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igh school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19초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Current state of the Apprenticeship Curriculum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57-78
    • /
    • 2017
  • 본 연구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제 프로그램 개발과 도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2차 33개 도제학교의 도제 교육과정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와 '인력 양성 분야 및 목표', '학과'와 '자격' 간의 적절성(연관성)은 도제반과 일반반이 비슷하였으나 '인력 양성 분야 및 목표'와 '자격' 간의 적절성(연관성)은 도제반이 일반반보다 높은 편이다. 둘째, 도제 프로그램의 필수 능력단위와 선택 능력단위는 Off-JT와 OJT에 비교적 균등하게 편성되어 있다. 셋째, 도제 프로그램의 능력단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NCS 실무과목뿐만 아니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과목에도 편성되어 있다. 넷째, 도제 프로그램의 능력단위와 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 과목 간의 연관성은 대체로 높으나 연관성이 낮은 학교도 상당 수 있다. 다섯째, 도제 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학기별 편성 위계성은 대체로 높으나 위계성이 낮은 학교도 상당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제학교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NCS 능력단위 수정 보완 전후 매칭표 보급, 고시외 실무과목의 편성, 기업특화과목의 신설, 도제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한다.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with application of CIPP Evaluation Model)

  • 신연주;김선태;송해덕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적 국면에 따라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타당화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취업담당 교사 및 교육관련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델파이 설문 자료 결과를 통해 내용타당도인 CVR 값과 합의도, 수렴도를 통해 의견 일치 정도를 분석하였고,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평가준거 및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준거는 총 7개로 요구분석, 목표설정, 실행계획, 수행내용,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관리 및 평가, 프로그램 성과이고, 평가준거 별 평가지표는 총 41개로 구성되었다. 최종 확정된 평가지표는 특성화고 현장에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활용됨으로써 특성화고의 취업역량강화 활동의 질적 향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즈쿨에 대한 실업계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erceptional differ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xistence of The BizCool)

  • 박종운;이용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39-48
    • /
    • 2006
  • This study is supposed to grasp how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BizCool) that has been set as an example since April, 2002 has changed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values or courses and then as the result of it, to get the early outcome of The Bizcool. The extent of the model schools mainly concentrated in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department has to be spreaded to the students of various departments. In addition, diversific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would be able to support the accomplishment of the suitable The Bizcool. The effectiveness of The Bizcool has been proven in various parts today, so its application is being magnified gradually. Also it is expected that many schools will adopt this program from now on. The Bizcool that has been executed to enhance the vision and self-confidenc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eir foundation, needs first of all, persistent support, investment and administration, and through these processes it will contribute to change the awareness about social unemployment problems and the vocational high schools.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와의 수학적 연결성 분석 -전자계산기과 중심-

  • 문철우;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233-249
    • /
    • 2010
  • It seems that it is critical to comprehend mathematics as a tool subject in order to understand a number of calculations in the professional subjec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how much mathematics is connected to specialized subjects in terms of mathematical cont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athematical topics included in professional subjects and those of mathematics subjec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 that is should be necessary to make new mathematics textbook which reflects the reality and needs of the presen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실업계 고교 의상과 교육에 대한 연구 - 5차 교육 과정과 6차 교육 과정 비교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clot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화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3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opinions on the education of the dept of clot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pondents were students who were respectively trained by the 5th and 6th educational curriculums. The results were that the students of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s reflected more their aptitudes in choosing the department of clothing than the students of the 5th educational curriculums Because of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s' ability to lead the class. the satisfaction in education of the dept. of clothing was below the average. And students wanted the increase of practice hours and to learn the special subjects. In addition, they felt the strong need for the field training. From the survey. it seemed that they were regarding the education of the dept. of clot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as a job education related to their speciality. But after graduation. almost all students wanted to go to the college.

