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bundle type I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지리산(智異山) 죽류(竹類)의 유관속초(維管束鞘)에 의(依)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f Bamboos in Mt. Jiri by Vascular Bundle Sheath)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7-56
    • /
    • 1977
  • I hav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morphology of vascular bundle shown in the section of culm wall of bamboo trees growing on Mt. Jiri which were classified by Grosser and Liese with their methods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there are no b.g.i. types of bamboo classified by Grosser and Liese among the bamboo trees on Mt. Jiri (Phyllostachys and Sasa). 2. As for the thickness of the culm wall in the culm, it was shown that the culm wall of the Phyllostachys becomes thinner in proportion to its nearness to the upper part of the tree, but no distinctive difference appeared in the Sasa. 3. The c, d, and e types of Sasa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Phyllostachys, but there was a vascular bundle type of the a' type,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hyllostachys. 4. It was shown that the a', d, and e types of Sasa were distributed in a zone less than 500m above sea level, but no a' type was distributed in the high mountain area except for the c, d and e types which ranged from 600m to 1000m above sea level. Such facts mean that the vascular bundle sheath has changed in quantity because of the height of mountain. 5. In general, as compared with the Phyllostachys, the Sasa (types a, c, d and e which included a new type a) have fewer vascular bundles. 6.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not by the current Sasa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observation of the the study of Sasa form the outside, but by a new method of classification based on the aspect of the physiological construction as seen from the inside wall is advanced. I believe this new method of classification to be a first step towards an epoch-making methodological advance and encourage the further study of it.

  • PDF

Sasa류(類)의 유관속초관찰(維管束鞘觀察)에 의(依)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 Vascular Bundle Sheath in Sasa)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7-36
    • /
    • 1980
  • 필자(筆者)는 대나무류중(類中) Sasa 류(類)의 내부조직(內部組織)에 의(依)한 보다 더 용이(容易)하고 확실(確實)한 유별체계(類別體系)를 정립(定立)할 목적(目的)으로 전보(前報)에 단속(繼續)하여 더 많은 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 하여 죽간(竹稈)의 간벽(稈壁) 횡단면(橫斷面)에 보이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모양(模樣)을 조사(調査)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평지(平地)에 있어서도 간벽(稈壁)의 두께는 상(上), 하부(下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2. a와 a' 형(型)은 있었으나 e'-f-g-h-i형(型)은 없었다. 3. b, c, d, e, g형(型)과 d, e형(型)은 모두 다 있었고 b, c, g형(型)은 없는 것도 있었다. 4.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는 앞으로 Sasa류(類)를 보다 더 능률적(能率的)으로 식별(識別)하는데에 기여(寄與)될 수 있는 좋은 추가(追加) 재료(材料)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 PDF

