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al strea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신경정신학에 융복합되는 신경생물학적 접근법의 한계점: 발달성 협응장애와 두 시각 이론에 관한 종설 (Limitations of neurobiological approach convergent to neuropsychiatry: DCD and two visual systems theory)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25-234
    • /
    • 2015
  • 신경생물학 접근법은 정신학에서의 심신 이원론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진단과 치료법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신경정신장애의 복합성 때문에 신경생물학의 신경해부학 부분을 너무 강조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달성 협응장애 (DCD)는 일반적으로 움직임과 관련된 장애이지만 종종 지각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다. 뇌의 기능적 분류에 입각한 두 시각 이론은 대뇌의 복측은 물체의 재인을, 배측은 움직임, 위치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물체의 지각은 시각적으로 유도되는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시각 이론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 이론에 대한 비판을 제시한다. 특히, 발달성 협응장애와 같은 운동뿐만 아니라 지각과 관련이 있는 신경정신장애에 구조적인 신경생물학 접근법을 적용하는 것의 한계점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현대의 신경정신분야에 융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신경생물학 접근법은 유용하지만, 신경구조적 분류에 너무 집중하면 한계점이 나타날 수 있다.

한글 시각단어재인의 초기처리과정에 대한 대뇌 활성화 양상 : 'VWFA(visual word from area)'를 중심으로 (The Cerebral activation of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in Ventral stream)

  • 손효정;정재범;편성범;송희진;이재준;민승기;장용민;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9-123
    • /
    • 2006
  • 문자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개체 중 하나로 사람이 문자를 인식할 때, 글자의 크기나 모양, 위치, 글 자체 등의 매우 다양한 지각적인 변화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는 문자에 대한 처리가 다른 사물과는 다소 다르게 일어나며 머릿속에 추상적인 형태(abstract form)로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시각단어재인 과정에서 어휘 지식에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면서 이와 관련된 대뇌 영역의 국재화 양상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시각단어재인에 있어 Cohen과 Dehaene 등이 'visual word form area'주장하고 있는 좌측 ventral occipito-tempoarl region의 대뇌 활성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좌측 'VWFA'는 어휘의 친숙성에 우뇌의 대측 지점은 어휘성(lexicality)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Digenea: Isoparorchiidae) in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01-507
    • /
    • 2018
  • We described he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Digenea: Isoparorchiidae)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 Total 1,371 freshwater fishes collected in Yangcheon (Stream)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were examined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to survey the infection statu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for 4 years (2013-2016). Adult and larval worms of Isoparorchis sp. were detected in 38 (8.4%) out of 451 fish in 4 species, i.e., Pungtungia herzi, Acheilognathus koreensi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examined. The infection density was 1.1 worm per fish infected. They were mainly found in the subcutaneous tissues and abdominal cavities. Nodules with worms in the subcutaneous tissues were revealed as the blue ink-colored bulges. Adults leaf-like, $21.6{\times}9.84mm$ in average size. The ratio of body length to body width was 2.20: 1. Oral sucker subterminal, $1.03{\times}1.22mm$. Pharynx muscular, $0.55{\times}0.54mm$. Esophagus very short. Ceca convoluted, terminated near the posterior end. Ventral sucker anterior 1/3.75, $1.99{\times}2.10mm$. The ratio of ventral sucker to oral sucker was 1.74: 1. Testes round to elliptical, both sides of ventral sucker, $1.43{\times}1.33mm$. Vitellaria highly dendritic, posterior 1/3 level. Eggs operculated, embryonated, $52{\times}32{\mu}m$ in size. By the present study, 4 fish species aforementioned are to be listed as the fish hosts of Isoparorchis sp. in Korea and additionall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to be described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Urethroplasty of extensive penile urethral strictures with a longitudinal ventral tubed flap of penile skin (modified Orandi urethroplasty): 20 years of follow-up of two cases

