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sensitivity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32초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Comparing Head-Mounted Display and Smartphones

  • Han, Jungmin;Bae, Seon Hee;Suk, Hyeon-Je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3-30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caused by watching HMD and smartphones by conduct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 Backgroun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Head-Mounted Display (HMD), the problem of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caused by watching Virtual Reality (VR) contents became a crucial concern for consumers and manufacturers, especially given that the casing of mobile HMD keeps the phone at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enses that is close to the eyes. Method: Two smartphones were chosen for a preliminary study: LG G5 and Galaxy S7. As for a main study, iPhone 6S and Galaxy S7 were used. After being exposed to the selected clips,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and went through optometric tests that measure tear break-up time, spherical equivalent, and contrast sensitivity. Results: The subjective assessments indicate that HMD causes more visual discomfort compared to watching a smartphone.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result confirms that watching a HMD causes more eye dryness compared to smartphon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of two different displays, HMD and smartphone, and confirmed that watching HMD causes more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Application: Ultimately, this study could help manufacturers underst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display forms, providing guidance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HMD.

시력 개선을 위한 Netspeg 렌즈의 임상적 검증 (The Clinical Examination of Netspeg Lens for Good Visual Acuity)

  • 김덕훈;배한용;김선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81-291
    • /
    • 2006
  • 본 연구는 굴절이상을 가진 피검자의 시력 개선을 위한 Netspeg 렌즈의 임상적 검증을 하였다. 피검자는 성인 100명(남성 50인, 여성 50명; 평균 21세, 연령은 19세와 24세 사이)의 200개 눈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피검자는 전신건강, 약물복용, 유전병, 알레르기, 전신질환 그리고 안질환을 포함하는 문진 등을 조사하였다. 굴절검사는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단안과 양안을 기록하였다. 시력측정은 양안에 Netspeg 렌즈와 CR-39를 착용하여 실시하였다. 입체시 검사는 Netspeg 렌즈와 CR-39를 착용해서 근거리에서 Titmus fly와 TNO를 사용해서 하였다. P-VEP 검사는 3채널의 16 pattern size(Bausch Lomb, production in U.S.A.)를 사용하였다. 피검자는 Netspeg 렌즈와 CR-39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양안으로 patten 자극을 사용하였다. 역시 피검자는 Netspeg 렌즈와 CR-39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양안시로 P-VEP 자극을 본다. 대비감도 검사는 대비감도 차트(Pelli-Robertson, made in USA)를 이용해서 1m 거리에서 Netspeg 렌즈와 CR-39를 장용해서 실시하였다. Netspeg 렌즈와 CR-39의 표면 미세구조는 SEM(JMS-5800, made in Japan)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etspeg 렌즈와 CR-39를 사용한 비정상 굴절 피검자의 교정된 시력에서 Netspeg 렌즈를 착용한 피검자는 시각의 주관적 테스트에서 CR-39 착용자에 비해서 좋은 시야와 깨끗한 시력을 얻었다. 그러나 시력의 편안함은 Netspeg 렌즈와 CR-39는 비슷한 결과를 가졌다. 역시 Netspeg 렌즈 착용자의 피검자는 CR-39보다 좋은 시력을 가졌다. 한편 P-VEP 분석에서는 사용된 Netspeg 렌즈 착용자의 파의 진폭은 CR-39보다 더 증가한 모습을 가졌다(p>0.5). 또한 대비감도 검사에서 Netspeg 렌즈 착용자는 CR-39보다 좋은 결과를 가졌다. Netspeg 렌즈를 착용한 피검자의 TNO 입체시 검사 값은 그 결과가 CR-39보다 좋았다. 그러나 Titmus 입체시 검사에서는 Netspeg 렌즈와 CR 착용자는 비슷한 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초경발수 Netspeg 렌즈와 비구면 Netspeg 렌즈는 시기능 테스트에서 다소 비슷한 결과를 가졌다. 2. Netspeg 렌즈 표면의 미세구조는 CR-39보다는 매끄럽고 섬세한 구조와 선을 가졌다. 역시 Netspeg 렌즈는 미세구조에서 섬세한 선상 구조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사용된 Netspeg 렌즈의 표면 미세구조는 CR-39보다는 더욱 특수한 pinhole 디자인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사용된 Netspeg 렌즈의 시각은 비정상 굴절 눈을 위한 교정된 시력에 CR-39보다 좋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저자들은 Netspeg 렌즈의 미세구조와 선 구조는 좋은 시기능과 관계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비구면 Netspeg 렌즈와 초경발수 Netspeg 렌즈의 시기능에 대한 결과는 비슷하였다.