대나무류(類)의 유관속초(維管束鞘)에 의(依)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f Bamboos by Vascular Bundle Sheath)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47
    • /
    • 1975
  • 대나무류(類)는 열대방지(熱帶方地)에서 총생(叢生)하는 대형(大型)의 대나무가 많고, 온대(溫帶)가 되면 소형(小型)의 세류(笹類)로 퇴화(退化)하여, 그 종류(種類)는 세계(世界)에 50속(屬) 1,000여종(餘種)이나 있다고하여 그 종류수(種類數)는 대단(大端)히 많다. 이와 같은 대나무는 동양(東洋)에서는 건엽용(建葉用)과 공예용(工藝用)으로 이용(利用)되고있으며, 또한 죽순(竹筍)은 식용(食用)으로서 특유(特有)한 맛이있어 상용(賞用)되고있을 뿐만아니라 최근(最近)에는 세류(笹類)의 액즙(液汁)이 암(癌)에도 효과(効果)가 있다고 하여 중요(重要)한 산업(産業)으로서 발달(發達)하게되었다. 그리고 동남아(東南亞)에서는 삽목(揷木)으로서 용이(容易)하게 증산(增産)하여 pulp재(材)로 사용(使用)하게되여 대단(大端)히 중요시(重要視)하고있다. 이와같이 대나무는 인류생활(人類生活)에 필요부가결(必要不可決)한 목본식물(木本植物)이지만 아직까지 그 형태(形態)의 분류(分類)가 명확(明確)하게 되어 있지 않고 지연되여 있는 형편이다. 18세기(世紀) 중반기(中半期)의 Linne시대(時代)에 들어와서 생식기관(生殖器管)을 주체(主體)로 한 그 형태(形態)의 분류체계(分類體系)가 만들어진 이래(以來) 수정(修正)이 거듭되여온 바 있으나 대나무는 개화(開花)가 일정(一定)한 주기(周期)가 있어서 60-120년(年)의 기나긴 세월(歲月)이 소요(所要)되기 때문에 그의 형태적(形態的)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완성(完成)하는일은 극(極)히 어려운 일이었다. 오늘날까지 대나무에 관(關)한 많은 문헌(文獻)이 있기는 하나 그 시료(試料)가 적기때문에 불확실(不確實)한 기재(記載)도 많이있었고 속(屬)이 변경(變更)된것도 간혹(間或)있어서 그것을 공인(公認)할수 없는 것이 많이 있다. 그래서 내부(內部)의 형태적(形態的)인 분류(分類)에 관(關)하여는 근년(近年)에 이르러 중국(中國)의 Liese씨(氏)에 의(依)하여 겨우 시작(始作)이 되였으며, 또한 독일(獨逸)의 Grosser씨등(氏等)이 유관속(維管束)의 형태(形態)에 착안(着眼)하여 새로운 형태(形態)의 분류(分類)를 시도(試圖)한바있다. 그러나 이들의 이 형태(形態)에 관한 분류(分類)는 Holttum의 자방(子房)의 형태(形態)에 의(依)한 분류(分類)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것 뿐이었다. 따라서 필자(筆者)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형태(形態)에 의(依)해 자유중국산(自由中國産)의 대나무 11속(屬) 26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하여 대나무의 형태(形態)에 관(關)한 분류체계(分類體系)에 대(對)하여 재고(再考)를 시도(試圖)하여 보았다. 그 결과(結果) Grosser씨(氏) 등(等)의 형태(形態)의 분류(分類)와 일부(一部)는 일치(一致)하였으나, Bambusa와 Dendrocalamus는 분류(分類)하기가 곤란(困難)하였던 것을 고립유관속초(孤立維管束鞘)의 존부(存否)로서 명확(明確)히 구별(區別)할수있었고 또한 종류(種類)가 많은 Bambusa를 2개(個)의 형(型)으로 나눌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結果)는 앞으로 아속(亞屬)이나 혹(或)은 절(節)로서의 분류(分類)로서 고려(考慮)되여야 할 문제(問題)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근거(根據)는, 죽간(竹稈)의 최외층(最外層)에서 최내층(最內層)으로 향(向)하여 변화(變化)하고있는 형태(形態)에 착안(着眼)하여, 그 분화적(分化的)인 면(面)을 관찰(觀察)하였기 때문이다. 이 형태적(形態的)인 분화(分化)에 관(關)한 관찰(觀察)은 형태분류(形態分類)의 철칙(鐵則)인 "간단(簡單)한 것에서 복잡(複雜)한 것으로 진화(進化)한다"라고하는 철칙(鐵則)에 있어서도 충분(充分)히 조사(調査)하여 보았는데, 그 결과(結果)는 생식기관(生殖器官)의 형태적분류(形態的分類)와 대조(對照)하여 결정(決定)되어야 할 것이며, 금후(今後)의 문제(問題)로서 계속연구(繼續硏究)할까 생각한다.

  • PDF

국내산 대나무 3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Bamboo Species)

  • 전우석;김윤기;이주아;김아란;;정우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의 하나인 대나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대나무 3종(맹종죽, 솜대 및 왕대)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3종 모두 유관속 I형으로 종간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횡단면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출현빈도가 더 높았고, 유관속을 둘러싸고 있는 유관속초의 비율도 커졌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모든 종에서 외측부의 값이 내측부의 값보다 컸으며, 내측부와 외측부 모두 왕대의 섬유길이가 가장 길었다. 섬유길이의 유의성 검정 결과 3종 모두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 횡단면에서 측정한 도관 직경 및 유세포 직경은 맹종죽의 값이 가장 컸으며, 방사 및 접선단면에서 측정한 유세포 길이 및 폭은 맹종죽과 왕대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고, 솜대가 가장 작았다.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분석 결과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은 외측부가 내측부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왕대의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이 다른 2종에 비해 다소 높았다.

