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sel and fiber diamete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 및 유망 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Properties of Major Planted and Promising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 김종호;장재혁;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44-2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의 목재자원 중 새로운 유망 목재자원을 개발하고 최근 주요 조림 수종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산 10수종의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수종은 산공재로써 고립관공, 방사복합관공이 관찰되었는데, Mangium에서는 위의 특성과 더불어 접선복합관공이 관찰되었다. 접선방향의 관공 직경은 Jeunjing과 Nangka를 제외한 전 수종에서 방사방향보다 큰 값을 보였다. 특히 Nangka는 공시수종 중 가장 큰 접선방향의 관공 직경을 보였다. 단위면적($mm^2$)당 관공의 수는 Mangium, Gandaria와 Kupa가 다른 수종보다 많았으며, 특히 Kupa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유세포의 접선방향 폭은 Gmelina, Mangium, Kupa와 Mangga가 목섬유의 접선방향 폭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그 중 Mangium이 가장 큰 폭을 보였다. 이 밖의 6수종은 반대로 목섬유의 접선방향 폭이 유세포의 접선방향 폭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Durian과 Nangka는 그 차이가 타 수종에 비해 미미했다. Gmelina, Jeunjing과 Rambutan은 평복세포로 이루어진 동성방사조직이, Gandaria는 평복세포와 단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이성방사조직이, Mangium, Durian, Jengkol, Kupa, Mangga와 Nangka는 평복세포와 약 1~2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형태의 이성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Durian, Gandaria, Jengkol, Jeunjing, Mangga, Rambutan은 결정을, Jeunjing과 Mangga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국내산 대나무 3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Bamboo Species)

  • 전우석;김윤기;이주아;김아란;;정우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의 하나인 대나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대나무 3종(맹종죽, 솜대 및 왕대)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3종 모두 유관속 I형으로 종간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횡단면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출현빈도가 더 높았고, 유관속을 둘러싸고 있는 유관속초의 비율도 커졌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모든 종에서 외측부의 값이 내측부의 값보다 컸으며, 내측부와 외측부 모두 왕대의 섬유길이가 가장 길었다. 섬유길이의 유의성 검정 결과 3종 모두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 횡단면에서 측정한 도관 직경 및 유세포 직경은 맹종죽의 값이 가장 컸으며, 방사 및 접선단면에서 측정한 유세포 길이 및 폭은 맹종죽과 왕대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고, 솜대가 가장 작았다.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분석 결과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은 외측부가 내측부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왕대의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이 다른 2종에 비해 다소 높았다.

천궁(川芎)의 형태(形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Cnidium Rhizome and Ligusticum Rhizome)

  • 최정국;임덕빈;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5-101
    • /
    • 2005
  • Objectives : In order to distinguish Cnidii Rhizoma and Ligustici Chuanxiong Rhizoma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their external and internal states were observed via microscopic examination. Methods : The slice of the tested material made by paraffin sect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Safranine Malachite Green contrast methods, and then observed and photographed by olymphus-BHT. Results : Cnidii Rhizoma, Ligustici Chuanxiong Rhizoma (from Korea), and Ligustici Chuanxiong Rhizoma (from China) all demonstrated similar patterns as following : 1. external form 1) showing irregular nodular form with $2{\sim}7cm$ diameter. 2) having several trochites in parallel, and nodulose root trace on surface. 3) in addition to yellow-white or yellow-gray intersections, yellow-brown oil sacs were distributed, with cambium resembling a form of annulus. 2. internal form 1) its root and rhizome is composed of 10 layers of cork, with narrow cortical layers. 2) its phloem is wide, and oval light yellow-brown oil sacs are distributed around. The closer to the cambium, the smaller it is. 3) cambium is a form of a wave-like ring or an irregular polygon. 4) xylem and vessel are rare, most of which are arranged in a 'V' format, and sometimes xylem fiber is found. 5) pith is composed of parenchymatous cell, and parenchyma is full of starch grains. Conclusions : In conclusion, C officinale, L. chuanxiong (from Korea), and L. chuanxiong (from China) have rhizomes in a similar form with no special differenc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C. officinale, L. chuanxiong (from Korea), and L. chuanxiong (from China) are categorized into the same species.

