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joint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7초

영구벽체로 사용하는 지하연속벽 수직시공이음부의 설계방법 (Design Considerations and Method for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of Slurry Walls Used as Permanent Basement Walls)

  • 이정영;김승원;김두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95-396
    • /
    • 2023
  • The current building structural standards present design requirements for the vertical construction joint of a slurry wall when it is used as a permanent wall. This paper proposes design methods and consideration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relevant standards.

  • PDF

전달함수 특성을 이용한 연직진동 특성 예측 (Estimation of Vertical Vibration using Characteristics of Transfer Function)

  • 우운택;박태원;정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1
    • /
    • pp.171-176
    • /
    • 2001
  • Recent building structures are superior in its ability but they are light and flexible, and so have problems of vibration. In general, the problem of vertical vibration is not considered in structural design. However, in terms of serviceability for inhabitants in buildings, the estimation of vibration in design stage is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ertical vibration is changed by modeling method of beam-column joint.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vibration, many test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on constructing building in Seoul. Results of tests and analyses were compared using transfer function. As a results, to check the vertical vibration, the cramp ratio of beam-column joint must be considered and reduced in structural design.

  • PDF

노년 여성의 동작에 따른 무릎 및 고관절 주변 체표 길이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Knees and Hip Joint Surface according to Elderly Women's Movements)

  • 장지현;정희경;박정현;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2-232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the knees, hips, and hip joint length according to the different angles of bending knees by 45°, 90°, and 135° respectively for knees, hips, and the hip joint that have high fracture rates when falling down.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 elderly women in their 60s (or older) that obtain data collected through direct measurement. For analysis, the study drew a diagram of elongation and shrinkage based on changes and change rate from a straight posture (0°) and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n differences of body surface length by zone according to movements. The more the knees were bent, the vertical surface length in front of the knees, the horizontal surface length above the knee line, the horizontal body surface length below the knee lines on the back, and the vertical surface lengths between front side lines and the side lines increased; however, the vertical surface length on the back decreased. For the hip joint, the difference in the vertical surface length was more distinctive when compared to the horizontal. Finally, the horizontal surface length increased below the hips and the vertical surface length increased in most areas except the sidelines and the front. The result of the change in body surface length according to the movemen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tion-variable protector.

몸통 운동의 제약이 최대 수직점프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tricted Trunk Motion on the Performance of Maximum Vertical Jump)

  • 김용운;은선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직점프시 몸통운동의 제약이 수직점프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몸통을 자유롭게 사용한 일반적인 형태와 몸통동작을 제한한 형태의 수직점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몸통동작을 제한한 경우 비 제약점프에 비해 10% 정도의 수행 손실이 있었는데, 이는 이지 순간의 중심 높이보다는 이 지속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였다. 몸통의 운동은 엉덩관절의 모멘트 파워를 증가시켜 추진의 초기 시점부터 지면반력의 증가에 기여하였는데 이러한 요인이 수행력 증가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몸통운동이 제한된 점프에서는 엉덩관절에서의 역학적 출력의 감소를 보상하는 측면에서 무릎관절의 역할이 증가하였으나 충분치 못하였다. 또한 몸통동작의 제한으로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순차적인 신전패턴과는 상이하게 추진시점 직후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동시에 신전하는 형태의 점프가 이루어져 협응패턴의 변화가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 몸통의 적절한 사용은 수직점프의 수행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in mandibular condyle and glenoid fossa morphology in relation to vertical and sagittal skeletal pattern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Noh, Kyoung Jin;Baik, Hyoung-Seon;Han, Sang-Sun;Jang, Woowon;Choi, Yoon Je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6-13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morpholog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structures in relation to vertical and sagittal cephalometric patter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131 participants showing no TMJ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Class I, II, and III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sagittal cephalometric relationships and into hyperdivergent, normodivergent, and hypodivergent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vertical cephalometric relationships.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compared among the groups: condylar volume, condylar size (width, length, and height), fossa size (length and height), and condyle-to-fossa joint spaces at the anterior, superior, and posterior condylar poles. Results: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The Class III group showed larger values for condylar width, condylar height, and fossa height than the Class II group (p < 0.05). Condylar volume and superior joint space in the hyperdiverge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the other two vertical groups (p < 0.001), whereas fossa length and height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hyperdivergent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 < 0.01). The hypodivergent group showed a greater condylar width than the hyperdivergent group (p < 0.01). The sagittal and vertical cephalometric patter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fossa length and height. Conclusions: TMJ morphology differed across diverse skeletal cephalometric patterns. The fossa length and height were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of the vertical and sagittal skeletal patterns.