  • PDF

청소년의 원활한 고용진입을 위한 학교세팅에서의 직업교육 강화 방안 연구 : 한국과 미국 비교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s to Promote the School-to-Work Transi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 Korean and the U.S. Systems)

  • 정영순;송연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5권
    • /
    • pp.341-373
    • /
    • 2001
  •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reform of vocational education plans so as to bring about a seamless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It puts forward a number of suggestions based upon an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n and U.S. schools, concerning the government's rol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and work-based learning. First, not only government initiatives but also clos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are essential to help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 the transition to employment. Education and industry should work closely together to standardize certificate related skills and to have these skill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lso the government should strive to provide guidelines for work-based learning and formulate standards for supervision and evaluation. Second, to facilitate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comprehensive schools should be promoted so that students have access to a greater ranger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an assessment system that certifies a mastering of the basic skills of those who undergo the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it should be related to earn these certificates. Third, standardized vocational skill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skills that are useful for industry. All the students i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hould have access both to general education,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nd for employ ability, and to basic occupational skills which empower students in dealing with rapid changes of technology. Also a range of specialized vocational curricula should be offered so that students can opt for more specialized occupations; and they can select careers appropriate to their capability. Fourth, so that all students to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work-based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mployment, various work-base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ir educational conditions. Companies should for their part train students thoroughl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work-based education. In addition, supervisors should be stationed both in schools and companies in order to administer the students' work-based learning.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교사의 인식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함승연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2
    • /
    • 2018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됨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에 대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시험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성과고, 마이스터고, 직업계열 일반고를 17개 시 도 지역별, 계열별로 1~2학교 선정하여 해당 고등학교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 관련 교사 한명이 답변하도록 설계하였다. 총 92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농생명 산업 계열 4개교, 공업 계열 15개교, 상업 정보 계열 22개교, 수산 해운 계열 3개교, 가사 실업계열 14개교 등 총 58개교가 설문에 응답하여 63%의 학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공통과목으로 처음 도입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1학년에 31개교, 53.5%로 가장 많이 편성하였고, 다음은 3학년으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육과정 필수과목이면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과목인 '선택과목 1'과 '선택과목 2'는 모두 1학년에 각각 32개교 55.2%와 42개교, 72.4%로 가장 많이 편성되었고, 다음은 2학년으로 나타나 전문공통과목의 편성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능 직업탐구영역 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으로는, 계열별 2과목인 현행 유지가 36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1과목이 12개교,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1과목을 포함하여 총 2과목이 8개교로 나타나, 교사들은 현재의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두 과목이 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에 대한 의견으로는 '현행 유지'가 31개교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약간 감소'가 17개교로 나타났다. 계열별 난이도 요구 결과는 '현행 유지'가 38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 정도는 '교육부 수능 정책의 변화'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공업계열 직업계고에서의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 이병욱;김신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9
    • /
    • 2020
  • 본 연구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인식을 기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과정평가형 자격의 도입 가능성과 기대 효과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리고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 수준이나, 도입 취지와 목적, 그리고 필요 정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과정평가형 자격을 취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는 교육을 받는 동시에 자격 취득,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수행의 관점에서 학습목표 제시, NCS 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 경력 개발 및 형성 가능, 산업 현장 중심의 지식과 기술 습득 가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열 직업계고에 과정평가형 자격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별 우선 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값보다 모두 높은 요구 영역으로는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 시수 유연화, NCS 개정에 따른 적절한 경과 조치 마련, 필수능력단위 편성 시수 완화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교육과정 활용 방안: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Use of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Developing Material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Enhancing Employ Ability)

  • 강현영;탁병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9-62
    • /
    • 2018
  • 특성화고등학교의 수학 수업은 일반계고등학교와 달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수리활용 능력의 함양을 지향하고 있으나 일반계고등학교와 동일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수학 수업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 실제 개발 결과를 사례로서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성취도평가 대신 실시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의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학 교수-학습 자료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에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어야 하며, 직업기초능력평가의 평가틀 활용 및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강화 등 개발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시사점 및 이를 반영한 개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수학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과 개발에 대한 제언을 각각 도출하였다.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