조사하고, GC-MS (mass spectrometry)로 각 GC peak의 휘발성분을 분석하였다 살균 전, 후의 모형식품에서 NPT (Nitrogen purge and trap)방법으로 휘발성분을 포집한 후 이를 분석한 결과 총 53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42개 peak를 동정하였다. 동정된 42개 peak는 aldehyde류 17종, hydrocarbon류 9종, alcohol류 8종, ketone류 7종 및 furan과 terpene이 각 1종씩이었다. 살균에 따른 휘발성분의 변화량을 비교하고, 동정된 휘발성분의 향기특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레토르트취에 관여하는 화합물은 2-heptanone, 2-pentyl furan 및 ketone류인 것으로 추정 되었다.

  • PDF

전자코와 GC/MS를 이용한 포도 품종별 저장 조건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연구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4 Grape Species by Storage Conditions)

  • 이윤정;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74-880
    • /
    • 2007
  • 품종에 따른 포도를 이용하여 3일 동안 $4^{\circ}C$와 실온에 각각 저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전체적인 향의 패턴을 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SPME-GC/MS 분석 결과를 통하여 휘발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표적인 포도의 주요 휘발 성분은 alcohols, esters, acids, terpenes 등으로 GC/MS 분석 결과 butanoic acid/ethyl ester와 1-hexanol, hexanoic acid/ethyl ester, phenylethyl alcoh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캠벨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양한 휘발 성분이 동정되었고 레드글로브와 머루 품종에서는 1-hexanol, 2-decene, 8-methyl-(z)/1-dodecanol 등을 제외한 나머지 휘발 성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결과 $4^{\circ}C$와 실온 저장한 시료의 제 1주성분 값의 기여율은 각각 99.30, 99.36%로 품종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였다. $4^{\circ}C$ 저장 시 저장 기간에 따른 제 1주성분 값의 변화 범위는 실온에서 저장한 것에 비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2
    • /
    • 1986
  • 한국산 느타리버섯의 생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 24종을 확인 동정하였다. 이들 중 3Octanol이 46.01% 3-octanone은 18.75%, 1-octene-3-ol이 15.39% Isobutyl alcohol이 3.48%, 그리고 Isoamylalcohol은 3.07%, 2-methylbutylalcohol이 2.34%로 이들 6가지 성분이 전체 향기성분중에서 89.04%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느타리버섯에서는 향기성분 16종을 확인 동정하였으며 이중 1-octen-3-ol이 66.50%, 3-octanol 10.99%, 3-octanone 9.77% 1-octen-3-one 1.3% 및 Octyl alcohol 1.12%로 이들 5가지 성분이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89.61%로 조성 되었다. 3) 느타리버섯의 생것이나 조리 중의 향기성분은 대부분이 Carbonyl 화합물과 Alcohol류로 되어 있었으며 탄소수는 $2{\sim}8$개인 저급 지방족화합물로 되어 있었다.

  • PDF

동결 농축 두누리 와인의 품질 특성과 휘발성 향기 성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onuri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 박혜진;최원일;한봉태;노재관;박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5-49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onuri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The freeze concentration can increase the sugar concentration in grape juice by reducing its water content. In this study, after eight days od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of freeze-concentrated Doonuri wines was 12.5~14.1%. The pH of the wine was 3.42~3.50 and the total acid content was 0.68~0.94 g/100 mL, respectively. The brghtness of freeze-concentrated Doonuri wines was 19.28~54.42, the redness was 41.98~49.58, and the yellowness was 36.16~42.36. The organic acid analysis of Doonuri wines was that most of the organic acids contain tartaric and malic acid. By using freeze concentration with grape juic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oonuri wines was 122.40~137.26 mg/mL,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117.06~118.40 mg/L and the tannic acid content was 66.23~83.70 mg%. In GC/MS analysis,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 analysis of Doonuri wines identified six alcohols, five esters, two ketones, on acid, two alkanes, and four other compounds.