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한국산 부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Allium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혁재;장창기;이유미;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308
    • /
    • 2007
  • 한국산 부추속 16종 5변종의 총 21분류군에 대하여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및 형태, 지상부의 생자양상, 엽신과 화경의 모양 및 내부구조, 화피, 화사 및 암술의 형태 등의 외부형태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분류형질의 특수화 및 진화경향성을 고찰하였고, 분류군들간의 유연관계와 계통을 추론하였다. 진화경향성이 있는 형질은 근경과 인경을 포함한 지하부, 잎, 화경, 화서, 화사 및 자방의 모양 등이었다. 근경의 형태는 비후형에서 미세형으로 발달하였고, 인경의 외피는 얇은 막질에서 그물상 섬유질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막질의 초상엽은 달래에서만 관찰된 파생형질이였으며, 엽신은 단면이 둥글고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하는 것에서 각진 형태를 거쳐 단면이 납작하고 넓어지면서 유관속이 1열로 배열하는 것으로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화경의 개화 전 생장은 직립하는 것이, 그리고 화사는 치편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원시적이며 자방은 실 당 2개의 배주를 가지는 것에서 1개씩 가지는 것으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막질의 초상엽의 존재유무 및 잎의 내부구조는 아속 수준에서, 지하경 및 인경의 형태, 잎의 모양, 화경 및 소화경의 모양은 아속 내 절 수준에서 분류체계를 결정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화피와 화사의 모양 및 배열은 자방 및 주두의 모양과 함께 종을 구분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Sasa와 Bambusa속(屬)의 유관속초형(維管束鞘型)에 의(依)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s of Vascular Bundle Sheath of Sasa with Those of Bambusa)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6
    • /
    • 1978
  • 필자(筆者)는 대나무류(類)를 내부(內部)의 조직(組織)에 의(依)한 새로운 유별법(類別法)을 시도(試圖)할 목적(目的)으로 Bambusa속(屬)과 Sasa층(層)의 죽간간벽(竹稈稈壁) 횡단면(橫斷面)에 보이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형태(形態)를 조사관찰(調査觀察)하여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특징(特徵)을 지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죽간(竹稈)의 간벽(稈壁) 두께는 Bambusa속(屬)은 상부(上部)에 가까울수록 비례적(比例的)으로 엷어지지만 Sasa속(屬)은 거의 큰 차이(差異)가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2. Bambusa속(屬)은 a형(型)과 b형(型)이 있었으나 Sasa속(屬)은 a'형(型)이 있었고 a형(型)과 b형(型)이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3. e'형(型)과 h, i형(型)은 Bambusa속(屬)에는 있으나 Sasa속(屬)에는 없었고 f형(型)은 Bambusa속(屬)과 Sasa속(屬)에는 공(共)히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4. c, d, e, g형(型)은 Bambusa속(屬)에는 있었으나 Sasa속(屬)에는 c, d, e형(型)이 있었고 g형(型)이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5.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를 보아 앞으로 Sasa속(屬)과 Bambusa속(屬)을 유별(類別)하는데 있어서는 외부(外部)의 형태(形態)에 의(依)한 유별방법(類別方法)이 아닌 내부(內部)의 생리조직적(生理組織的)인 면(面)에서 유별(類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라고 생각(生覺)되며 금후(今後)에도 계속(繼續) 연구(硏究)할까 생각(生覺)한다.

  • PDF

4종 우슬(牛膝)의 외내부형태 연구 (A study on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in 4 kinds of Uie-Suel Radix)

  • 강대훈;김정희;나승영;주영승;김종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7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characteristic discrim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ical standard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states in Polygoni Multiflori and Cynanchi Wilfordii Radix. Methods : In this studies, the external-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s were determined by using stereoscope and butanol series. Results: 1.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original plants: Polygonum Multiflorum has alternate leaves, and its flower with white color blooms at the shoot apex or leaf axil. In the other hand, Cynanchum wilfordii has opposite leaves, and its flower with yellowish green color blooms at the leaf axil. 2.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rbal slates: Polygoni Multiflori Radix is red-brown in outer surface pink-brown in section. In the other hand, Cynanchi Wilfordii Radix is earthly-brown in outer surface greyish white in section. 3.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lace of production: Demonstrab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lace of production is not seen. Polygoni Multiflori Radix is brown or dark brown in outer surface, soft $Yellow{\sim}dark$ brown in section. In the other hand, Cynanchi Wilfordii Radix is white in outer surface, $white{\sim}weak$ red in section, and has power type. 4.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Polygonum multiflorum has hetero-vascular bundle and lignification of cork layer is progressive. In the other hand, Cynanchum wilfordii has not hetero-vascular bundle, and lignification of cork layer is weak. Conclusion: In the future, many fundamental study such as how to discriminate between Polygoni Multiflori Radix and Cynanchi Wilfordii Radix in origin and efficacy will be necessary. Also the standard of discrimination must be specific and distinct in that several kinds of fo-ti has been traded.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 κ I the basis L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