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angle

검색결과 614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재활이 영상표시단말기 작업자의 머리 위치 및 목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ing Smartphones for Tele-rehabilitation on Head Position and Neck Dysfunction in Workers with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s)

  • 소윤호;권기환;김태호;조정민;임재헌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2호
    • /
    • pp.149-15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using smartphones for tele-rehabilitation on head position and neck dysfunction in workers with visual display terminal (VDT) syndromes over a four-week period. Methods: Sixteen VDT worke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stretch exercise and posture education session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five subjects in the visit group (VSG), six subjects in the video group (VEG), and five subjects in tele-rehabilitation group (TG). The subjects in all the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s three days per week for four weeks. Cranial rotation angle (CRA), craniovertebral angle (CVA) measurement,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A and CVA variables was found among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A variable was found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A variable was found in the VSG after the four-week interven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DI was found among the groups. The NDIs among all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when compared with the NDIs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use of smartphones in the tele-rehabilitation of VDT workers with neck pain was found to be as effective on neck function as the conventional intervention method. The tele-rehabilitation of VDT workers with neck dysfunctions may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way.

면(綿)/PET 교직물(交織物)의 측정각(測定角)에 따른 색변화 연구(色變化 硏究) (The Visual Changes of Colors by the Measuring Angle of Cotton/PET Union Fabrics)

  • 이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51-16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effects of the colors of warp and weft on the overall colors of fabrics, along with the visual changes of colors by the measuring angle of both warp and weft, by means of cross-dyeing of cotton/PET union fabrics. First, the reflectance of polyester is higher than that of cotton over the whole wavelength. Second, the dyeing of polyester uses the disperse dyes and that of cotton uses fiber-reactive dyes, the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dyes and the reflectance of fabrics cause the same colors to be perceived different by the angle of observation. Third, the dyeing of cotton and PET fabrics individually with the same color revealed that the dyeing of cotton and PET fabrics in one bath resulted in a small difference in colors between the two fabrics than the separate dyeing in two bathes. In the case of one bath, the dyeing of PET fabrics followed by that of cotton fabrics resulted in a small difference in color than the dyeing in the reversed order. Fourth, when cotton/PET union fabrics were dyed in ten colors, the difference in colors between the two fabrics was small;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nsity of warp and weft of union fabrics, some difference was detect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eparate dyeing of cotton and PET fabrics in one bath. The latter did not produce the changes in color which was recognizable with the naked eyes. Fifth, when cotton/PET union fabrics were dyed in ten colors, any color change was not observed by the measuring angle, and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warp or weft resulted in the tendency of color-deepening. In the measurement of the latter,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weft resulted in the higher color-deepening than that in the direction of warp, due to the influence of weft.

안경착용자 방진마스크 착용 시 밀착계수와 착용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t Factor and Visual Acuity of Eyeglasses Wearers when Wearing Particulate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

  • 어원석;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5-115
    • /
    • 2020
  •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 of fit factors (FF) and visual acuity according to masks and eyeglasses preferences for 54 participants. We the precautions and behaviors of discomfort when wearing masks of eyewear wearers. Contact lens discomfort and priority action of complaints was investigated Glasses fitting factors is Optical Center Height(OH), Vertex Distance(VD) and Pantoscopic Angle(PA). We measured those factors and expressed by the ratio of standard point and change point. Quantitative fit factor was measured by Portacount Pro+ 8038. Also, we selected to 6 exercises among 8 exercises OSHA QNFT (Quantitative Fit testing) protocol to measure the fit factors. The pass/ fail criterion of FF was set at 100. Visual acuity(VA) test chart is developed by Chunsuk Han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SAS ver 9.2), it is used geometric means, Wilcoxon analysis(P=0.05) When wearing the mask preferentially, fit factor(FF) was high according to the step of glasses fitting parame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glasses first choice, the visual acuity(VA) was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fit factor (FF), mask first choice/ glasses first choice is OH (p=0.671/ p=0.332), VD (p=0.602/ p=0.571) and PA (p=0.549/ p=0.607). Visual acuity (VA), mask first choice/ glasses first choice is OH (p=0.753/ p=0.386), VD (p=0.815/ p=0.557) and PA (p=0.856/ p=0.562). The workers of workplace and office chose glasses but occupational health workers and students chose mask. In case of discomforts, it was suggested to remove the mask and tolerate discomforts. The main discomforts and usual action of lens were dryness, hyperemia, foreign body sensation, ophthalmodynia, decreased vision and glasses we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sk wearing method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glasses fitting and develop a hybrid model that minimizes inconvenience when wearing glasses and a mask at the same time.

