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o cel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154초

수치(修治) 한약재가 사람의 간세포 WRL68와 원숭이의 신장세포 Vero에 미치는 영향 (Cytotoxic activity of processing the traditional drug on monkey kidney cell (Vero) and human liver cell (WRL68))

  • 주영승;김호경;고병섭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58-272
    • /
    • 2000
  • The cytotoxic activities of Pinellia ternate, Aconitum carmichaeli, Arisaema amurense, Aconitum kusnezoffii and Scutellaria baicalensis on monkey kidney cell (Vero) and human liver cell (WRL68) were evaluated by Sulforhodamine B Protein (SRB) and Tetrazolium-based (MTT) colorimetric assay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ellows : 1 The Pinellia ternate and Arisaema amurense did not show the cytotoxic activities at any concentration without processing or natural drugs. 2 The extracts of Aconitum carmichaeli, Aconitum kusnezoffii and Scutellaria baicalensis showed cytotoxic activities. However, the cytotoxic activities of processing drugs were less effective than the natural drugs. 3. The cytotoxic activities on monkey kidney cell (Vero) and human liver cell (WRL68) of Aconitum carmichaeli was determined by MTT assay. The Kyungpo(京?) of Aconitum carmichaeli showed less concentrate than that of the Dangpo(唐?). The $IC_{50}$ value on monkey kidney cell (Vero) and human liver cell (WRL68) of Kyungpo was $937{\pm}29\;and\;731{\pm}31{\mu}g/ml$, respectively 4. The cytotoxicity on monkey kidney cell (Vero) and human liver cell (WRL68) of Scutellaria baicalensis showed strong activities without processing or natural drugs.

  • PDF

Vero Cell과의 공동배양이 체외에서 생쥐 배아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ro Cell Co-culture on Mouse Embryo Development)

  • 이윤;박준홍;강혜나;김용봉;이응수;박성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233-239
    • /
    • 1997
  • Embryos of most mammalian species grown in vitro would undergo developmental arrest at the approximate time of genomic activation. Stage-specific cell block and the resulting rapid loss of embryo viability in conventional culture media have limited the duration for which embryos may be cultured prior to transfer. As a result, embryos are usually transferred to the uterus at the 4-to 8-cell stage to avoid the loss of viability associated with long-term in vitro culture. Early transfer has led to asynchrony of the endometrium-trophectoderm interaction at the time of implantation and a resultant reduction in the rate of implant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variety of co-culture systems has been devised in which embryos can develop for a longer period prior to embryo transfer. Vero cells, derived from African green monkey kidney, share a common embryologic origin with cells from the genital tract. In addition, they are potentially safe to use, since they are highly controlled for viruses and other contaminants. Therefore, co-culture using Vero cells has been widely utilized to enhance embryo viability and development, although not without controversies. We thus designed a series of experiments to demonstrate whether Vero cells do indeed enhance mouse embryo development as well 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co-culturing mouse 1-cell embryos on Vero cell monolayer in both Ham's F-10 and human tubal fluid (HTF) culture media. 1-cell stage ICR mouse embryos were cultured either in the presence of Vero cells (Group A) or in conventional culture medium alone (Group B). In Ham's F-10 significantly more 3-to-8cell embryos developed in group A than group B (59.8 versus 10.0%; p<0.01).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bryonic development both group A and group B in HTF.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only in later embryonic stage (13 and 0%; p<0.05 of group A and B respectively, hatching or hatched). In Ham's F-10, we also could observe the beneficial effect of Vero cell on hatching process (70.7 and 42.1%; p<0.05 of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 PDF

Vero 세포적응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Properties of Vero Cell-Adapted Newcastle Disease Virus)