  • PDF

선택적 iNOS 억제에 의한 골격근 재관류 손상의 감소 (Selective iNOS Inhibition Attenuates Skeletal Muscle Reperfusion Injury)

  • 박종웅;이광석;김성곤;박정호;왕준호;전우주;이정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ectiv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hibitor N-[3-aminomethyl]benzyl]acetamidine (l400W) on the reperfused cremaster muscle. The ex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knockout ($EC-SOD^{-/-}$) mice was used to make the experimental window for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e muscle was exposed to 4.5 h of ischemia followed by 90 min of reperfusion and the mice received either 3 mg/kg of 1400W or the same amount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subcutaneously at 10 min before the start of reperf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1400W treatment markedly improved the recovery of the vessel diameter and blood flow in the reperfused cremaster muscle compared to that of PBS group.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reduced edema in the interstitium and muscle fiber, and reduced nitrotyrosine formation (a marker of total peroxinitrite ($ONOO^-$) in 1400W-treated muscle compared to PBS. Our results suggest that iNOS and $ONOO^-$ products are involved in skeletal muscle I/R injury. Reduced I/R injury by using selective inhibition of iNOS is perhaps via limiting cytotoxic $ONOO^-$ generation, a reaction product of nitric oxide (NO) and superoxide anion ($O_2^-$). Thus, inhibition of iNOS appears to be a good treatment strategy in reducing clinical I/R injury.

  • PDF

국내산 맹종죽의 죽령별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yllostachys pubescens by Age)

  • 전우석;변희섭;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31-240
    • /
    • 2018
  • 대나무는 생장이 빠르고, 벌목주기가 짧으며, 목재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의 1년생~5년생까지 죽령별로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X선회절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유관속초의 크기는 1년생이 가장 작았으며, 2년생 이후 유사하였다. 수 부분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분포밀도가 높았고, 유관속초의 발달 형태가 뚜렷하게 달랐다. 특히, 1년생 수 부분 유관속 중 세포간극에 인접한 유관속초가 발달 되지 않은 유관속이 드물게 출현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1년생이 가장 짧았으며,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가 수 부분보다 길었다. 유관속의 방사 및 접선방향 폭은 모든 년생에서 접선방향 폭이 더 컸으며, 2년생부터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관 직경 및 내층 두께는 1년생의 값이 가장 작았으며, 도관 직경은 2년생 이후, 내층 두께는 3년생 이후부터 유사한 값을 보였다. 상대결정화도는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1년생의 값이 가장 낮고, 2~5년생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산 맹종죽은 죽령별로 조직구조에 있어 정성적 및 정량적 차이가 있었으며, 2~5년생의 특성은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1년생은 미성숙한 상태이며, 2년생 이상의 대나무는 성숙한 상태로 조직구조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Formic acid와 Caproic acid 첨가가 Reed Canarygrass Silage의 품질과 호기적 변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mic acid and Caproic acids on the Quality and Aerobic Deterioration of Reed Canarygrass Silage)

  • 김재황;고영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141
    • /
    • 1994
  • 본 시험은 reed canarygrass silage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호기적 변패를 방지시킬 목적으로 재료를 약 1.5cm 길이로 절단하여 formic acid, caproic acid 및 두가지 산을 혼합하여 첨가한 silage를 9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용 silo에 제조하였으며, silage의 품질분석을 위해서 두께 0.1mm, 용량 50kg의 vinyl bag을 이용하였다. 또한 호기적 상태에서의 온도변화, 질소 함량 변화 및 변패방지를 위한 silage의 안정성 시험은 지름 25cm$\times$높이 30cm의 plastic용기를 이용하여 개봉 직후와 7일간의 호기적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Silage의 화학적 조성에서 개봉 직후의 조단백질과 NFE함량은 formic acid와 caproic acid를 혼합 첨가함으로서 높았으며(P<0.01), 7일간의 호기적 상태에서는 혼합 첨가를 함으로서 조섬유와 ADF함량이 낮게 나타났다.(PM0.01). 2. Silage의 온도변화는 formic acid를 첨가함으로서 개봉 2일에 최고온도($34.4^{\circ}C$)에 도달했으며, caproic acid의 첨가와 formic acid + caproic acid의 혼합첨가를 함으로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었다. 3. 호기적 상태에서 silage의 pH변화는 formic acid를 첨가할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caproic acid를 첨가함으로서 silage의 pH는 안정되었다. 4. 총 질소에 대한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비율은 formic acid첨가구>caproic acid 첨가구>혼합첨가구 순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1) 5. Caproic acid 1.2%첨가와 formic acid의 혼합 첨가(1.2%+1.2%)를 함으로서 mould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인도네시아산 White Jabon과 Red Jabon의 해부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Jabon and Red Jabon Grown in Indonesia)