3D 영화 상영관의 좌석별 위치에 따른 시각피로도, 프레즌스, 그리고 인지된 특성 분석 (Effects of the seat position in the theater on visual fatigue, presence and perceived characteristics)

  • 정동훈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3D 상영관 내의 각 좌석의 공간적 특징에 따라 3D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시각피로도, 프레즌스, 인지된 특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극장 좌석의 위치가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시야각이 시각피로도와 인지된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석별 시각피로도와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평균지점으로 부터의 편차와 시야각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3D 상영관에서 3D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좌석 배치에 유의해야 함을 알려준다. 둘째, 3D 상영관에서 좌석의 위치적 영향이 프레즌스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좌석별 인지된 특성과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평균지점으로 부터의 편차와 시야각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3D 상영관의 모든 좌석에서 3D에 대한 인지된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3D극장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공간적 변인에 따른 3D효과를 검증했으며, 연구 결과는 3D극장 좌석의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다. 또한 3D 영상의 성능지표 및 피로도 규제와 관련한 법 제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볼록 검안렌즈의 MTF 성능 분석 및 이론적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MTF Performance and Theoretical Analysis of Convex Trial Lenses)

  • 방현진;이종웅;손병호;안교훈;최은정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17-223
    • /
    • 2013
  • 10 diopter에서 20 diopter까지의 양볼록 검안렌즈에 대한 백색광 MTF(Modulation Transter Function)를 각주파수와 시력으로 나타낸 후, 이들을 각각 AIM(Aerial Image Modulation) curve와 비교하였다. 축상시야에서 평가된 양볼록 검안렌즈 모두 시력 2.0까지는 란돌트 링을 분해할 수 있는 MTF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반시야각 $5.0^{\circ}$인 비축시야에서는 10 diopter의 검안렌즈는 시력 0.9, 20 diopter의 검안렌즈는 0.8까지 란돌트 링을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시력을 1.0까지 측정하기에는 충분한 해상력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양한 시청환경에 따른 무안경식 interactive 3D 시스템의 시각피로도 측정 (Measuring Visual Fatigue of Glasses-free Interactive 3D System Under Various Viewing Conditions)

  • 김정열;이형철;김신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5-434
    • /
    • 2013
  • 3D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체감을 느낄 때에는 현실세계에서 입체감을 느낄 때와는 다르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피로에 대해 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연구는 많았지만 무안경식 3D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i3D시스템이란 interactive 3D 시스템의 약자로 사용자가 간단한 손동작 등으로 콘텐츠와 협응이 가능하도록 제작한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연용으로 구현되어 있는 i3D시스템을 이용하여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양한 시청 환경에서의 시각 피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청거리가 멀어질수록 낮은 피로를 보였으며 시차가 작을수록 낮은 피로를 보였다. 시청각도의 경우 3D 입체상이 안정적으로 지각되지 않는 시청각도에서 높은 피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거리와 시청각도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볼 수 있었는데, 3D가 안정적으로 지각되었을 때의 시청각도에서는 시청거리에 따라서 피로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였으나 안정적인 3D지각이 되지 않았을 때의 시청각도에서는 거리에 따른 피로도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와 i3D 시스템 개발에 있어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시선응시 방법과 시각도가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eye gaze and visual angles on accuracy of P300 speller)