  • 최강석;박미자;계수정;김지예;권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3-120
    • /
    • 2012
  • 본 연구를 통하여 Vero 세포에서 강독형 NDV인 Kr005주를 55대 연속 계대하여 Vero 세포에 적응된 Kr005/V 주를 작성하였다. Kr005/V 주는 Vero 세포에서 $10^{7.8}/mL$의 높은 바이러스 증식성을 보였으며, 감염세포는 cell rounding과 같은 CPE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열성(heat labile) NDV Kr005주와 달리 NDV Kr005/V 주는 내열성(thermostable)을 보였다. 계태아에서 평균 치사 시간(MDT)를 측정한 결과, 강독형인 Kr005주(49.6시간의 MDT)와 달리 Kr005/V 주는 120시간이상의 MDT를 보여 약독형 바이러스(lentogenic virus)로 분류되었다. Kr005/V 주의 HN 단백질과 F 단백질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HN 단백질의 443번째 아미노산에서만 변이(T에서 S)가 관찰되었다. Kr005/V 주와 Vero 세포를 사용하여 야외 닭 혈청을 대상으로 혈청중화 항체가를 측정한 결과, Kr005주와 CEF 세포를 사용하여 측정한 혈청중화 항체가와 97%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지속감염세포에서 분리된 일본뇌염바이러스 Plaque Morphology Mutants의 복제 및 감염특성 (Replication and Pathogenesis of Plaque Morphology Mutants Derived from Vero Cells with Japanese Encephalitis Virus Persistency)

  • 윤성욱;정용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1-229
    • /
    • 2002
  •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Nakayama strain을 초기 multiplicity of infection 5.0으로 Vero세포에 감염하여 1년 이상 안정적으로 바이러스를 방출하는 지속감염(persistently-infected)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지속감염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총 11 개의 Plaque 형태 변이바이러스(morphology mutants)클론을 확보하였다. 분리된 변이바이러스의 복제효율을 분석한 결과 생물학적 표현형과 복제효율은 유의하게 상관하였다. 변이바이러스 RNA 게놈 양 말단의 non-coding region 및 envelop 단백질의 ORF에서는 유의한 염기서열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JEV 약독화에 새로운 인자가 추가로 관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된 신선한 Vero세포는 wild-type JEV의 일반적 감염성상과 다르게 대다수의 세포가 유의할 만한 세포병변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감염된 Vero세포에서 wild-type JEV 및 large plaque을 형성하는 변이바이러스의 경우 mRNA와 함께 Bcl-2의 발현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53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small plaque을 형성하는 변이바이러스의 감염세포에서는 Bcl-2와 p53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과 함께, 감염된 Vero세포의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과DNA profile의 유형분석에 따르면 궁극적 인 세포병변효과의 변화는 변이바이러스의 복제효율과 더불어 p53에 비의존적인 apoptosis 수위의 전반적인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poptosis Induction of an Ethanolic Extract of 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echt. against HeLa and Vero Cell Lines

  • Listyawati, Shanti;Sismindari, Sismindari;Mubarika, Sofia;Murti, Yosi Bayu;Ikawati, Mut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183-187
    • /
    • 2016
  • Rhizomes of 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echt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active compounds with anticancer properti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induction against HeLa and Vero cells-line. Dried powder of B. pandurata rhizomes was extracted by a maceration method using 90% ethanol. Cytotoxic assays to determine $IC_{50}$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were carried out by MTT methods. Observation of apoptosis was achieved with double staining using acridine orange and ethidium bromide. The results showed that ethanolic extract of B. pandurata was more cytotoxic against HeLa cells ($IC_{50}$ of $60{\mu}g/mL$) than Vero cells ($IC_{50}$ of $125{\mu}g/mL$). The extract had higher anti-proliferative activity as well as apoptotic induction in HeLa than Vero cell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ethanolic extract of B. pandurata had anti-proliferative as well as apoptosis induction activity dependent on the cell type.