Screen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Producing Yeasts and Yeast-Like Fungi against Aflatoxigenic Aspergillus flavus

  • Nasanit, Rujikan;Jaibangyang, Sopin;Onwibunsiri, Tikamporn;Khunnamwong, Pannid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2-210
    • /
    • 2022
  • Aflatoxin contamination in rice has been documented in a number of studies, and has a high incidence in Asian countries, and as suc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lternative biocontrol strategies to address this issue. In this study, 147 strains of yeasts and yeast-like fungi were screened for their potential to produc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ctive against Aspergillus flavus strains that produce aflatoxin B1 (AFB1). Five strains within four different genera showed greater than 50% growth inhibition of some strains of A. flavus. These were Anthracocystis sp. DMKU-PAL124, Aureobasidium sp. DMKU-PAL120, Aureobasidium sp. DMKU-PAL144, Rhodotorula sp. DMKU-PAL99, and Solicococcus keelungensis DMKU-PAL84. VOCs produced by these microorganisms ranged from 4 to 14 compounds and included alcohols, alkenes, aromatics, esters and furans. The major VOCs produced by the closely related Aureobasidium strains were found to bedistinct. Moreover, 2-phenylethanol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generated by Aureobasidium sp. DMKU-PAL120, while methyl benzeneacetate was the major compound emitted from Aureobasidium sp. DMKU-PAL144. On the other hand, 2-methyl-1-butanol and 3-methyl-1-butanol were significant compounds produced by the other three genera. These antagonists apparently inhibited A. flavus sporulation and mycelial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duction of the AFB1 in the fungal-contaminated rice grains was observed after co-incubation with these VOC-producing strains and ranged from 37.7 ± 8.3% to 60.3 ± 3.4%.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same microorganisms are promising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use against aflatoxin-producing fungi in rice and other agricultural products.

한국산시판녹차(韓國産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of Commerical Korean Green Tea)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8-101
    • /
    • 1991
  • 한국산(韓國産) 시판녹차(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제조공정별(製造工程別(찐차(茶), 볶은차(茶))과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1번차(番茶), 2번차(番茶))로 구분區分하여 분석(分析), 동정(同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찐차(茶)와 볶은차(茶)에서 terpene alcohol류(類) 8종(種), 그 외의 alcoholel류(類) 9종(種), aldehyde류(類) 5종(種), ketone류(類) 8종(種), ester류(類) 4종(種) 및 기타 7종(種)을 포함(包含)하는 총(總)41종류(種類)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확인(確認)하였다. 찐차(茶)는 볶은차(茶)에 비(比)하여 nerolidol, indole등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볶은차(茶)에서는 linalool, geraniol, benzylalcohol, phenol 등(等)이 함량(含量)이 많았다.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로보면 6월(月)에 딴 찐 2번차(番茶)의 경우 4월(月)에 딴 찐 1번차(番茶)에 비(比)하여 1-penten-3-ol, cis-2-penten-1-ol과 cis, trans-2,4-heptadienal과 trans, trans-2,4-heptadienal의 현저(顯著)한 증가(增加)가 보였다. 볶은차(茶)의 경우에서도 대체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야생 초피(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잎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il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Leaf)

  • 박준희;차원섭;오상룡;조영제;이원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3-489
    • /
    • 2000
  • 경상북도 상주시 청화산 일대에서 채집한 야생 초피잎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것과 blanching한 후 건조한 것을 분쇄하여 기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잎을 자연 건조한 것에서는 55개의 peak가 확인되었으며 blanching한 후 건조한 시료에서는 35개의 peak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연 건조한 시료 중에서 검출된 55 개의 물질들 중에는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decane, dodecane, sabinene, myrcene등을 비롯한 23개의 물질이 확인되었고 alcohol 계통의 물질들은 isobutylal-cohol, cis-pentenol, 1-penten-3-ol등 10개의 물질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aldehyde로는 3-methylbutanal, hexanal. 2,6-dimethyl hept-5-al등 7개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ketone 화합물은 3-hydroxy-2-butanone. 2-nonanone, 2-undecanone, 2-tridecanone이 확인되었다. cis-3-hexenyl acetate, linalyl acetate, citronellyl acetate, neryl acetate 등 6개의 ester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기타 물질로 3-cyano-2,5-dimethylpyrazine, dimethyl sulfide, chloroform, 1,8 cineole, dill ether 등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초피의 생잎을 blanching한 후 건조하여 전처리를 거쳐 휘발성 물질을 확인한 결과 35개의 peak를 확인하였는데 그중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20개나 확인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1,1'-oxybis-ethane, $\alpha$-pinene, camphene, myrcene, $\beta$-phellandrene. $\beta$-caryophyllene 등이다. 그리고 alcohol 류로는 L-lin-alool, (-)-isopulgerol. $\alpha$-terpineol. citronellol이며 aldehyde류로는 nonanal, citronellal이다. ketone 화합물은 2-undecanone, 2-tridecanone등이며 그리고 ester류로는 citronellyl acetate, cis-3-hexenyl acetate, neryl acetate 등이다. 기타물질로서는 3-cyano-2,5-dimethylpyrazine. chloroform 등이다. 그리고 $\alph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 L-linalool, citronellal, citronellyl acetate, $\beta$-caryophy-llene이 다른 휘발성 물질보다 비교적 많은 양으로 검출되었다.

