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tor graphic charact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이미지 손실없는 확대/축소가 가능한 아바타 생성 시스템 (The Avata Construction System for Image Lossless Scaling)

  • 김원중;장미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1-18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받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그래픽 표준인 SVG(Scalable Vector Graphic)를 이용하여 어떤 단말기에서도 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미지의 손상없이 수정이 가능하여 각 부분 요소의 재사용성을 크게 높인 아바타(웹 캐릭터) 생성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SVG는 텍스트로 기술되기 때문에 그래픽에 대한 검색이 편리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이 SVG문서를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선, 폴리곤, 텍스트, 이미지 등의 모든 그래픽 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웹 그래픽 문서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컨텐츠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간소화된 주성분 벡터를 이용한 벡터 그래픽 캐릭터의 얼굴표정 생성 (The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of vector graphic character using the simplified principle component vector)

  • 박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547-1553
    • /
    • 2008
  • 본 논문은 간소화된 주성분 벡터를 이용한 벡터 그래픽 캐릭터의 다양한 얼굴 표정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Russell의 내적 정서 상태에 기반하여 재정의된 벡터 그래픽 캐릭터들의 9가지 표정에 대해 주성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캐릭터의 얼굴 특성과 표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주성분 벡터를 찾아내고, 간소화된 주성분 벡터로부터 얼굴 표정을 생성한다. 또한 캐릭터의 특성과 표정의 가중치 값을 보간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중간 캐릭터 및 표정을 생성한다. 이는 얼굴 애니메이션에서 종래의 키프레임 저장 공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적은 계산량으로 중간 표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제어를 요구하는 웹/모바일 서비스, 게임 등에서 캐릭터 생성 시스템의 성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벡터 그래픽 캐릭터의 자동 표정 생성 시스템 (Automatic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system of vector graphic character by simple user interface)

  • 박태희;김재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55-116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한 벡터 그래픽 캐릭터의 자동 표정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Russell의 내적 정서 상태의 차원 모형을 근거로 재정의된 캐릭터의 26가지 표정 데이터로 부터 주요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고차원의 특징 벡터에 대해 SGPLVM이라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하여 저차원 특징 벡터를 찾고, 확률분포함수(PDF)를 학습한다. 확률분포함수의 모든 파라메타는 학습된 표정 데이터의 우도를 최대화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2차원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얼굴 표정을 실시간으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표정 생성 프로그램은 얼굴 표정의 작은 데이터셋에도 잘 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정과 정서간의 관련성에 관한 사전지식이 없이도 연속되는 다양한 캐릭터의 표정을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포트벡터머신과 정칙화판별함수를 이용한 비디오 문자인식의 분류 성능 개선 (Video character recognition improvement by support vector machines and regularized discriminant analysis)

  • 임수열;백장선;김민수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689-6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텍스트영역으로부터 문자인식을 수행하였다. 비디오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문자열은 한글, 영어, 숫자, 특수문자 등으로 혼합되어 있거나, 또는 다양한 폰트와 크기, 그래픽 형태의 글자 존재, 영상의 기울어짐, 끊김, 잡영, 접촉, 저해상도의 글자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문자인식에 비해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든 글자에 대해서 인식하지 않고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글자만을 인식하고 나머지는 버리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지지도벡터기계와 정칙화판별분석의 2단계 문자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인식률을 개선하였다. 또한 인식률이 좋지 못한 4형식과 5형식 글자에 대해 모음별로 중분류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지지도벡터기계와 정칙화판별분석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 다른 문자인식의 방법들보다 인식률이 우수하였으며, 부분적인 중분류의 방법을 이용한 경우 향상된 인식 성능을 나타냈다.

웹을 이용한 실내건축 설계 표현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프리젠테이션과 Web3D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presentation Environment of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on Web - A Study on the Presentation and Web 3D -)

  • 이종석;이혁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257-264
    • /
    • 2001
  • To propose the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and communication using graphic, web3D, it was studied the kind and character of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that can be embodied in an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on the web, and looks into whether these ways can be adapted to an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process. Especially, the use of the current techniques on graphic and CAD data give the most suitable effect by using the integrated data such as vector animation, an interaction of object VR(Virtual Reality), a high quality of panorama VR, and data treatment and its interaction of drawing of cad data. As a result, the single data format shows not only one image representation but also a stream of continuous operation through a change into another format. But this desired study expects that another next studies will go on interaction and integration of digital format with increase of transmission speed expected in the future, and a digital model and its practical methods.

  • PDF

XML/SVG를 이용한 Scalable한 Web Character 구축 (The Development of scalable Web Character Using XML/SVG)

  • 장미화;조이기;김재갑;정강용;김원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11-1314
    • /
    • 2001
  • PC, Notebook, PDA, Cellular telephone, Smart phone 등 많은 형식의 인터넷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많은 그래픽 요소들은 이러한 단말기의 형식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직접 변형하는 것이 어렵고, 그래픽 부분 요소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받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그래픽 표준인 SVG(Scalable Vector Graphic)를 이용하여 어떤 단말기에서도 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미지의 수정 및 부분 요소의 재사용성을 놀인 웹 캐릭터 빌더(Builder)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를 이용하면 에이전트 상의 웹 캐릭터 혹은 웹 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떠한 컨텐츠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한 수 있을 것이다.

  • PDF

명암도 변화값과 기하학적 패턴벡터를 이용한 차량번호판 인식 (A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Using Intensity Variation and Geometric Pattern Vector)

  • 이응주;석영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3호
    • /
    • pp.369-37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명암도 변화값과 기하학적 패턴벡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번호판을 추출하고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차량영상에서는 번호판 영역에서 문자와 배경이 뚜렷하게 구별되고, 일정한 명암도 변화를 가지면서 번호판 이외의 다른 영역보다 밀집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먼저 명암도 변화값을 사용하여 번호판을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영상 입력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따라 차량영상이 어둡거나 밝게 입력될 경우에도 동일한 추출 성능을 얻기 위하여 밝기 보정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추출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입력 문자의 크기, 이동 및 회전에 무관한 특성 추출을 위해 번호판 영역에서 잡음 제거와 세선화를 적용하여 전처리후 제안한 기하학적 패턴벡터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들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원형 패턴벡터 보다 계산 속도가 빠르며, 차량번호판의 크기와 잡음에 무관하며, 불규칙한 조명 상태에서도 정확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