  • Heo, Jae Won;Hong, Woo Taik;Kim, Yong Hun;Yang, Chae Eun;Kim, Jiye;Kim, Sug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6호
    • /
    • pp.613-618
    • /
    • 2020
  • The surgical treatment of extensive urethral strictures remains a controversial topic; although techniques have evolved, there is still no definite method of choice. Since 1968, when Orandi presented an original technique for one-stage urethroplasty using a penile skin flap, the Orandi technique has become the most prevalently used one-stage procedure for anterior urethral strictures. We present a 20-year follow-up experience with one-stage reconstruction of long urethral strictures using a longitudinal ventral tubed flap of penile skin, with some important technical changes to Orandi's original technique to overcome the deficient vascularity caused by periurethral scar tissue. In 1997, a 55-year-old mal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voiding difficulty and a weak urinary stream because of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other 47-year-old male patient had the same problem due to self-removal of a Foley catheter in 2002. In both patients, a urethrogram demonstrated extensive strictures involving the long segment of the anterior urethra. A rectangular skin flap on the ventral surface of the penis was used considering the appropriate length, diameter, and depth of the neourethra. The modified Orandi flap provided a pedicled strip of penile skin measuring an average of 8 cm.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20.5 years. A long-term evaluation revealed stab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ithout any complications.

Comparison of Reproductive Behaviors between Two Species of Eightspine Sticklebacks (Genus: Pungitius)

  • Park, Shi-Ryong;Lee, Jeong Hee;Cheong, Seokw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2호
    • /
    • pp.127-132
    • /
    • 200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reproductive behaviors of Pungitius sinensis and P. kaibarae inhabiting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collected P. sinensis from Jusu stream, Okkyemyeon and P. kaibarae from Sacheon stream, Sacheon-myeon both in Gangwon province and subsequently raised and observed them in an aquarium. At the beginning of the reproductive season, male P. sinensis got tinged with dark green, made a territory, and built nests on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male P. kaibarae became black all over, its white ventral spines became conspicuous and built nests on the stems of waterweed off the bottom. In the courtship dance, male P. sinensis made frequent attempts to entice females into their nests after many bitings, while male P. kaibarae mostly did this with conspicuous jumpings. In courtship behaviors, the body's angle of male P. kaibarae with his head down was larger than that of male P. sinensis by 50-60 degrees. During courtship, the biting frequency as an index of aggressive behavior was greater in P. sinensis and the jumping frequency as an index of sexual behavior was greater in P. kaibarae. During the courtship dance, bitings tended to suppress jumpings, for P. sinensis, but not for P. kaibarae.

  • PDF

호암천에서 처음 채집된 둑중개 개체군의 특성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 of First Record on the Cottus koreanus from Hoam Stream, Korea)

  • 변화근;이병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6-173
    • /
    • 2017
  • 호암천에 분포하는 둑중개의 형태적 및 개체군의 특징 조사를 2015년 10월과 2016년 4월에 실시를 하였다. 호암천 상류역(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대종천 상류)이 둑중개(Cottus koreanus)의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삼척오십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둑중개가 분포하는 범위는 기림사에서 용연폭포에 이르는 약 1.2 km 구간이었으며 수역은 약 $3,600m^2$ 이었다. 개체군 크기는 총 1,656개체, $100m^2$ 당 46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분포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좁았다. 호암천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머리길이(head length), 배지느러미 길이(VFR-L), 가슴지느러미 길이(PFR-L), 입의 폭(MW) 등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이 만 1년생은 40~59 mm, 만 2년생은 60~79 mm, 만 3년생은 8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239~468개이었으며 평균 361개 이었다. 성숙란의 직경은 $2.6mm{\pm}0.21$(2.3~3.1)로 대란형에 속하였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 = 0.00001TL3.01로 상수 a는 0.00001을, 매개변수 b는 3.01 이었고, 평균 1.26 이었다.

한국산 둑중개속 어류 개체군들의 형태 변이 및 AFLP 분석을 통한 유전 변이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netic Variations Inferred from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f Cottus Populations (Scorpaeniformes: Cottidae) in Korea)

  • 변화근;김근식;송하윤;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7-75
    • /
    • 2009
  • 한국의 Cottus 속 어류 9개체군들의 형태 및 유전 변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형태변이 분석은 계수, 계측 형질 및 수정난의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유전 변이 분석은 AFLP fingerprinting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동해로 흐르는 하천의 둑중개 집단은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강 또는 하천의 둑중개 집단과 계측형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계수형질과 수정난 크기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배봉천의 Cottus sp. 집단은 계수형질에 있어 한둑중개와 비슷하였고, 배지느러미의 계측형질과 수정난의 크기는 둑중개와 비슷하였다. AFLP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를 추정한 결과 둑중개 집단간 0.110~0.221로 나타났다. 한둑중개 집단과 둑중개 집단간 0.542~0.621로 나타났고, 배봉천의 Cottus sp. 집단과 둑중개 집단 간 0.222~0.304로 나타났다. UPGMA dendrogram결과 Cottus sp. 집단은 다른 둑중개 집단과 분리되었다.