  • 김종호;장재혁;류재윤;황원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27-336
    • /
    • 2013
  • 인도네시아에서 자생하는 수종인 White Jabon (Anthocephalus cadamba)과 Red Jabon (Anthocephalus macrophyllus)의 해부학적 특성을 IAWA 분류기준에 의거하여 조사 및 비교하였다. 두 수종은 산공재로서, 대부분 2~3열의 방사복합관공의 형태로 관찰되었다. 접선방향의 도관 직경은 $100{\sim}200{\mu}m$의 범위로, $mm^2$당 도관의 수는 5~20개의 범위로 분류되었고, White Jabon의 도관수가 더 많았다. 두 수종에서 $mm^2$당 고립관공의 수는 비슷했으나 복합관공은 White Jabon이 다소 많이 출현하였다. 두 수종의 횡단면에서 축방향유조직은 산재상의 형태를 보였으나, White Jabon은 그 출현빈도가 매우 낮았다. 방사단면에서 방사조직은 평복세포와 4열 이상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형태가 주로 관찰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직립동성형 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접선단면상에서 White Jabon의 방사조직은 1~V3열, Red Jabon은 1~2열로 관찰되었으며, 방사조직의 높이는 White Jabon이 $420{\mu}m$, Red Jabon이 $474{\mu}m$로 나타났다. 목섬유의 평균 길이는 $900{\sim}1,600{\mu}m$의 범위였고, 수에서 수피부로 이행할수록 증가하는 방사방향 변이성을 나타냈다.

선박소음에 관한 연구 -방음실에 의한 소음제어효과실험- (THE STUDY ON THE NOISE IN THE VESSEL -Effect of the Noise Control by the Noise Arresting Rooms-)

  • 박중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1
    • /
    • 1976
  • 1976년 6월 10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 본학 해양과학 연구소 하층 실험실에서 실험하였고 1975년 6월 7일에서 동년 8월 11일까지 약 2개월 동안에 풍양호, 척양호, 관악산호 등의 선박소음을 녹음한 테프로서 재생방음한 것을 음원으로 이용하였다. 이때 소음제어의 효과를 찾기 위해 A,B,C,D형의 실험용 직육면체인 방음실을 제작하여 실험실내에 배치하고 기관실소음과 발진기에 스피커를 연결해서 방음된 음압이 각방음제어실에 투과되는 음압 100분률과 또 각 방음제어실내에서 같은 조건으로 방음되는 경우에 자재와 형상이 다른 방음실내부 구조물에 따른 흡음효과를 조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음투과율은 실험실 외부음압이 60dB 일때 A형은 $69.7\%$였고 계속 10dB 증가함에 따라 $3.3\%$씩 증가하였고 D형에서는 $53.9\%$인 것이 10dB 증가함에 따라 $4.5\%$씩 증가했다. 2. 실험실인 외부음압이 100dB일 때 A,B,C,D형의 음압투과율은 81.6, 78.9, 75.3, $71.0\%$의 순으로 D형의 투과율이 낮아서 방음실로서는 D형이 가장 좋았다. 3. 대화에 지장이 없는 소음압은 75dB 이하이므로 A,B형을 제외하고 C,D형은 선박소음 제어실로서 유효했다. 4. 방음제어실내부 구조에 따른 흡음효과를 A,D형에서 비교하면 A형은 발진음일 때 거리 20cm에서 82dB로 가장 높고 80cm에서 76dB로 가장 낮았으며 100cm에서 77dB였고 140cm에서 78dB 정도 다시 증가해 반사음 현상이 일어났다. D형은 발진음일 때 거리 20cm에서 A와 같이 82dB였는데 80cm에서 72.5dB, 100cm에서 73dB, 140cm서에는 67dB로 A보다 12dB가 낮았다. 선박소음도 거리 20cm에서 A형은 77.5dB, D형은 77dB였는데 140cm에서는 A형이 74dB, D형이 63dB로 11dB의 차이로 D형이 낮아 역시 흡음효과가 A형 보다 D형이 좋았고 완벽한 무향실로서 반사음의 영향은 찾아 볼 수 없었다. 5. 매우 낮은 발진음일 때 흡음관계를 1000Hz를 기준삼아 보면 거리 20cm에서 C형은 44.7dB, D형은 45.4dB로 C형이 0.3dB로 악간 낮았으나 140cm에서 C,D형 모두가 44.3dB로서 같았다. 값싼 자재로서도 C형이 가장 흡음효과가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