톡소플라스마 곤디의 세포내 배양에 있어서 세포 주에 따른 감수성 비교 (Comparative susceptibility of different cell lines for culture of Toxoplasma gondii in vitro)

  • 박병규;문형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15-222
    • /
    • 1993
  • Toxoplasmngon gondii의 세포내 배양에 적합한 숙주 세포 주를 찾기 위하여 정상 세포 2종류(MDCK-canine kidney cells; Vero-monkey kidney cells) 및 암세포 6종류(A 549, PC 14-human lung cancer cells; SNU 1, SNU 16, MKN 45-human stomach cancer cells; HL-60-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를 대상으로 하여 각 세포 주의 T.gondii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형태학적 관찰 및 3H-uracil 흡수 시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T.gondii 대한 감수성은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높았고, Vero, HL-60, MDCK 및 SNU 1 세포가 그 다음, SNU 16 및 MKN 45 세포는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또한 각 세포 주에 있어서 T.gondii 감염 후 충체증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12시간, 36시간 및 60시간에 각각 측정한 바 충체 수를 적게($2{\times}10^5/ml$) 투여했을 때는 A 549, PC 14, Vero, MDCK 세포들에서 감염 60시간까지 충체의 분열 증식이 계속 증가하였고, 충체 수를 많이($50{\times}10^5/ml$) 주입하였을 때는 대부분의 세포들에서 감염 12시간에 최고의 증식을 보이다가 이후 증식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son사거 분리 계대 및 충주(strain) 확립을 위해서는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충체 주입 수 및 배양 시간별로 충체의 증식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Vero-E6 세포에서 한탄바이러스의 증식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eplcation of Hantaan Virus in Vero-E6 Cells)

  • 박경희;성인화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1-209
    • /
    • 1999
  •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morphologic and molecular biologic characteristics of Hantaan virus (HTNV), one of the etiologic agents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revealed that HTNV was a member of Family Bunyaviridae and its RNA divided into three segments. An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se segments also were known and the differences in nucleotide sequences of HTNV from other members of genus Hantavirus were clearly evaluated. But the morphorgenesis, pathogenesis of HFRS and the replication time had not been clearly determined.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replication time of HTNV in Vero E-6 cells, Vero cells were infected with HTNV 76/118 strain, and cells were harvested from two hours post-infection up to 24 hours at two hours-intervals. Harvested cells were treated with ordinary techniques for electron microscopy and immune-electron microscopy. And then thin sections were observed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TNV particles were not found in the cytoplasm and in the extracellular space between $2{\sim}8$ hours after inoculation of virus, but virus particles were observed in extracellular space near the cell membrane of Vero-E6 cells 10 hours after infection. In immune electron microscopy, mature HTNV particles in extracellular spaces and immature virus labelled with gold particles in the cytoplasm of Vero E-6 cell 10 hours after infection of HTNV could be see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replication time of HTNV might be about 10 hours.

  • PDF

In Vitro Cytotoxic Activity of Seed Oil of Fenugreek Against Various Cancer Cell Lines

  • Al-Oqail, Mai Mohammad;Farshori, Nida Nayyar;Al-Sheddi, Ebtesam Saad;Musarrat, Javed;Al-Khedhairy, Abdulaziz Ali;Siddiqui, Maqsood Ahm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829-1832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screen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fenugreek seed oil against cancer cell lines (HEp-2, MCF-7, WISH cells), and a normal cell line (Vero cells). Cytotoxicity was assessed with MTT and NRU assays, and cellular morphological alterations were studied using phase contrast light microscopy. All cells were exposed toi 10-1000 ${\mu}g/ml$ of fenugreek seed oil for 24 h. The results show that fenugreek seed oil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viability, and altered the cellular morpholog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mong the cell lines, HEp-2 cells showed the highest decrease in cell viability, followed by MCF-7, WISH, and Vero cells by MTT and NRU assays. Cell viability at 1000 ${\mu}g/ml$ was recorded as 55% in HEp-2 cells, 67% in MCF-7 cells, 75% in WISH cells, and 86% in Vero cells. The present study provides preliminary screening data for fenugreek seed oil pointing to potent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베로 세포에 적응된 약독화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an Attenuate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a Monkey Kidney Cell (Vero))