보수성을 개선한 복합형 신축이음장치(HRS)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Hybrid Expansion Joint System with Improved Replacement)

  • 이정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7
    • /
    • 2023
  • 기존 신축이음장치 교체 시간을 절감하고, 차선별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보수성을 개선한 신축이음장치 시스템(HRS)에 대하여 실물규모의 수직하중 피로시험과 윤하중 성능실험을 수행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수직하중 피로시험결과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최대응력은 170 Mpa이며, 이는 HRS 신축이음장치레일의 항복강도 355MPa의 약 47.8% 수준이다. 보수성을 개선한 HRS 신축이음장치의 수직하중 피로시험은 도로교설계기준에 따라 재하판의 크기와 하중을 설정하였고, 200만회 수직하중 피로시험과 윤하중 성능실험에 있어서 파괴거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최대 수직 점프시 개인내 우수 수행과 비우수 수행의 역학적 비교 (Biomechanical Comparison of Good and Bad Performances within Individual in Maximum Vertical Jump)

  • 김용운;김용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89-49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수직점프시 개인내에서 발생하는 수행력의 차이와 이와 관련된 역학적 변인들의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6회의 최대 수직점프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최고 수행과 최저 수행을 추출한 후 수행력과 역학적 변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수행과 비우수수행사이의 점프 높이는 약 4cm로 10% 정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이지시 중심의 높이(25%)와 이지속도(75%)에 기인하였다. 무릎관절과 엉덩관절의 역학적 출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발목관절에서는 최대신전모멘트, 최대파워, 일량이 우수수행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최대수직점프에서 개인내 수행차는 주로 발목관절의 운동에 주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며, 무릎과 엉덩관절의 역학적 출력은 수행력에 주요한 기여를 하지만 개인내 변이가 크지 않아 개인내 수행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비추어 점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트레이닝의 과정에서 발목관절의 역학적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도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립식 콘크리트 대형판구조물의 접합부 전단내력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Precast Concrete Panel Structures)

  • 송영훈;전상우;윤정배;정일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7-242
    • /
    • 1993
  • Precast concrete panel buildings are designed to tracsmit shear forces through the joint between the reinforced concrete panels. The shear strength is partly provided by the resistance to slid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cast and in- situ concrete and partly by the dowel action of the reinforcement crossing the joint. The shear resistance to sliding is largely dependent on the shapes and configurations of vertical joints and the vertical loads of horizontal joints. In this paper, the shear strength by the difference of relative strength between panel and joint, the effect of reinforcement, and the effect of vertical load are considered.

  • PDF

지하연속벽 수직시공이음부에 콘크리트 전단키를 형성하는 시공기술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crete Shear Keys at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of Slurry Walls)

  • 이정영;김승원;김두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01-402
    • /
    • 2023
  • The shear connection of the vertical construction joint of a slurry wall by the concrete shear key has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and is economical and eco-friendly. However, technology for forming concrete shear keys in the underground is still underdeveloped.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required to form a concrete shear key at the vertical construction joint of the slurry wall.

  • PDF

초등학교 야구 선수의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jump and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in elementary school baseball players)

  • 정호진;박세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61-66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야구 선수들의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총 40명으로 실시하였다. 수직 점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직 점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리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휴대용 도수 근력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다리 근력의 측정 부위는 양쪽 엉덩관절에 굽힘·폄·모음·벌림·안쪽 돌림·바깥 돌림, 무릎관절에 굽힘·폄, 발목관절의 발등 굽힘·발바닥 굽힘을 측정하였다. 수직 점프와 다리 근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과의 관계에서 우세측, 비우세측 모두 발바닥 굽힘 근력을 제외한 모든 다리 근력과 수직 점프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타격능력과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의 관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