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range profil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갑상선 술 후 음도문제의 음성치료 (Voice therapy for pitch problems following thyroidectomy without laryngeal nerve injury)

  • 김지성;김미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53-58
    • /
    • 2023
  • 갑상선 절제술 후 정상적인 성대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의 29.7%가 주관적인 음성문제를 호소하며, 이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갑상선 절제술 후 음성의 음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경부운동과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를 적용하여 고안한 음성치료법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갑상선 절제술 후 음도문제를 보이는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에 의힌 음성치료를 갑상선 술 2주 후 1회 실시하였다. 술 전과 술 후, 음성치료 직후의 음성 비교하기 위해 음향학적 분석[fundamental frequency, jitter, shimmer, noise-to-harmonics ratio, min Voice Range Profile(VRP), max VRP, VR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술 전에 비해 술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던 max VRP, VRP가 음성치료 직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음성치료법이 갑상선 술 후 음성문제의 주요한 증상인 고음역대 주파수 저하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추후에는 본 치료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성대에어로빅치료법이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aerobic treatment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박준희;유재연;이하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성대에어로빅치료법(vocal aerobic treatment, VAT)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검사 상 음성장애로 진단된 20명(남 13명, 여 7명)이었다. 음향학적 평가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Voice Range Profile)를 통해 평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를 통해 평가하였다. MDVP를 통해 치료 전 후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VRP에서는 치료 전 후 주파수 범위(Fo range), 강도범위(Energy range)를 측정하였다. PAS에서는 치료 전 후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 평균호기류율(MEAF), 성문하압(MPAP), 음성효율성(AEFF)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치료 전 후 양측 성대의 규칙성, 대칭성, 점막파동, 진폭 변화 소견을 알아보았다. 음성치료는 총체적 음성치료 접근법 중 하나인 VAT 프로그램을 환자별로 주 1회 실시하였다. 환자별 평균 치료 회기는 6.5회였다. 연구결과, MDVP에서는 Jitter, Shimmer, NH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1, p<.05). VRP 결과, 주파수 범위에서 Hz와 Semitones이 치료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p<.01, p<.05). PAS 결과, FVC, PHO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p<.001).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결과 치료 후 기능적 음성장애, 인후두역류질환, 양성성대점막질환군에서 성대소견이 정상범주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VAT 프로그램은 음성장애환자의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측면에서의 음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동일 집단의 음성장애 환자에게 VAT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객관적인 음성 개선뿐만 아니라 주관적 음성 개선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VAT 효과에 대한 적용연구가 필요가 있다.

변성이전, 변성 및 변성이후 남성의 발성범위 프로파일 (Voice range profile in premutation, mutation, and postmutation of men)

  • 김재옥;이승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89-100
    • /
    • 2021
  • 본 연구는 변성 과정의 남성 음역대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변성이전(21명), 변성(16명), 변성이후(20명) 단계에 있는 57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활창과 축약된 발성범위 프로파일(voice range profile, VRP)을 사용하여 음역대를 비교하였다. 또한 측정방법별로 진성구와 가성구 VRP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기본주파수(F0)는 변성이전>변성>변성이후 순이었고, 최고기본주파수(F0max), 기본주파수범위(F0range), 최대음성강도(Imax) 및 음성강도범위(Irange)는 변성 단계에서 가장 낮았으며, 가성구가 진성구에 비해 높았다. 또한 대부분의 변수에서 활창이 축약된 VRP에 비해 높았으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변성 단계에 있는 남성은 변성기의 일시적인 후두의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성대 진동이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음역대 또한 다른 연령대와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활창을 이용한 VRP와 축약된 VRP 모두 검사자가 숙련된 경우에 임상에서 모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VRP 측정 시 가성구 외에도 진성구 범위까지 측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정상 성인에서 음성 및 말소리 범위 프로파일을 이용한 발화 기본주파수 예측 (Prediction of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using the voice and speech range profiles in normal adults)