  • PDF

Linear Sub-band Decomposition-based Pre-processing for Perceptual Video Coding

  • Choi, Kwang Yeon;Song, Byung Cheo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5호
    • /
    • pp.366-373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pre-processing algorithm to improve the coding efficiency of perceptual video coding. First, an input image is decomposed into multiple sub-bands through linear sub-band decomposition. Then, the sub-bands that have low visual sensitivity are suppressed by assigning small gains to th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f the proposed algorithm is adopted for pre-processing in a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encoder, it can provide significant bit-saving effects of approximately 12% in low delay mode and 9.4% in random access mode.

강건한 워터마킹을 위한 최적 부대역 결정 (Optimal Sub-bands Decision for Robust Watermarking)

  • 김윤호;김태곤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을 이용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될 최적의 부 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퍼지추론 및 대조도 등과 같은 인간의 시각시스템도 고려하였다. 먼저 시각시스템과 통계적 특성을 활용하여 최적의 계수 대역을 설정하였고, 외부환경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퍼지 추론기를 설계 하였다. 비가시성과 워터마크의 정확도를 실험한 결과, 대조도는 스므드 영상에서 우수하였고, 러프한 영상에서는 통계적 특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 PDF

최적의 워터마크 강도와 길이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the suitable watermark strength and length)

  • 이영희;이정희;차의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7-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VS(Human Visual System)와 신경회로망 중 SOM(Self-Organizing Map)을 이용하여 DWT 영역에서 영상에 적응적인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HVS는 brightness sensitivity와 texture sensitivity의 두가지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SOM은 영상의 지역적인 특징들을 얻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HVS와 SOM을 이용하여 삽입되는 워터마크의 최적의 강도와 길이를 결정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최적의 워터마크 강도와 길이를 제공하며 비가시성 테스트에서 우수함과 다양한 공격에 강인함을 알 수 있다.

  • PDF

인간 시각시스템의 주파수 감도를 이용한 TFT-LCD 결함 강조 (TFT-LCD Defect Enhancement Using Frequency Sensitivity of HVS)