  • 홍선표;정용주;문상범;신영철;이성희;김수옥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31-237
    • /
    • 1998
  • 세계보건기구 (WHO)가 백신 생산에 권장하고 있는 표준세포 주인 Vero 세포에 약독화 일본뇌염바이러스인 SA14-14-2 ( (PDK)를 연속 계대배양을 통해 적응(adaptation)시켜, tIter가 $10^7$pfu/mL을 넘는 SA-14-14-2(Vero)을 분리하였다 바이러스 배양 최적온도는 $35^{\circ}C$이며, T -flask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최고 tIter는 감염 후 4일째에 $4\times10^7$ pfu/mL로 관찰되었다. 또한 무혈청배지에서도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하여 2% 혈청이 보충된 정우와 거의 비슷한 바이라스 tIter를 보였다. 바이러스 대량 배양을 위해 roller bottle culture와 미 립 담체 플 이용한 spinner flask culture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을 위한 미립담체에서의 Vera cell monolayer는 초기 세포 농도 $4\times10$ cells/mL로 접종하여 50 rpm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을 수 있었다. 바이러스의 roller bottle 배양이 spinner flask 배양보다 바이러스 tIter변에서 2배 내지 3배 높 았고, $10^7$pfu/mL을 넘는 배양 기간도 하루 죄었다. 하지만 두 배양 방법 모두 T -flask 배양에서와 같이 무혈청 배지를 사용 하여도 바이라스 증식이 활발했고, 최고조의 tIter를 보이는 배 양기간은 감염 후 2일째로써 T -flask 배양에서 보다 2일 빨랐다. Roller bottle culture의 경우, 감염 후 3일부터 17일까지 2 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무혈청 EMEM으로 100% 교체하면서 매 양을 지속한 결과 3일부터 9일까지 $10^7$pfu/mL을 념는 tIter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어 바이러스의 multi-harvest가 가능한 것 로 고찰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생산성 면에서 매우 유리한 결 과로 제품의 생산 단가플 낮추고 작업 노력을 절감하는 기대 효 과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정자직접주입술에 있어 Vero Cells 공배양이 인간 정소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ero Cells Coculturing on the Motility of Human Testicular Spermatozoa in a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Program)

  • 김현규;엄기붕;김현주;고정재;이숙환;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225-232
    • /
    • 1997
  • 폐색성 혹은 비폐색성 무정자증에서 부정소 정자채취법 등이 부적절하다고 여겨질때는 정소 조직을 일부 절제하여 그 조직으로부터 정자를 직접 채취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렇게 정소로부터 추출한 정소정자는 운동성이 전혀 없거나 매우 약한 운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소정자를 Vero cell과 공배양을 시킴으로써 운동성을 획득시키거나 향상시키고 이를 수정시키는 시기까지 지속시킴으로써 정소정자추출술 (TESE)을 시행하는 환자나 의료진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융통성있는 시간대를 부여하고, 아울러 정자직접주입술 (ICSI)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성공적인 수정률과 임신율을 얻음에 있다. 또한 ICSI를 시행한 후, 운동성이 향상된 잉여의 정소정자를 냉동보존함으로써 차후에 TESE을 다시 시행치않고도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도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잇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상환자군은 정관폐색증(n=11) 혹은 비정관폐색증(n=2)을 보이는 13명의 무정자증의 남성불임환자였으며 난자회수예정일 3일전에 TESE를 시행하여 정소정자를 얻은 후 이를 정자직접주입술이 시행되는 당일까지 Vero cell과 공배양을 실시하였다. Vero cell과의 공배양에 의하여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는 공배양전과 비교하여 평균 3.3배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공배양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가 50,000/ml이하의 미약한 운동성만을 보였던 경우 (n=5)에는 공배양 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 수의 평균증가율이 7.7배였다. 공배양전 정자운동성이 전혀 없었던 2례의 비정관폐색증환자중 3일간의 공배양을 통하여 1례에서 운동성을 획득한 정소정자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300/ml), 정자직접주입술을 통하여 성공적인 수정 및 임신에 도달할 수 있었다. Vero cell과 공배양을 하고 ICSI했던 결과, 평균 수정률은 75.0% 이었으며 임신율은 61.5%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