  • 엄진섭;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300 문자입력기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문자판의 시각도와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해당하는 시선응시 방법이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문자판의 시각도는 사용자와 문자판 간의 거리로 조작하였으며, 60 cm 집단과 100 cm 집단, 150 cm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시선응시방법은 세 조건으로 반복측정하였다. 머리 조건은 머리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으며, 눈동자 조건은 머리는 고정한 채 눈동자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고, 시선고정 조건은 시선을 문자입력기의 중앙에 고정시킨 조건이었다. 이요인설계에 의한 실험결과, 문자입력의 정확도가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머리 조건의 정확도가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으며,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가 시선고정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다. 그러나 문자판의 시각도와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목표문자의 P300 진폭을 측정한 결과, 머리조건의 P300이 눈동자 조건의 P300보다 더 컸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 간에는 오류분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시선고정 조건은 나머지 두 조건과 큰 차이를 보였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에서는 오류가 주로 목표문자와 인접한 문자에서 나타난 반면, 시선고정 조건은 오류가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문자판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문자들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제품설계와 평가를 위한 시각영역의 생성 (Generation of a practical visual field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 기도형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7
    • /
    • 1995
  • Depending upon the eye and head movement, the visual field is often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stationary field, eye field and head and eye fiel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kground condition on the size of the visual fiel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the subject was instructed to search a target with distinct orientations. In each trial, a single target was presented on the perimeter modified to cover the range of 330 .deg. around the fixation point, with the visual angle subtended 1.4 .de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Nontarget density, meridian, size contrast and subjec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ual field at .alpha. =0.01, where density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visual field, and size contrast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visual field. The size of the visual field on horizontal axis was larger than that on vertical axis, and that on right and upper meridian was also larger than on left and lower meridian. The shape was found to be horizontally oriented oval and statis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In addition, the regression equations to predict the visual field on the given background condition were suggested. These result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a design guideline when arranging displays and controls on panels such as automobile display panels, cockpits, etc.

  • PDF

Tilt Angle Measurement Based on Arrayed Eddy Current Sensors

  • Chao, Xuewei;Li, Yang;Nie, Ji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4호
    • /
    • pp.524-528
    • /
    • 2016
  • Eddy current (EC) sensor works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and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industrial testing and evaluation due to its robustness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Meanwhile, tilt angle measurement is mainly based on the laser or visual method, which is strict with the measurement environment and not suitable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novel tilt angl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arrayed EC sensors is proposed. Bot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s indicate that the measured error is approximately linear with tilt angle and the accuracy after compensation is $0.25^{\circ}$.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annot only broaden the scope of EC application, but als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angle measurement methods.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부착 양상 및 가시광선투과도와 접촉각에 미치는 영향 (The adsorption pattern of protein to the soft contact lens and its effect on the visible light transmission and the contact angle)

  • 박미정;권미정;현선희;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68
    • /
    • 2004
  •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부착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물감이나 흐릿한 시야를 비롯한 착용감의 저하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20명(40안)이 착용한 소프트콘택트렌즈에의 단백질 부착 양상을 착용시간별로 조사하고, 렌즈의 접촉각과 총 가시광선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막의 용도 및 pH 변화가 단백질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연구하였다. Etafilcon A 재질의 2주착용 소프트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으로 매일 관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렌즈에 단백질이 남아있었으며 착용이 계속됨에 따라 정점 부착되는 단백질의 양도 증가하여 착용 후 14일이 지난 렌즈의 경우는 이미 렌즈의 접촉각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크게 증가하여 렌즈 표면의 습윤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총 가시광선 투과량도 7% 정도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프트콘택트렌즈에서 단백질의 부착은 누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많아졌으며 누액의 pH가 중성인 경우 단백질의 부착양이 가장 적었으며 산성이나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부착되는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다. 연속착용렌즈 착용시에는 눈을 뜨고 있는 활동시간보다 눈을 감고 있는 수면 중에 렌즈에 부착되는 단백질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성별과 관계없이 동일하였다. 연속착용렌즈를 8시간동안 착용하였을 때 렌즈에 부착된 단백질의 양은 렌즈 표면의 접촉각과 총 가시광선 투과도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