  • 오종환;박길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5호
    • /
    • pp.20-27
    • /
    • 2007
  • 일반적으로 TFT-LCD영상은 휘도 분포가 불균일하며, 전체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배경신호, 노이즈 신호, 그리고 결함 영역에서만 급격하게 변하는 결함 신호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HVS(human visual system)의 가장 큰 특징인 주파수에 따라 차이를 인지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를 변형하여 TFT-LCD영상의 결함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상적인 1차원 신호를 생성하여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살펴보고 실제 TFT-LCD영상에 적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영상 결함 강조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Comparing the effect of a desensitizing material and a self-etch adhesive on dentin sensitivity after periodontal surger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Hajizadeh, Hila;Nemati-Karimooy, Atefeh;Majidinia, Sara;Moeintaghavi, Amir;Ghavamnasiri, Marjaneh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3호
    • /
    • pp.168-175
    • /
    • 2017
  • Objectives: This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evaluated the ability of a desensitizing agent and a self-etch adhesive on cervical dentin sensitivity (CDS) after periodontal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 hypersensitive teeth of 13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periodontal surgery, the teeth of each posterior sextant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materials: G1: Clearfil $S^3$ Bond (Kuraray Dental), G2: Gluma Desensitizer (Heraeus Kulzer), and G3: placebo (water). The sensitivity was assessed using evaporative stimuli before treatment (baseline, T0), 1 day after treatment (T1), after 1 week (T2), and 1 month (T3) according to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Following the treatment, all the 3 group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CDS in T1 compared to T0. Reduction of CDS between T1 and T2 was observed only in G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2 and T3 in this group. Although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3 compared to T1 and T2 in G2 and G3, comparison of treatment groups in each assessment ti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3. According to paired comparison,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G2 and G3. Conclusions: Dentin sensitivity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will decrease spontaneously over time, but treating the sensitive teeth with Gluma Desensitizer and Clearfil $S^3$ Bond can have some benefits.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 단초점렌즈의 근거리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gle Vision Lense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1-388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근거리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대비감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인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emilens^{(R)}$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때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직후(1차)와 착용 2개월 후 (2차)에 원, 근거리 교정시력 측정,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성 누진가입도 렌즈 착용 전과 착용 2개월 후에 측정하여 비교한 근거리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우안, 좌안, 양안 모두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대비감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근거리에 관련된 시각적 능력과 질을 평가하는데 대비감도 검사가 유용하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에 따른 노년층의 시력 및 시기능 변화와 자각적 만족도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in the Elderly Generation and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by the Use of Tinted Ophthalmic Lenses)

  • 유덕현;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이 시력교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60대 이상(평균 $71.0{\pm}6.3$세)의 50명(남17, 여33)을 대상으로 원거리 시력이 0.5 이상이 되도록 시험테를 이용하여 교정한 후 무착색,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를 덧댐하였다. 각각 착색안경렌즈 덧댐 시의 시력은 원거리 최소가독시력 및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한 후 LogMAR 시력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기능은 근거리 입체시와 대비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착색안경렌즈 선호도와 시지각 및 움직임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최소가독시력과 최소분리시력은 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았으며,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 및 시지각은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불편감은 그레이착색렌즈 착용 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상자가 선호하는 안경렌즈는 브라운착색렌즈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으로 노년층의 시력과 시기능이 개선될 수 있으나, 시력 및 시기능의 변화가 자각적 만족도와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1,000 lux정도의 조도에서는 원거리 시생활이 보편화된 노년층에게는 무착색 및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을, 근거리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브라운 및 그레이착색렌즈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겠다.

Synergism Between Zinc and Taurine in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Bullfrog's Eye

  • Kim, Hyun-Jung;Kim, You-You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0
  • Although there are high concentrations of zinc and taurine in ocular tissue, their exact role and correlation in the visual process are not clea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clarity this point using electroretinogram (ERG) recording and spectrophotometer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zinc and taurine treatment in bullfrog's eye. The optimal zinc concentration used in this study was 10$^{-2}$ M ZnCl$_2$120 ${mu}ell$/12$m\ell$ ringer solution while the optimal turine concentration was 10$^{-2}$ M taurine 12${mu}ell$/12$m\ell$ ringer solution. For the effects of zinc and taurine on the retinal function, the changes of ERG parameters (especially threshold and b-wave) and absorption spectra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It is noteworthy that high concentrations of zinc and taurine present in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d the retina. Our results indicate that dark-adapted ERG threshold became elevated and the peak amplitude of b-wave was increased with zinc and taurine treatment. Furthermore there are some synergism effects between zinc and taurine as a result of co-treatment. In spectral scan, absorbance increment due to zinc and taurine treatment was shown over the whole range of spectral range (300-750 nm) with some differences in absorbance increment depending on the case of treatment. As the results of above we believe that zinc and taurine, which are abundant in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d the retina particularly, may be essential factors for visual process, have some synergism with each other and be required to improve the visual sensitivity during visual adap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