한국산 둑중개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 (Sexual Dimorphism in a River Sculpin(Cottus poecilopus Heckel) in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21
    • /
    • 1996
  •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에서 1993년 1월 부터 1994년 4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별 암수의 체장 구성비에 있어서 수컷이 암컷 보다 다소 컸으며, 뒷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의 길이와 입의 크기에 있어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혼인색(nuptial color)과 생식적 유두(genital papilla)는 수컷에서만 존재한다. 암컷은 산란시 큰 수컷을 선호하며, 큰 수컷은 수정란을 보호하고 수류를 일으키는데 우세하며 수정난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큰 입은 산란장을 형성하거나 보호하는데 이점이 있다. 이러한 성적 형태의 차이는 본종의 성적 선택의 결과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 Gymnogobius urotaenia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Gymnogobius urotaenia in Hwangbocheon, Korea)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2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유입천인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관찰한 결과를 같은 망둑어과 어류들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2022년과 2023년 5월 2회에 걸쳐 황보천에서 바위 아래 산란된 수정란과 어미를 포획하였다. 산란량은 827~1,540개였고, 난은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3.21×1.07 mm 였다. 연구실에서 관찰된 난발생 단계는 16세포기였고, 이후 193시간부터 부화가 시작되었다. 사육 수온 범위는 18.8~19.3 ℃였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3.84~4.33 (평균 4.10±0.17, n=30) mm로 난황을 갖고 있었고,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부화 6일째에는 전장 5.32~6.11(평균 5.67±0.25, n=30)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먹이를 섭취하였으며, 꼬리지느러미에 기조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15일째에는 전장 7.33~8.52(평균 7.81±0.46, n=30) mm로 척색 말단 끝부분이 45 °로 완전히 휘어져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몸 전체에는 흑색소포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38일째에는 전장 22.1~26.1(23.8±1.36, n=30) mm로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1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2개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후기자어의 흑색소포는 몸통 절반과 꼬리 쪽 몸 전체 분포하는 점에서 다른 망둑어과 어류 후기자어들과 형태적인 구분이 가능하였다.

한국에서의 오리극구흡충 (Echinoparyphium recurvatum)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Echinopowphium recurvatum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 Korea)

  • 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91-98
    • /
    • 1998
  • 이 연구는 자연계 및 실험실 내 조건 하에서 오리극구흡충의 생활사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92년 8월과 9월에 부산시 강서구에 소재하는 선암천에서 다랑의 물달팽이 (Rndix owe,cdwiacoreona)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물달팽이 중 106개를 파쇄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52개 (89.0%)에서 오리극구흡충의 유충 (레디아, 유미유충, 피낭유충)이 한 종류 이상씩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자연 유출되는 유미유충을 접촉감염시킨 물달팽이, 논우렁 및 미꾸리 중 물달팽이와 미꾸리에서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검출한 피낭유충을 경구감염시킨 병아리, 오리, 흰쥐, 마우스 중 병아리와 오리에서 성충이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검출한 피낭유 충을 경구감염시킨 병아리에서의 충체 회수율은 평균 13. 1%이었다. 레디아는 주머니 모양으로 평균 $2.437{\;}{\times}{\;}0.317{\;}mm$ 크기이었으며 근육성의 인두와 체장의 약 112 부위까지 내려와 있는 맹장을 하나씩 갖고 있었다. 유미유충의 체부위는 방추형으로 평균 $0.262{\;}{\times}{\;}0.129{\;}mm$ 크기이었고, 꼬리부위는 긴 막대모양으로 평균 $0.528{\;}{\times}{\;}0.056{\;}mm$ $\times$ 크기이었다. 유미유충의 체부위에서는 45개의 두극이 배열되어 있는 두관과 미세한 과립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배설관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피낭유충뜬 구형으로 평균 $0.144{\;}{\times}{\;}0.142{\;}mm$ 크기이었으며 2중의 낭벽을 가지고 있었다. 성충은 비교적 길쭉하였고 평균 $0.2760{\;}{\times}{\;}0.550{\;}mm$ 크기이었으며 두관에는 특징적인 45개의 두극이 배열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에서 물달팽이가 오리극구흡충의 제1 및 제2중간숙주로서 생활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