  • 이승진;김재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49-5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음성(VRP) 및 말소리 범위 프로파일(SRP)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시 전기성문파형검사(EGG)를 이용하여 측정한 평균 발화 기본주파수(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기본주파수(ESFF)와 실제 SFF 간 차이(DSFF)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상 음성을 가진 한국어 모국어 화자 85명이었다. 각 대상자는 /a/ 발성으로 전체 음역대를 측정하는 VRP 과제, '가을' 문단의 첫 번째 문장을 읽어 말소리 산출 시 음역대를 측정하는 SRP 과제, 전체 문단을 읽어 SFF를 측정하는 문단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VRP와 SRP를 통해 측정된 음역대 관련 변수들와 연령, 성별이 EGG를 통해 측정된 SFF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예측된 ESFF와 SFF 간 차이의 절대값(DSFF)과 그 합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SFF의 예측변인은 VRP에서는 최저음도, 음도범위, 성별, 연령(adjusted $R^2=.931$)이었으며, SRP에서는 반음 단위 음역대와 최고음도(adjusted $R^2=.963$)였다. VRP와 SRP를 통해 예측된 두 가지 ESFF와 실제 SFF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VRP와 SRP를 이용한 DSFF와 그 합계에 있어 성별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VRP와 SRP를 통해 문단 읽기 시 SFF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SFF의 이상을 보일 수 있는 음성장애 환자에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 시사점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 날달걀 먹기 전과 후의 음성 변화 (Voice Analysis before and after Swallowing a Raw Egg in Professional Voice Users)

  • 김경아;권순복;김성원;이형신;홍종철;김영록;이봉주;한영진;유태현;이강대
    •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43-5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eating a raw egg by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voice users on their voice quality and the duration of the effect. 20 professional voice users and 20 nonprofessional voice us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had gone through stroboscopy to have no vocal or laryngeal diseases. The voice exam was performed three times: before eating a raw egg (1st period), right after eating it (2nd period), and 10 minutes later (3rd period). By using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which is a software of Computerized Speech Lab 4500 as a voice analysis instrument, the authors checked the F0, Jitter, Shimmer, Noise to harmonic ratio (NHR), and Voice Range Profile (VRP).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ly, vocal hygiene was good in 57.5% of the total subjects and was poor in 42.5%. 40% of professional voice users and 75% of nonprofessional voice users hand good quality. 77.5% of the total subjects had the vocal fatigue while 22.5% of the subjects did not. 95% of the professional voice users and 60% of nonprofessional voice users complained the vocal fatigue. 60% of the total subjects reported a subjective vocal symptom. 65.0% professional voice users and 70.0% of nonprofessional voice users reported a voice symptom. From the results above, we suggest that eating a raw egg may lead to imporve voice quality of the professional voice users.

  • PDF

반회후두신경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갑상선 절제술 후 음성 변화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Without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 최지선;정종인;장민석;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7-41
    • /
    • 201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ransient minor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are not infrequent complaints even in cases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damage. However, clinical cours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uch voice changes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nor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We also tri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and feasibility of superior laryngeal nerve monitoring and to find out the optimal evaluation tools for such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Materials and Method : Nine adult patients who received total thyroidectomy without evidence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were enrolled for this prospective study. Voice evaluation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 acoustic analyses including voice range profile, aerodynamic study, stroboscopic evaluation and subjective voice assessment with questionnaires. The external branch of superior laryngeal nerve was monitored by nerve stimulator after ligation of superior thyroidal vessels. Results: Four of nine patients complained their voice change at 3 months after the surgery. Three of them reported complete recovery of their voice at 6 months after the surgery. Acoustic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phonatory range especially with high tone loss. Questionnaires related to singing was more sensitive than previously well-known "voice handicap index". Stimulation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was feasible in most of the cases (94.4%), but it failed to show any correlation with minor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Conclusion : Minor voice changes were not rare events during the first 6 month after thyroidectomy. Decrease in phonatory range with high tone loss and therefore, discomfort in singing was the most common finding. Superior laryngeal monitoring was feasible but it was not a sensitive tool for the prediction of minor voice change after thyroidectomy.

  • PDF

성대낭종과 성대폴립 간의 고음발성 양상의 차이 (Differentiation of Vocal Cyst and Polyp by High-Piched Phonation Characteristics)

  • 이종익;정고은;김성태;김상연;남순열;김상윤;노종렬;최승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8-51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cal fold cyst is generally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it has a difference with vocal fold polyp, treat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first. Decrease in mucosal waves is known as main diagnostic criteria of vocal fold cyst. Sometimes there is a difficulty for diffrential diagnosis between cyst and polyp only by endoscopic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objective features of vocal cyst and polyp on the basis of voice analysis for the proper differential diagnosis, especially at high pitched phonation. Materials and Method : The voice analysis was done in 15 focal fold cyst patients and 42 vocal fold polyp. Parameters of perceptual assessment, acoustic and aerodynamic measure, and voice range profile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 Vocal fold cyst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MPT by acoustic and aerodynamic analysis, narrowed frequency-range and low maximun frequency by voice range profile analysis compared with vocal fold polyp patient. Maximun frequency 381 Hz is established for cut off valu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cyst and polyp (ROC analysis, sensitivity 60%, specificity 68%). Conclusion : Voice analysis is help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vocal fold cyst and polyp, especially there is a difficulty for distinguish cyst from polyp at clinical situation by end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 of decreased maximum frequncy at vocal fold cyst supports incomplete high-pitched phonation and falsetto regester at vocal fold cyst patients due to decreased mucosal wave, compared with vocal fold polyp patients.