  • PDF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38-643
    • /
    • 1998
  • 찹쌀 및 보리쌀을 원료로 주모를 첨가하여 담금한 발효과정 중의 탁주술덧을 고체상 추출법으로 추출 농축한 후 극성 column을 사용하여 GC 및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alcohol 10종, ester 9종, acid 2종, aldehyde 7종 등 28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수는 담금 직후에 $13{\sim}14$종이었으나 발효 16일에 $27{\sim}28$종으로 증가되었고 찹쌀 탁주는 보리쌀 탁주 술덧보다 향기성분이 다소 많았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 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hexen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ethyl acetate, ethyl succinate, 2-phenylethyl acetate, butyic acid, benzaldehyde, 3-methoxybenzaldehyde의 12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ethyl propion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phenyl acetate 및 acetaldehyde 등 5종의 aldehyde는 발효 16일에서만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 %)은 시험구와 발효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2-phenylethyl acetate, hexenyl alcohol, iso-butyl alcohol이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공통으로 높아 탁주술덧의 주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추측된다. 이들 성분 외에 ethyl acetate, benzaldehyde는 찹쌀 탁주에서, hexenyl alcohol은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만 높았다. 찹쌀 탁주 술덧에서 발효 16일에 ethyl acetate의 면적비율이 ethyl alcohol보다 다소 높아 보리쌀 탁주술덧과 다른 특색을 보였다.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어성초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Effect of $\gamma$-Irradi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류근영;심성례;정민석;전삼녀;조철훈;송현파;김경수;김연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11-4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고, 여러 가지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한약재 중의 하나인 어성초를 10 kGy로 조사하여 휘발성 유기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하고 이를 GC/MS로 사용하여 분석.확인하였다. 비 조사 시료와 10 kGy의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한 시료에서 확인된 휘발성 유기성분은 각각 83종과 85종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관능기별 함량으로는 alcohol류와 ketone류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여 어성초의 주요휘발성 유기화합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성초의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hexahydrofarnesyl acetone, phytol,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 octadecanol, caryophyllene oxide, 2-undecanone 및 menthol 등이었다. 특히 houttuynum은 그 함량이 다른 주요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확인되었으나, 어성초의 특징적인 비린내 성분을 부여하는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어성초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이며, 항균, 항진균, 항생물, 항염증 및 항종양 등의 여러 가지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 terpene류의 상대적인 함량도 다량 확인되었다. 조사에 따른 함량은 비 조사시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어성초의 위생화 처리 효과를 고려할 때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며, 한약재의 위생화 방안과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riple-bed Adsorbent Tube를 이용한 가스상 극미량 복합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동시 분석 (Simultaneous Analyses for Trace Multi-Odorou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Gas using a Triple-bed Adsorbent Tube)

  • 서용수;이제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44-2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Triple-bed 흡착튜브를 제작하여 열탈착장치와 GC-MS로써 다성분 복합 악취성물질 및 휘발성유기 화합물을 동시분석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Triple-bed 흡착튜브는 하나의 튜브에 Tenax-TA와 소량의 Carbopack B 및 Carbosieve SIII 흡착제를 흡착강도 순으로 3단 배열된 것이다. GC-MS의 분석조건은 mass range 20~350 m/z, 불순물 1 ppm 이하의 헬륨을 운반가스로 하여 저비점 저분자량 물질의 분리동정에 효과적일 수 있도록 하고, 목적이온 추출을 통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ppbv 수준의 $C_1{\sim}C_5$의 알콜(4), 알데히드(6), 케톤(2) 그리고 황화합물(2)을 포함한 14종의 물질 모두 99%이상의 회수율과 양호한 재현성 및 직진성으로 동시분석이 가능하였다. 비교적 휘발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낮은 물질인 메틸알콜, 아세트알데히드는 상대습도 45% 이하, 흡착유속 50 mL/min, 흡착량 2 L 이하에서 높은 회수율로 보다 안정적으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또한 목적이온 추출은 물질피크가 겹쳐 나타난 경우에도 다성분 물질을 각각 정량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