  • PDF

음성장애 성인 여성과 정상음성 성인 여성 간 진성구와 가성구의 음성범위프로파일 비교 (Comparison of voice range profiles of modal and falsetto register in dysphonic and non-dysphonic adult women)

  • 김재옥;이승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67-75
    • /
    • 2022
  • 본 연구는 53명의 음성장애 성인 여성과 53명의 정상음성 성인 여성의 진성구와 가성구 음역대 및 진성구-가성구 성구전환이 발생하는 구간을 비교하였다. 최고기본주파수(F0MAX), 최고음성강도(IMAX), 기본주파수범위(F0RANGE) 및 음성강도범위(IRANGE) 모두 음성장애군이 정상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F0MAX와 F0RANGE가 진성구에 비해 가성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IMAX와 IRANGE는 정상음성군에서 가성구가 진성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음성장애군은 진성구와 가성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F0MIN과 IMIN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성구-가성구 성구전환이 발생하는 지점의 주파수는 음성장애군은 378.86Hz(F4#), 정상음성군은 557.79Hz(C5#)로 음성장애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음성장애가 있는 성인 여성의 진성구와 가성구 음역대 모두 정상음성 성인 여성에 비해 감소하여 성대가 고주파수에서 진동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 여성 음성장애 화자의 진성구와 가성구의 VRP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음성장애가 미치는 음향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untertenor 1인의 Modal Register와 Falsetto Register에서의 공기역학적 변화 및 전기성문파형의 변화 연구 (Analysis of Phonatory Aerodynamic & Electroglottography of a Countertenor)

  • 남도현;최성희;최재남;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48
    • /
    • 2006
  • Background and Objectives: Countertenors who can produce higher vocal pitch like female classical singer's voice and use both modal and falsetto regis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phonatory characteristics between modal and falsetto register of the countertenor. Materials and Methods: A male countertenor who had 8 years of experience was examined using a videostroboscopy and his voice was analyzed using aerodynamic measures; fundamental frequency(F0), Mean air flow rate(MFR), intensity(SLP), subglottal air pressure(Psub) with phonatory function analyzer(Nagashima) and acoustic measures; jitter, shimmer, HNR, closed quotient(CQ) using a Electro-glottography(EGG) of Lx. Speech Studio(Laryngoscope, Ltd, UK) and voice range profile of CSL(Kay elemetrics). Results: In the stroboscopy findi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vocal folds was increased at the falsetto register and the upper margin of vocal folds vibrated with incomplete closure of true vocal folds. In aerodynamic analysis, intensity was same at the modal and falsetto register. However, MFR, Psub, MPT were higher at the falsetto register. In the electroglottographic analysis, closed quotient(CQ) at the modal register was high and also much higher at the high-pitch falsetto than at the loud falsetto. In the VRP, intensity was similar though F0 was different between modal and falsetto register. Conclusion: It implied that countertenor could produce powerful voice quality by increasing of respiratory pressure and respiratory volume though glottal closure was incomplete. In addition, no change of EGG waveform, similar voice range with alto was observed.

  • PDF

모음에 따른 후두 교호운동 특성 (Effects of Vowel Differences on Laryngeal DDK)

  • 한지연;이옥분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8권
    • /
    • pp.1-15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wel effect on laryngeal DDK (L-DDK) in terms of rate, regularity, and range. Thirteen normal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Speakers were asked to repeat the vowels /a, e, i, o, u/ for vocal fold adduction DDK, and /ha, he, hi, ho, hul for vocal fold abduction DDK. Acoustic data was analyzed via Motor Speech Profile. There were 6 parameters: DDKavp and DDKavr for rate of L-DDK, DDKcvp and DDKjit for regulariry of L-DDK, and DDKavi and DDKcvi for range of L-DDK. Results of MANOVA and Fredman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vowel effect on rate and regularity of L-DDK. MANOVA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vowels and vocal fold ab/adduction on range of L-DDK. DDK peak intensity (DDKavi) in vowel /i/ production was lower than in vowels /a, e, o, u/. Variation of DDK peak intensity (DDKcvi)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ha/ than for /a/ production.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on voice and speech pathology is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